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91198205803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008 일월부상도 日月扶桑圖 Sacred Tree of Sun and Moon
015 모란도 牡丹圖 Peony Painting
022 모란도 牡丹圖 Peony Painting
027 모란도 牡丹圖 Peony Painting
028 모란도 牡丹圖 Peony Painting
034 화조인물도 花鳥人物圖 Flowers, Birds and Human Figure
044 화조고사도 花鳥故事圖 Painting of Old Story and Flowers
052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54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58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60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66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74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78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80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88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092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100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105 모란도 牡丹圖 Peony Painting
106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114 화조도 花鳥圖 Flowers and Birds
118 화조어해도 花鳥魚蟹圖 Flowers, Birds and Fishes
124 신구연화도 神龜蓮花圖 Auspicious Turtles and Lotuses
125 신구연화도 神龜蓮花圖 Auspicious Turtles and Lotuses
126 연화도 蓮花圖 Lotuses
134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40 제주문자도 濟州文字圖 Jeju Munjado, Ideographs of Jeju
148 제주문자도 濟州文字圖 Jeju Munjado, Ideographs of Jeju
154 제주문자도 濟州文字圖 Jeju Munjado, Ideographs of Jeju
162 주문자도 濟州文字圖 Jeju Munjado, Ideographs of Jeju
168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72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80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86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89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90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194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00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08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16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24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30 문자도 文字圖 Munjado, Ideographs
234 혁필문자도 革筆文字圖 Munjado, Rainbow Painting
242 혁필문자도 革筆文字圖 Munjado, Rainbow Painting
248 혁필문자도 革筆文字圖 Munjado, Rainbow Painting
252 혁필문자도 革筆文字圖 Munjado, Rainbow Painting
256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60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68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76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78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80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82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90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298 책거리 冊巨里 Chackgeori, The Scholar's Accoutrements
308 호피장막문방구도 虎皮帳幕文房具圖 Scholars Accoutrements in a Leopard Skin
312 자수화조도 刺繡花鳥圖 Embroidery of Flowers and Birds
353 어변성룡도 魚變成龍圖 Painting of a Carp Changing Into a Dragon
354 어해도 魚蟹圖 Fishes
360 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 The Eight Views of Xiao and Xiang Rivers
366 관동팔경도 關東八景圖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374 무이구곡도 武夷九曲圖 The Nine Scenic Views in Wuyi Mountain
380 금강산도 金剛山圖 Painting of Mt. Geumgang
388 금강산도 金剛山圖 Painting of Mt. Geumgang
396 호렵도 胡獵圖 Hunting Scene
402 삼국지도 三國志圖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406 구운몽도 九雲夢圖 The Cloud Dream of the Nine
412 상산사호도 商山四晧圖 The Four Sages of Shang Shan
414 봉황 鳳凰 Phoenixes
416 봉황 鳳凰 Phoenixes
418 봉황 鳳凰 Phoenixes
420 해태 獬豸 The Unicorn-Lion
421 해태 獬豸 The Unicorn-Lion
422 해태 獬豸 The Unicorn-Lion
424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25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26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28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30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36 용 龍 Dragon
439 운룡도 雲龍圖 Dragon and Clouds
440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41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42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44 호랑이 虎圖 Tiger
446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48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50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52 까치호랑이 虎鵲圖 Tiger and Magpies
454 호랑이 虎圖 Tiger
455 호랑이 虎圖 Tiger
456 호랑이 虎圖 Tiger
458 호견도 虎犬圖 Tiger and Dog
460 표피도 豹皮圖 Leopard Skin
468 표피도 豹皮圖 Leopard Skin
470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2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3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4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5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6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7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8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79 감모여재도 感慕如在圖 Spirit House
480 십이지신도 十二支神圖 Twelve Animals of the Korean Zodiac
494 산신도 山神圖 The Spirit of the Mountains
495 산신도 山神圖 The Spirit of the Mountains
498 거먹산 신령도 神靈圖 The Spirit of the Mountains
499 삼각산 신령도 神靈圖 The Spirit of the Mountains
500 무신도-산신령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Mountain God
502 무신도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04 무신도-신마도령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05 무신도-옥황상제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Taoist God of Heaven
506 무신도-부군할머니 부군할아버지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randmother and Grandfather God of the Shamanic Shrine
507 무신도-화주당 대신할머니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the Grandmother for Wish-fulfillment
508 무신도-화주당 박씨할머니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the Grandmother Park for Wish-fulfillment
509 무신도-화주당 대신할머니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the Grandmother for Wish-fulfillment
510 무신도-신덕왕후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Queen Shindeog
511 무신도-바리공주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Princess Bari
512 무신도-산신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Mountain God
514 무신도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15 무신도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16 무신도-여왕애기씨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Maiden God of the Queen
517 무신도-세천님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18 무신도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19 무신도-육갑신장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520 무신도-작두신령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od of Fodder-Chopper
521 무신도-백학선관 巫神圖 Shamanistic Spirits, Great King of Heaven
522 무신도-부군 巫神圖-府根 Shamanistic Shrine
523 무신도-부군 巫神圖-府根 Shamanistic Shrine
524 제주도 내왓당 무신도 濟州道 내왓堂 巫神圖
Paintings of Shamanistic Spirits in Naewatdang Shrine, Jeju-do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명의 잔치, 화조도(花鳥圖)
翩翩黃鳥(편편황조)
펄펄 나는 저 꾀꼬리
雌雄相依(자웅상의)
암수 서로 정답구나.
