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826812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3-08-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4
PART 01 절약, 나의 자산을 늘리기 위한 시작
Q1. 절약을 왜 해야 하나요? 14
Q2. 절약은 어디서부터 해야 하나요? 17
Q3. 커피값을 절약하면 도움이 되나요? 20
Q4. 절약하고 있는데 돈이 모이지 않아요 23
Q5. 절약이 투자로 이어질 수 있나요? 26
Q6. 절약을 즐겁게 할 수 있나요? 28
Q7. 한 번 사는 인생, 절약 말고 즐기는 것은 어떨까요? 30
Q8. 절약 계획을 세우지 마세요 33
Q9. 친구가 절약이 쓸데없는 짓이래요 35
Q10. 절약의 완성은 습관화입니다 37
Q11. 신용카드 자르고 체크카드 쓰세요 41
PART 02 저축, 부자가 되는 첫 번째 길
Q12. 저축은 왜 해야 하나요? 44
Q13.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종금사는 다른 거예요? 47
Q14. 어디에 저축해야 할까요? 50
Q15. 저축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52
Q16. 모으기만 할래? 이자도 받을래? 55
Q17. 저축으로 부자 될 수 있어요? 59
Q18. 달러로 저축한다던데요? 63
Q19. 저축의 완성은 행동 66
Q20. 월급에서 얼마 정도 저축해요? 69
PART 03 투자, 저금리 저성장 시대 필수 조건
Q21. 투자는 왜 해야 하나요? 72
Q22. 투자하면 원금 보장되나요? 76
Q23. 손실 없는 투자를 하고 싶어요 78
Q24. 채권에만 투자해도 되나요? 81
Q25. 한 종목에만 투자해도 되나요? 83
Q26. 절약 - 저축 - 투자는 한 몸 85
Q27. 분산 투자는 왜 하는 것인가요? 88
Q28. 투자에도 계획이 필요할까요? 95
Q29. 투자의 완성은 습관입니다 98
Q30. 투자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100
Q31. 매달 일정한 투자금을 설정해볼까요? 103
Q32. 월급에서 얼마 정도 투자해요? 106
PART 04 보험, 사고와 재정적 리스크를 막는 대책
Q33. 보험은 왜 가입해요? 110
Q34. 보험은 저축이에요? 투자예요? 113
Q35. 월급에서 보험료는 얼마 정도 내야 할까요? 115
Q36. 종신보험, 실손의료비보험, 암보험은 다른 것인가요? 118
Q37. 친구가 보험영업을 하는데요 121
Q38. 보험은 다이렉트가 싸겠죠? 123
Q39. 연금보험은 연금저축펀드와 무엇이 다른가요? 126
Q40. 정기보험은 왜 싼 거죠? 130
Q41. 보험은 결국 손해 보는 것 아닌가요? 133
Q42. 보험으로 부자 될 수 있나요? 135
Q43. 보험의 완성은 설계 137
PART 05 연금, 국민연금 + 개인연금 + 퇴직연금으로 준비하는 노후대비
Q44. 연금은 왜 준비해야 하나요? 142
Q45. 국민연금으로 노후대비 된 것 아닌가요? 145
Q46. 연금 대신 저축해두면 되는 것 아닌가요? 149
Q47.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생각하면 된대요 151
Q48. 세액공제가 되는 연금저축펀드? 153
Q49. IRP는 뭔가요? 156
Q50. 퇴직연금은 회사에서 알아서 적립해주겠죠? 158
Q51. 월급에서 얼마를 연금으로 넣어야 하나요? 162
Q52. 연금의 완성은 꾸준함입니다 167
Q53. 연금은 몇 살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169
Q54. 한 달에 10만 원 넣은 연금저축펀드가 노후에 도움이 될까요? 171
PART 06 배당과 월세, 제2의 소득 만드는 법
Q55. 월급이 끊기면, 어떤 소득으로 살아가야 할까요? 174
Q56. 주식은 배당, 부동산은 월세 177
Q57. 주식 투자하는데 매달 배당금이 입금된다고? 179
Q58. 월 100만 원 배당금 받으려면 얼마를 투자해야 하나요? 183
Q59. 주식 투자는 모두 배당주로만 하면 되겠죠? 185
Q60. 배당도 세금을 내나요? 187
Q61. 배당받으면 주식 가격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요? 189
Q62. 배당은 왜 하죠? 192
Q63. 미국 주식은 배당도 달러로 입금되나요? 195
Q64. 오피스텔을 하나 사서 월세 받으면 되는 거죠? 197
PART 07 주식, 돈이 일하게 만드는 투자
Q65. 주식 투자는 너무 어려워요 200
Q66. 원금 보장되는 주식 있나요? 202
Q67. 리딩방이 도움이 될까요? 205
PART 08 부동산, 내 집 마련의 시작
Q68. 월급만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나요? 208
Q69. 전세? 월세? 어떤 것으로 시작해야 하나요? 211
Q70. 대출은 안 받는 게 좋겠죠? 214
Q71. 갭 투자하면 돈 벌기 쉽다던데요 217
Q72. 1주택 보유가 첫 번째 부동산 투자입니다 220
Q73. 투자와 거주를 분리해야 하나요? 223
Q74. 집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집값이 계속 오를까 봐 걱정이에요 227
