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98268716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3-05-20
책 소개
목차
역사 여행을 시작하며
연표
1. 충주 | 충주 고구려비
2. 경주 | 천마총 금관
3. 공주 | 무령왕릉
4. 서울 | 강서대묘 현무도
5. 부여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6. 경주 | 석굴암 본존불
7. 강화도 | 팔만대장경
8. 서울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9. 서울 | 아미타삼존내영도
10.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11. 서울 | 경복궁
12. 서울 | 훈민정음
13. 담양 | 소쇄원
14. 서울 | 백자 청화매조죽문 호
15. 남양주 | 광해군묘
16. 해남 | 윤두서 자화상
17. 서울 | 금강전도
18. 수원 | 화성
19. 서울 | 독립문
20. 서울 | 조선왕조실록
역사 여행을 마무리하며
역사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답사 코스
도전! 대표 문화유산 84 찾아가기
한 번 더 확인해 볼까요?
사진 제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글로 다 담지 못한 이야기들을 유물들이 대신해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유물이나 유적 자체가 역사의 한 장면을 채워 주는 기록의 역할을 해내고 있죠. 특히 문자 기록이 충분하지 못했던 고대 역사는 유물 들이 당시의 삶을 밝히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되어 줍니다. 새로운 유물이 발견되어 역사를 고쳐 쓰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거든요.
충주 고구려비가 세워진 때는 5세기 중후반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이 무렵에 고구려가 한강 남쪽까지 세력을 키웠다는 사실을 이 비가 알려 주는 거죠. 당시 고구려가 한창 영토를 넓히고 있었거든요.
‘천마총’은 경주에 있는 고분입니다. 1973년 발굴을 통해 내부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는데요. 금관뿐 아니라 팔찌, 그림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무덤을 천마총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유물 가 운데 천마(天馬, 말) 그림이 함께 발견되었기 때문이에요. 도굴당하지 않았기에 무덤 안에 금관을 비롯해 많은 유물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죠. 천마총 금관은 무덤 주인이 쓰고 있는 상태 그대로 발견되었다고 해요. 천마총 이외에도 신라의 금관이 여럿 발굴되었지만, 이렇게 매장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 준 예는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