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여정 : 우리나라 근대 공공도서관의 발자취를 찾아서

한국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여정 : 우리나라 근대 공공도서관의 발자취를 찾아서

송승섭 (지은이)
도연문고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여정 : 우리나라 근대 공공도서관의 발자취를 찾아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여정 : 우리나라 근대 공공도서관의 발자취를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문헌정보학
· ISBN : 9791197278266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3-05-31

책 소개

저자가 년 여 기간 우리나라 근대 도서관 특히 공공도서관 역사와 관련해 쓴 논문 6편과 2건의 프로젝트, 2편의 주제발표와 2권의 책에 담긴 글 그리고 《내일신문》에 연재된 편의 기사를 톺아보고 전체 또는 일부지만 그 고갱이를 엮은 책이다.

목차

근대 공공도서관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여정의 기록 / 11

제1장 고종과 함께 한 근대 도서관의 유적 / 27

근대의 문을 연 고종 / 29
고종대 왕실도서관 운영 현황과 변천 과정 / 32
고종대 왕실도서관 변천의 의의와 시사점 / 51
제1장 마무리 / 62

제2장 개화기 근대 도서관의 길을 연 선구자들 / 69

우리나라 근대 도서관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그룹과 그 활동 / 75
우리나라 근대 도서관 형성 배경의 주체 간 상호 관계성 / 113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도서관 설립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 / 118
제2장 마무리 / 129

제3장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경성도서관의 변천 / 135

일제강점기 경성도서관의 변천 과정 분석 / 141
제3장 마무리 / 164

제4장 일제강점기 한국 도서관인의 현황과 도서관 활동 / 169

한국인 도서관 직원을 찾기 위한 시도 / 174
일제강점기 도서관 직제와 교육 및 연구회 현황 / 178
일제강점기 한국인 도서관 직원의 활동상 / 189
제4장 마무리 / 208

제5장 해방과 초대 국립도서관장 이재욱의 재조명 / 215

이재욱 관련 가계 연보 / 217
이재욱의 저작 목록 및 내용 분석 / 221
이재욱의 저작과 업적 평가 / 244
제5장 마무리 / 252

제6장 사건과 사진으로 보는 조선총독부도서관과 국립도서관 70년 / 257

조선총독부도서관의 설립과 그 활동 / 257
국립도서관의 탄생과 발전 / 291

제7장 근대 한국 도서관 100년의 성찰 / 327

근대 도서관 운동 / 328
1920년대 이후 일제강점기의 도서관 / 339
해방 후 공공도서관 상황 / 344
조선총독부도서관에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 349
1950년대 이후의 공공도서관 / 351

부록1 도서관사 연구를 하는 이유와 방법 / 365
부록2 도서관계의 남북교류 과거 현재 미래 / 384
부록3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역사’ 관련 연재 기사 / 399

에필로그 기록의 여정에 덧붙여서 - / 409
참고문헌 / 412
색인 / 420

저자소개

송승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서로서 25년을 근무하다 대학으로 옮겨 현장과 교단에서 10여 권의 책과 100여 편의 글을 남겼다 현장에서도 실무를 하면서 도서관 역사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지만. 깊이 있는 논문이나 책을 쓰진 못했다. 두 편의 책 『병영도서관의 이해』(한국학술정보, 2007)와 『북한도서관의 이해』(한국도서관협회, 2008) 그리고 수 편의 논문을 통해 한국 도서관사의 일부를 다루었다. 대학에 와서 『문명의 뇌 서양도서관의 역사』(조은글터, 2019)와 『한국 도서관사』(한국도서관협회, 2019)를 출간하게 되어 스스로 맡은 숙제의 일부를 해결했지만,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의 도서관 현대사를 사실상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해 늘 아쉬웠다. 이 바람을 안고 이번에 『근대 한국도서관 100년의 여정』을 펴냈다. 그러나 현대사 부분을 제대로 다루지 못해 다시 과제로 남았다 이는 통사로서 한국 도서관사의 완성을 고대하는 저자의 염원이자 우리 도서관계의 의무이기도 하다. 저자는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및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문 교수, 한국도서관사연구회 회장과 현 고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부회장,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이사, 국립장애인도서관 정책연구심의위원, 국방부 진중문고심의위원을 역임했고,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각종 TF 분과위원장과 자문위원을 겸한 바 있다 학회활동으로는 한국기록관리학회와 한국정보관리학회 이사를 지냈으며 (사)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남북도서관교류협력위원회 위원장, 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정보격차해소위원회, 홍보전략위원회, 국제교류협력위원회 등 여러 분과에서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학에 온 후 도서관 현장과 소통하기 위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자문위원 서울도서관 자료선정위원과 월계도서관 운영위원장을 비롯하여 여러 도서관의 운영위원 및 자문역을 맡아 왔다 사서로 몸담았던 통일부에서는 북한자료센터장으로 퇴직한 이후 통일부 자문위원, 특수자료심의위원을 역임하고 있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과 평화 문제연구소 자문위원직도 수행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에필로그

