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항과 포스코

포항과 포스코

채헌 (지은이)
나루(도서출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포항과 포스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항과 포스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9119785594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우리나라 최초 일관제철소를 건설하여 산업화를 이끌어온 기업도시 포항을 본격 탐구하는 책이다. 저자는 포스코가 설립되면서 성장한 포항의 도약과 정체, 실패의 기록들을 부문별로 정리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철강도시의 탄생과 성장 배경

1 현대 포항의 시작과 포스코의 탄생 / 15
2 박태준 신화의 시작 / 22
3 성장의 시대, 제철 벤처 시대와 밀려오는 외지인 / 30
4 포항, 새로운 지배계층의 형성과 역할 분담 / 37
5 포항의 꿈, 4년제 대학 설립 / 43
6 제철노동자의 탄생, 포철공고에서 만난 사람들과 인생행로 / 51
7 포항시민의 삶, 죽도시장 / 59
8 통치자의 퇴장, 박 회장의 정치적 부침 / 67
9 성공적인 철강산업단지 조성, 고착화되는 철강 단일 경제 / 76

제2장 성장하지 않는 기업도시

1 포스코로 바뀐 포항종합제철, 전성시대를 열다 / 87
2 1990년대 중반 미래에 대한 논의 시작, 그러나 버거운 현실 / 94
3 추월당하는 포스텍 / 100
4 서서히 사양화되는 포항 철강산업 / 110
5 좌초된 테크노폴리스, 포기할 수 없는 미래의 꿈 / 121
6 확장되는 사회간접자본, 조금씩 어긋나는 타이밍 / 134
7 경주, 대구, 울산… 이웃도시와의 상생은 가능한가? / 142
8 동해안 최대 수산시장, 죽도시장의 부침과 저력 / 151
9 삐걱거리는 기업도시, 포스코의 내우외환 / 161
10 태풍 힌남노가 휩쓸어버린 포스코와 철강공단 / 169

제3장 포항의 미래, 어떻게?

1 셰필드와 빌바오의 경우 / 179
2 피츠버그와 기타큐슈의 경우 / 186
3 기업도시 포항의 위기와 지역사회의 대응전략 / 194
4 포스코와 지역발전 / 202
5 포항철강공단 업체의 여러 선택지 / 209
6 새로운 산업의 탄생과 정착, 이차전지 / 216
7 지곡밸리에서 만들어지는 꿈 / 223
8 동해바다의 장쾌함, 해양관광도시 / 232
9 영원한 숙제 거버넌스: 포항시, 포스텍, 포스코 그리고… / 240
10 일자리, 결국 양질의 일자리 창출 / 250

나오며 / 259

주석목록 / 265

저자소개

채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포항 흥해에서 태어났다. (재)포항테크노파크에서 21년째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이다. 20년 동안 학교와 직장생활로 객지를 떠돌다 35살에 고향인 포항에 다시 정착하였다.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위덕대학교(경주) 경영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역혁신기관인 지금의 직장에 근무하면서 지역혁신클러스터, 테크노폴리스, 지역신산업 육성에 관심을 가지고 일해 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도시인 포항에 살면서 포항의 성장과 부침에 대해서 정리하고 미래의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궁벽한 동해안 어촌도시에 ‘조국 근대화’의 기치로 건설되었던 포스코, 그리고 이 도시를 일구어 온 포항사람들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망해보기 위해서 구상되었다. 특히 포항에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포항의 경제가 어떻게 부침을 겪어왔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경제 주체를 각 부문별로 나누어서 분석해보았다. 경제 주체를 크게 포스코, 철강관리공단, 죽도시장, 포스텍 주변, 신성장산업, 해양관광 등으로 나누고 각각의 성장과 부침을 기술하고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그 과정을 통해서 포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면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 「들어가며」중에서


1967년 6월 21일 종합제철소 부지가 포항으로 결정되었을 때 포항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포항제철소의 포항입지가 가능했던 것은 군사안보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여건상 원료를 국외에서 들여와야 함으로 바닷가가 우선 고려되었고 포항은 한반도 남단 동남쪽에 위치하여 휴전선과 떨어져 있었다. 해병대가 있어서 ‘일단 유시 시’에 방어가 용이해서 그랬다는 의견들이 회자되었다.
- 「1장 1부 현대 포항의 시작과 포스코의 탄생」중에서


포철과 같이 들어온 인력들은 외지인들이 많았다. 사무직들은 새로 유입되는 엘리트였고 현장 노동자 또한 포철에서 만든 ‘제철공고’를 졸업한 인력들로 채워졌다. 이런 과정에서 도시의 지배 체제에도 변동이 생겨났다. 포항만의 거버넌스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특유의 작동 방식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 「1장 3부 성장의 시대, 제철 벤처 시대에 밀려오는 외지인」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4139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