Q75. 집을 사려고 하는데 집값이 계속 내려갈까 봐 걱정이에요 229
Q76. 청약통장은 무조건 준비해야 하는 거죠? 231
Q77. 2, 3년 묵히면 3, 4배 되는 땅이 있다는데 사야겠죠? 237
Q78. 서울 신축 아파트 청약 당첨은 무조건 돈 버는 거죠? 239
PART 09 사업, 월급 외 수익 만드는 방법
Q79. 직장인인데 사업할 수 있나요? 242
Q80. 망하면 어떡해요? 꼭 사업을 시작해야 하나요? 244
Q81. 왜 N잡러가 되어야 하나요? 247
Q82. 소득의 다양화는 무슨 말인가요? 250
Q83. 좋아하는 분야의 사업으로 시작하라던데요 252
Q84. 초기 투자금이 부담스러워서 사업 시작을 못 하겠어요 254
Q85. 인터넷 판매를 하려는데 어떤 아이템이 좋을까요? 256
Q86. 카페, 밴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를 해야 할까요? 259
Q87. 유튜브는 사업에 도움이 되나요? 262
Q88. 한 번에 여러 가지 사업을 할 수 있나요? 264
PART 10 재무설계, 내 인생의 돈 계획
Q89. 재무설계가 필요한가요? 268
Q90. 좋은 재무설계사는 누구인가요? 271
Q91. 월급에서 지출을 정해주는 게 재무설계인가요? 273
Q92. 보험으로만 재무설계를 끝낼 수 있나요? 275
Q93. 무료로 재무설계 해준대요 277
Q94. 저는 재무설계 필요 없어요 279
Q95. 재무설계가 중요한 이유 281
PART 11 재무설계 실전 편, 사회초년생을 위한 투자 조언
Q96. 사업을 시작하려고 해도 자신이 없어요 284
Q97. 주식 투자로 부자가 되고 싶어요 287
Q98. 부동산을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나요? 290
Q99. 자산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하나요? 295
Q100. 결혼, 상대가 돈을 대하는 태도를 살펴보세요 29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번 달은 꼭 절약해서 저축도 하고 투자도 해야지!’
이 다짐은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계획이 없는 목표를 이룬 경험이 있는지 돌아보시기를 바랍니다. 필자는 없습니다. 가끔 계획 없이 목표를 이룬 경험이 있다고 해도 그 경험이 의미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 나에게 쌓이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목표를 이루었지만, 왜 이루었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매달 저축하고 싶다는 마음을 갖는 것부터가 시작입니다. 마음을 먹었다면 ‘그다음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가 아닙니다. ‘이 마음을 어떻게 지켜낼까?’를 생각해야 합니다. 물론 우리에게는 남는 돈이란 없습니다. 돈을 쓸 곳이 무궁무진하죠. 남는 돈이 생기려야 생길 수가 없습니다. 매달 저축하려면 매월 정기적인 수익이 있어야 합니다. 가장 첫 번째는 정기적인 수익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미 있다면, 그 수익에서 저축으로 선입금시킬 금액을 정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먹은 첫 달부터 계획된 대로 잘 실행이 된다면 이미 그 사람은 절약과 저축이 몸에 배어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첫 달에는 급여의 5% 정도로 시작해봅시다. 5%의 저축도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두 번째 달은 조금 쉬워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달라지는 나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5%가 쉬워지면 조금 늘려봅시다. 그렇게 저축을 시작하는 것이죠.
한 달에 얼마를 투자해야 하는지 정해져 있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처음부터 너무 큰 금액을 정하게 되면, 결국 꾸준히 투자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적당한 비중으로 투자를 시작해서 점점 투자금을 늘려가거나, 주식 시장 상황에 맞게 적절히 투자 비중을 스스로 정해 나가는 것도 방법이겠지요.
일단 지금은 무엇이든지 처음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해봅시다.
1. 급여의 일정 비율
2. 매월 납입할 금액
3. 매일 만 원씩 절약해서 투자
필자가 추천해 드리는 3가지입니다. 이 중에서 3가지를 선택해서 진행해도 되고요. 2가지를 선택해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느냐입니다. 매월 만 원씩 투자해도 됩니다. 그것을 꾸준히 지속할 수만 있다면 말이죠. 하지만 우리가 지양해야 할 것은 처음부터 목표를 크게 잡아서 지속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