念我之獨(염아지독)
외로울사 이내 몸은
誰其與歸(수기여귀)
뉘와 함께 돌아갈꼬.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유리명왕
꽃이 피고 새가 난다. 대지는 꽃에 물들고 새들의 지저귐으로 들썩인다. 봄은 한 해의 시작이자 생명이 약동하는 계절이다. 그러한 서정을 그림으로 남겼다. 어느 산천에나 있는 흔한 개나리에서부터 뜰 앞의 모란, 연꽃, 매화 등을 장식적·추상적으로 표현했다. 꽃은 더욱 화려하게, 새는 더욱 생동감 있게.
화조도의 조형표현은 실재하는 듯한 사실적인 묘사에서부터 의미가 담긴 상징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보통 부부금슬이나 자손번창 등의 의미를 담고 있지만 인생에서의 소망이나 기원을 담기도 한다.
화조도는 자연을 객관적으로 묘사한 풍경화가 아니기에 등장하는 꽃이나 새 역시 현실적인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 자연으로부터 생명이나 기쁨의 요소를 선택하여 작자의 의지대로 재조합(collage)한 것이다. 그 궁극은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고 흩어지는 생명에너지의 잔치판이다.
화조도는 생동하는 자연의 관찰과 묘사로부터 시작되어 마침내 우주의 운행 질서를 함축하는 문학적 서사로 확장된다.
그림이고 싶은 글자, 문자도(文字圖)
“아! 그림과 문자는 같은 원인으로 시작되었고 같은 사물을 담아낸 것이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이 문자를 중시하면서 그림은 깔봐서 … 김군(단원 김홍도)이 사는 곳에 대우(對右, 왼편인 그림의 자리에서 오른편인 문자를 대등하게 바라보는 것)라고 편액을 단 것은 옛사람의 좌도우서란 뜻에서 취한 것이다. 그림과 문자가 분리되어 외롭게 행해짐이 얼마였던가! 지금 다시 합해졌으니 양가(兩家)가 서로 축하할 만하다.”
-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 이용휴(惠寰 李用休)
서화동원(書畵同原)이라는 개념은 본래 글자와 그림이 한 몸이었음을 암시한다. 글자와 그림이 조합된 문자도가 출현할 당시에는 어떻게 불렸을지 모르지만, 오늘날에는 ‘그림글자(繪畫書)’가 아닌 ‘글자그림(文字圖)’으로 불리고 있는 것은 글자를 그림의 한 부분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작 문자도의 설명은 여전히 글자(효제충신예의염치)의 뜻에 치중하고 있다.
타이포스트레이션(typo+illustration)이나 텍스티미지(text+image)라는 조어들이 출현하고 있지만, 사진작가 네를리쉬(N. Nerlich)는 이코노텍스트(iconotext, icon+text)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글자와 그림이 각각 독자성을 유지하는 이코노텍스트는 두 체계 간의 대립·보완을 통해 역동적 긴장을 만들어낸다.
지식의 입구인 글자에 대한 존중에서 글자를 소재로 택했지만, 글자의 세계는 여전히 어렵고 딱딱하다. 간단하게 한 글자에만 집중했지만 이 또한 그림으로 변해간다. 글자 특유의 도덕과 지식보다 그림의 색채와 분방함에 직관적으로 끌린다.
시각 이미지의 득세, 텍스트의 상대적 퇴조라는 현대인의 정서는 비약적 기술 발전에 따른 의사소통 모드의 변화 때문이다. 문자도의 매력에 빠질 수밖에 없는 시절, 문자도는 ‘현재’의 기호와 감성을 환기하는 ‘과거’다.
지식에 대한 열망, 책가도(冊架圖)/책거리(冊巨里)
서화에서 향기가 나려면 “만권의 책을 읽고 만 리 길을 여행하라(讀萬卷書 行萬里路).”
-중국 명나라 문인인 동기창(董其昌)
책가도는 문(文)을 중시했던 조선후기 정조의 정치적 표상과 같은 그림이다. 글을 읽고 학문의 길을 추구하거나 학덕을 쌓아 큰 뜻을 이루기 위한 소망이 있는 선비라면 마땅히 서책에 관심이 높았을 것이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거실의 장을 채우던 시절이 있었다. 책가도는 서책에 대한 갈망을 해소해 주었을 뿐 아니라 타인에게 자신의 지적 편력을 과시하고 싶은 욕망의 시현이기도 하다.
책가도의 회화적 매력은 표현의 의외성(비현실성)이다. 사물들이 각기 다른 쪽을 향하는 다시점 기법으로 표현된 책이나 사물은 언뜻 이집트 벽화 같은 생경함을 준다. 파격적인 구조이지만 시각요소의 배치와 균형은 조화롭다.
서구에서 기원하여 중국을 거쳐 들어 온 책가도는 서양식 원근법에서 변용된 역원근법, 이국적인 소재, 추상적인 표현 등 국제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새로운 양식의 출현이다.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고 여행은 서서 하는 독서’라고 한다. 만권의 책을 여행하겠다는 포부를 다지고 형태와 색채의 풍성한 독서를 체험하기에는 책가도가 제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