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야기/무용가
· ISBN : 9791197645105
· 쪽수 : 393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1장. 춤의 길에 들어서기까지
어린 시절의 기억: 6.25 전쟁과 춤
경동중·고등학교 시절
대학 시절과 군 생활
2장. ‘엘리트 남성 무용가’로 주목을 받다
동남아 순회공연 그리고 일본에서
귀국 후의 무용 발표회
결혼과 사당동 예술인마을 입성
연구소 개설과 후진 양성
최초의 동인단체 학림회
한국남성무용단 창단 그리고 조흥동류 한량무 ‘회상’
가지 않은 무용평론가의 길
3장. 국립무용단 그리고 초기의 대작
입단에서 인정을 받기까지: ‘맥(脈)’
지도위원이 되다: ‘젊은 날의 초상’, ‘대(代)’, ‘신(神)’
국립무용단 최초의 상임안무가: ‘흙의 울음’, ‘강강술래’
초대 국립무용단 예술감독 겸 단장으로: ‘환’, ‘무천의 아침’ 그리고 ‘남성 태평무’
장충동 단장실 그리고 작은딸과의 이별
4장. 한국무용협회 이사장으로
세상이 바뀌었다
춤의 해를 이끌며
세기말·세기초의 무용계와 무용행정가의 삶
5장. 경기도무용단 그리고 후기의 대작
서울예술단 이후 경기도무용단으로: ‘김삿갓’, ‘비나리98’
경기도무용단 예술감독으로 15년, 그 기점에서: ‘황진이’, ‘연인’
호평 그리고 예술감독 재임: ‘꿈, 꿈이었으니’, ‘봉수당진찬례와 우리춤의 맥’
장기 순회공연의 새 역사를 쓰다: ‘태권무무 달하’, ‘천년의 유산’
6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다
서울시 무형문화재 ‘한량무’ 보유자로
은관문화훈장 그리고: ‘향연’, ‘무원’
춤 80년 집약한 ‘조흥동 춤의 세계’
부록
무용인 조흥동 어머니 김음성 여사 -김태선 편저, 『예술가의 장한 어머니』(1999) 중에서
고전정신이 살아있는 조흥동의 춤판 -서연호, 『댄스포럼』(2021년 4월호)
월륜 조흥동 약력
월륜 조흥동 연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