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98269119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04-13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 5
1부. prologue_대승의 중생구제: 수륙재와 감로탱 | 13
2부. 수륙연기와 수륙재, 그리고 우란분재 | 55
1. ‘수륙연기’설화와 아귀들의 구제 | 57
2. 수륙재의 감로탱에 나타나는 우란분재의 영향 | 63
^감로탱의 ‘쌍아귀’와 우란분재의 ‘쌍왕’
^면연귀왕과 아귀들, 그리고 항하 강가의 아귀들
^우란분재의 단壇
^구제의 그릇: 수륙재의 ‘곡기斛器’와 ‘발우鉢盂’, 우란분재의 ‘우란분盂蘭盆’
^감로탱의 목련 도상
3부. 문중門中 고승들의 수륙재, 그리고 감로탱의 등장과 전개 | 109
1. 수륙재의 성격 및 주요 의식문의 종류와 특징 | 117
2. 『제반문』과 『청문』의 간행, 그리고 『청문』(1529)의 「대령소참對靈小參」 | 160
3. 보우의 『수월도량공화불사』의 성격과 특징 | 177
^감로탱에서 법사法師와 증사證師 도상의 수용
^영산작법에서 ‘사다라니四陀羅尼’의 수용과 ‘원관圓觀’의 연계
4. 보우의 ‘왕실 기신재忌晨齋’와 서산의 영혼식 | 212
5. 불교 사명일四名日의 등장과 전개, 그리고 ‘재齋 형식의 제사’ | 224
6. 16세기 불교 사명일과 ‘재 형식의 제사’의 예例 | 248
7. 17세기 해인사 『수월도량공화불사』 판본의 성격과 특징 | 257
8. 『오종범음집』(1661) 「총림대찰사명일영혼시식지규」의 의례분석 | 269
9. ‘왕실 기신재’와 불교 사명일의 중요 작법동선, 그리고 감로탱의 봉안 | 303
10. <안성 청룡사 감로탱>(1692)과 ‘삼보가피三寶加被’의 도상 | 320
11. 불교의 연희문화와 연희자, 그리고 감로탱 도상의 반영 | 327
4부. 반운당 지선의 어산魚山 이력으로 보는 조선시대 어산사 | 355
5부. 감로탱 도상의 수륙재 의례승과 연희대중 | 379
1. 주요 대중소임의 의례승들 | 381
2. 금판禁板을 든 승려와 개문게開門偈 | 391
3. 책冊을 든 승려 | 409
4. 부채를 든 승려 | 419
5. 거사와 사당, 무동 | 428
6부. 감로탱 도상의 하단 소청召請 대상들 | 445
1. 16청請·25청請·4청請 | 447
2. 유주고혼有主孤魂과 무주고혼無主孤魂 | 459
3. 거사와 사당 | 472
4. 초란이 | 476
5. 미물들 | 490
7부. <고려대 소장 감로탱>의 도상 분석과 의례 | 495
인용문헌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