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9791131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0-28
책 소개
목차
1부. 국어 교육과 교육 공학
1장. 국어 교육과 시각 교육
1. 교육 공학의 이해
2. 사실적 표상을 활용한 시각 교육
3. 추상적 표상을 활용한 시각 교육
2장. 국어 교육과 시청각 교육
1. 시청각 교육
2.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3장. 국어 교육과 테크놀로지
1. 내용 교수 지식(PCK)
2.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
3. 국어과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K-TPACK)
2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국어 교육
4장.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국어 교육
1. 생체 신호의 이해
2. 신경계와 바이오피드백의 원리
3.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화법 교육
5장.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국어 교육
1. 시선 추적 분석의 원리
2.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자료 해석 과정 분석
3. 히트 맵을 활용한 읽기 과정 교육
6장. 음성 분석을 활용한 국어 교육
1. 음성 기록 매체와 음성의 물리적 특성
2. 발성과 포먼트(formant)의 이해
3. 포먼트를 활용한 발음 교육과 교정
7장. 생체 신호를 활용한 국어과 프로젝트
1. 생체 신호를 활용한 복합 양식 미디어 텍스트 탐구
2. 생체 신호를 활용한 욕설 현상 탐구
3. 생체 신호를 활용한 영화 수용 현상 탐구
3부. 국어 교육과 ICT & AI
8장. 국어 교육과 정보 통신 기술
1. 전신기와 한글의 만남
2. 한글과 타자기의 만남
3. 한글 기계화 쟁점을 활용한 토론
9장. 국어 교육과 인공 지능
1. 교과 기반 코딩 교육
2. 국어 교육과 알고리즘
3. 영상 서사물의 서사 거리 측정 알고리즘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체 신호와 관련된 테크놀로지 지식(TK)과 테크놀로지 내용 지식(TCK)에 해당한 바이오피드백을 국어과 화법 교육으로 발전시킬 경우, 바이오피드백을 교육적 비계(Instructional Scaffolding)로 활용하는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말하기 과정 지도에서 생체 신호 프로파일을 교육적 비계로 활용한다면,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근접 발달 영역을 더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지식(CK)’인 음운론과 ‘테크놀로지 지식(TK)’인 음성 분석 도구 프라트(Praat) 사용법을 융합하면 ‘테크놀로지 내용 지식(TCK)’인 ‘프라트(Praat)를 활용한 모음 체계 분석 방법’이 된다. 이를 음운론 교육 방법으로 발전시켜 체계를 갖추면 ‘음성 분석 도구를 활용한 음운론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으로 완성된다.
언어폭력의 실체를 생체 신호를 토대로 탐구하는 활동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국어 교육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보이지 않는 욕설의 위험성을 가시적인 테이터로 분석하는 활동은 국어과 중심의 융합 탐구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어과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탐구하는 경우, 탐구 결과물을 사회적 캠페인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