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7737527
· 쪽수 : 82쪽
· 출판일 : 2022-07-19
목차
프롤로그; 로컬 담론은 현재진행형
1장: 하나의 의미로 정의하기 어려운 ‘로컬’
#원래 로컬은 글로벌의 상대적 의미였다
#컨센서스는 형성되지 않았지만 통용부터 시작된 단어 ‘로컬’
#로컬의 의미 확장: 물리적 공간만 로컬이 아니다
2장: ‘로컬’의 의미를 추적해 보다
#로컬이라는 기호(記號)에서 기의(記意)가 빠진 건 아닐까
#연구자들의 정리
#골목길 신드롬을 반영한 ‘하이퍼로컬’
#‘하이퍼’에 초점을 맞춰 깊게 파보는 로컬
#플랫폼과 결합한 골목상권은 ‘어떤 로컬’이라 해야하나?
#언중이 선택한 언어 ‘로컬’
#미화하고 싶은 언어습관 때문은 아닐까?
3장: 로컬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 로컬 개념 추적기(or 추정기)
#세계화와 동시에 태동한 로컬: 올림픽선수촌을 통해 경험한 이세계(異世界)
#문화적 자긍심이 글로벌보다 가치있는 로컬을 일깨우다
#지방자치제 부활, 글로컬리제이션; 본격적인 로컬 관점의 시작
#IMF 외환위기; 글로벌에 반발해 바라보는 로컬
#정보화 과정에서 형성된 로컬 세계관;
보다 협소한 물리적 영역개념과 비물리적인 가상공간까지
4장: 창업의 진화로 보는 로컬의 등장**
#외환위기 덕택에 형성된 창업문화
#청년 벤처: “창업은 기회”라는 긍정 심리를 형성
#생계형 창업·소자본 창업이 겪게 된 새로운 위기
#빠른 속도로 고도화되기 시작한 소자본 창업
#주5일 근무제가 가져온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5장: 골목상권의 진화로 보는 로컬
#새로운 골목상권 = ‘로컬’
#80년대 청년문화의 시작: 대학로
#문화·공연으로 발달해 콘텐츠 부재로 쇠퇴한 신촌 상권
#주변상권에서 중심상권이 된 홍대 상권
# 트렌스세터가 찾는 힙한 골목길의 기원이 된 강남 골목상권; 방배동 카페거리, 서래마을
#뜨는 골목의 원형(原形)으로 자리매김한 ‘가로수길’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