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조창의 공연 미학성

시조창의 공연 미학성

(문화적 회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략적 탐색)

박종화, 박균 (지은이)
이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조창의 공연 미학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조창의 공연 미학성 (문화적 회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략적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9734401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05-19

책 소개

오늘날 거대한 팬덤과 자본력으로 공연문화영역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는 대중공연물에 밀려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는 전통공연예술, 특히 시조창에 대한 시대적 담론을 제안하고자 그것의 공연 미학성 연구에 근거한 ‘21세기 문화적 회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략적 탐색이다.

목차

제 1부 이론적 관점으로서의 문화학(문화 기호학)
01. 문화학이란
02. 창조적 메타 문화의 보고(寶庫), 전통공연예술문화35
03. 전통공연예술문화의 한 아이콘으로서의 시조창

제 2부 문화학적 관점에서 본 시조창의 초기 담론 엿보기
01. 김억, 조선심(朝鮮心)을 품은 조선의 시형 재창조
02. 안확, 시조의 율미(律美), 음악적 판안(版案)에서 찾다
03. 이병기, '시조는 혁신하자'

제 3부 시조창의공연 미학성
01. 퍼포먼스로서의 시조창
02. 시조창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미학적 컨셉트들

1. 문학성
1) 구현텍스트로서의 시조
2) 평시조 창 구현텍스트의 구조와 그 수행성
3) 사설시조 창 구현텍스트의 구조와 그 수행성

2. 음악성
1) 시조창 행위자의 소리물질의 특성과 기호화 과정
2) 시조창의 음악적 통사구조와 기능적 수행성
3) 평시조 창의 음악적 구조와 기능적 수행성
4) 사설시조 창의 음악적 구조와 기능적 수행성
5) 지름시조 창의 음악적 구조와 기능적 수행성

3. 공연성
1)시조창 공연의 원형(原形)에 대한 회고적 가상 시뮬레이션
(1) 관서악부 제15수에 묘사된 환영의 공연 장면
(2)제 1환영(幻影)의 장면 시뮬레이션 –초창(初唱)
(3) 제 2환영(幻影)의 장면 시뮬레이션 –'이세춘'의 시조창
2) 시조창 공연 연출방식의 변화과정
(1) 19세기 중엽, 시조창의 공연연출방식 - 시조 삼장
(2) 시조창의 현대적 공연 연출방식 - 일제강점기 시조창 공연의
과도기적 특징 : 전문가 집단별로 분화된 시조창(정악기판시조와
사계축시조)
(3) 현행 시조창의 공연 연출방식 -개인 혹은 단체 공연 및
지역행사의 프로그램 공연
(4) 행위자의 공연미학적 연출장치로서의 '허성(虛聲)'

제 4부 시조창 악보의 도상성
01. 종보(從譜)체계
1. 종서(縱書)와 정간보(井間譜)
02. 횡보(橫譜) 체계
1. 횡서(橫書)와 선율선보
03. 정경태의 선율선 시조보
04. 이종승의 선율선 시조보
05. 선율선보- 시조의 '시간적 흐름'에 대한 미학적 재발견

제 5부 박종화, 내포제 시조창 1세대 인물 '운석 이종승' 찾기
01. 현지조사 및 생몰
02. 이종승의 음악사적 업적 - 선율선 시조 악보집 발간

제 6부 박종화의 여담(餘談)
01. 일제강점기에 도전의 생(生)을 감행한 조부(祖父), 박노경!
02. 불운의 시대를 딛고 새로운 운명을 개척한 부친, 연우(然又) 박완규!
03. 인화의 덕을 실천해 온 반려자, 서범(瑞凡) 한장훈!
04. 시조(時調)로써 '소박한 운명의 복(福)'을 완성하다!

저자소개

박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독문학과, 서울대 음악대학원 국악이론(석사), 충북대 대학원 고전문학 박사과정 수료. 현재 번역과 저술, 이미륵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미륵 평전>, <동서양 문화의 중재자 이미륵> <Wanderer zwischen zwei Welten, Mirok Li - Philosoph, Dichter, Revolutionär>, 번역서는 <탄츠 테아터, 슈잔네 슐리허 저>, <압록강은 흐른다, 이미륵 저>, <계정식 박사학위논문, 한국음악>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 여고 졸업. 충남 무형문화재 17-2호(내포제 시조), 충북 무형문화재 26호(석암제 시조). 인천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7호(가사) 등 이수. 충북내포제시조 발표회(13회) 현) (사)한국전통예악총연합회 청주 지부장 충북내포제시조 보존회 회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