1.1. 기록의 여정에 덧붙여서
1.2. 2019년 『문명의 뇌, 서양도서관의 역사』(조은글터)와 『한국도서관사』(한국도서관협회)를 출간한 후, 그해 11월 한국도서관·정보학회로부터 연구상 부문 학술상을 받았고, 『한국도서관사』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이 일련의 일들이 도서관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자부심과 사명감을 갖게 했다. 그러나 『한국도서관사』는 백린 선생에게 크게 빚진 마음의 빚을 일부 갚은 것이었지만, 근·현대사의 내용이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이 오히려 마음의 짐으로 남았다. 특히 무엇보다 나를 크게 자극한 것은 2019년 10월 11일 삼성출판박물관에서 열린 「우리나라 근현대 출판사 100년」 전을 본 것이었다. 시대순으로 전시된 유서 깊은 출판사의 출판물을 접하고 젊은 날의 책들을 만나보면서 한눈에 한 세기를 일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와 감정을 느꼈다. 한편으로 「우리나라 근·현대 도서관 100년」 전은 할 수 없을까? 하는 아쉬운 생각이 사라지지 않았다. 이 일로부터 내 학문적 여정은 ‘근대 도서관 100년사’에 머물렀다.
1.3. 나는 코로나 팬데믹 시국에도 불구하고 2020년 2월 22일 여러 동지들과 함께 서울도서관에서 ‘한국도서관사연구회’를 창립했다. 이후 ‘한국 도서관사’는 필생의 업이 되었고 내 생각은 거기에 멈춰 있었다. 결국 내가 움직였던 그간의 모든 일이 합쳐져 ‘근대 도서관 100년사를 향한 끊임 없는 시도’가 되지는 않았을까? 이런 까닭으로 이 저작과 연계되었던 그동안의 활동 기록을 여기에 덧붙인다.
1.4.
● 2019년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문화》 7·8월호(8-9), 「역사 속 오늘의 칼럼」에서 “우리 도서관계, 극일의 중심에 서야: 근·현대 도서관 100년사를 씁시다.” 기고.
● 2019년 12월 13일, 파주시립중앙도서관 「통일시대의 도서관 어제와 오늘」 토론회에서 “북한 도서관을 통해 본 북한 사회” 제목으로 기조 강연.
● 2020년 7월 18일, 한빛미디어 강의실에서 ‘한국도서관사연구회’ 주최로 열린 ‘조선총독부도서관 사진집 시연회’에서 강연(유튜브로 남아 있음).
● 2020년 9월 10일, 9월 17일, 10월 29일, 구립은뜨락도서관에서 실시한 ‘2020년 길 위에 인문학, 잊히고 사라져가는 한국 근현대사: 도서관을 통해 다시 읽기’에서 3차례에 걸쳐 “고종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국 도서관사” 강연.
● 2020년 10월 3일 국립중앙도서관 기관지 《오늘의 도서관》 10월호(20-23), 오늘의 만남 “도서관은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는 민주주의의 뿌리”라는 제목으로 인터뷰(유튜브로 남아 있음).
● 2021년 2월호 《국회도서관보》 ‘도서관 이야기’ 편에 “역사 속에 미국 의회도서관”(30-33) 제목으로 기고.
● 2021년 2월 한국도서관협회에서 발행한 『문헌정보학의 이해』(완전개정 3판)의 공저자로서 제2편 제4장 “정보자료의 변천과 도서관의 성립(81-105)”부분 집필.
● 2021년 6월 17일 《내일신문》,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역사와 발전과정’에 대해 인터뷰.
● 2021년 7월 한국통신대학 출판문화원에서 『독서의 즐거움』 공저 출판, 12장 “책 읽기 장소로서의 도서관 역사와 공간변화,” 제13장 “책 읽기와 도서관의 철학” 부분 집필.
● 2021년 8월 19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국립중앙도서관사연구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조선총독부도서관 그리고 국립중앙도서관 100년”이라는 제목으로 강연.
● 2021년 10월 13일 ‘중구구립가온도서관 인문학 강좌’로 “사소하지 않은 사소할 수 없는 도서관사: 대한제국부터 현재까지 숨겨진 도서관 이야기”란 제목으로 강연.
● 2021년 11월 1일 ‘내를 건너 숲으로 공공도서관 직원교육’ 특강으로, “도서관으로 읽는 근대”라는 제목으로 강연.
● 2021년 11월 12일 ‘은평구청 평화통일교육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도서관으로 본 북한 사회” 강연 (3개월간 유튜브로 강좌 개설)
● 2022년 1월 17일 《내일신문》에 서평 게재. 『대동단 총재 김가진』(학민사, 2022) 출판 관련, “격변의 시대, 잊혀진 독립운동가 김가진”이란 제목으로 조선시대 국립도서관 격인 ‘규장각’ 검서관에서 규장각 제학까지 역임한 독립운동가 김가진의 생애에 대해 논함.
● 2022년 6월 17일 ‘국립중앙도서관 (재택학습형) 도서관의 기초’ 과정으로 “도서관에서 여는 근대”라는 제목으로 강의.
● 2022년 10월 22일 오후 1시 남산도서관에서 실시된 2022년 구보학회 정기발표회 ‘근대도서관 100년: 도서관의 문화사와 문학사’에서 “우리나라 근대도서관의 형성과정 고찰”이라는 제목으로 발표.
● 2022년 12월 경남대표도서관 소식지 《도서관 가는 길》 47권(23-24), 특집기사로 “전국도서관대회의 역사”란 제목으로 기고.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