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98344502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목차
집필 동기 및 대상 설명
제1부 개성있는 한국의 시장상가아파트
1장 이런 곳에도 아파트가 있다
영진아파트/서울 영진종합시장
이태원시장아파트/서울 이태원시장
한신전자타운아파트B동/서울용산전자타운상가
중앙상가아파트/통영 중앙시장
서호상가아파트/통영 서호시장
신천지아파트/부산 신천지시장
보수아파트/부산 보수종합시장
영동아파트/수원 영동시장
부전아파트/부산 부전시장
중앙상가아파트/진해 중앙시장
공설시장아파트/증평 장뜰시장
2장 비현실적으로 매력적인 공간
세운전자상가, 청계상가, 대림상가/서울 세운상가
부산데파트/부산 부산데파트
소라아파트/수원 남문시장
치악맨션/원주 남부시장
남문2지구아파트/대구 남문시장
원미상가아파트/부천 원미상가
수정상가아파트/부산 수정시장
중앙빌라트/동해 중앙시장종합상가
양양시장연립주택/양양 양양전통시장
3장 소박한 공간
삼아아파트/대구 평화시장
서부시장/전주 서부시장
금암상가맨션/전주 금암상가
명산상가아파트/군산 명산시장
4장 그들만의 작은 마을
낙원아파트/서울 낙원상가
인흥상가아파트/대전 인동시장
동부아파트/강릉 동부시장
5장 구조가 독특한 아파트
중앙아파트/전주 중앙상가
중앙아파트/청주 중앙시장
칠성상가아파트/대구 칠성시장
산격종합시장/대구 산격종합시장
한진아파트/마산 산호시장
제2부 한국의 시장상가아파트 아카이브
1장 시장상가아파트의 운명
첨부: 서울의 시장 및 상가아파트의 개발 현황 리스트
2장 전국시장상가아파트 아카이브
3장 시장상가아파트의 건축 유형
4장 전국시장상가아파트 리스트 127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주상복합형 상가아파트들은 바깥에서 볼 때는 재미없는 콘크리트 성냥갑 건물로 보이지만 건물 위 주거 공간에는 중정이나 독특한 외벽 색 등 실로 놀랄만한 매력적 공간을 품고 있는 곳이 많았습니다. 그곳에 계속 살아오신 분들에게는 그 공간이 일상이지만 외부인이자 세대가 다른 방문자의 시각에서는 너무나 놀라운 숨겨진 멋진 공간이었습니다.”
“이들 세운상가처럼 많은 시장상가아파트 내부에는 중정이 있다. 아래 상가 블록 층은 유휴 부지를 최대한 살려 건물을 짓고 그 안에 빽빽하게 상가 호실을 배치했지만, 상층부 주거 공간은 주거의 쾌적성을 위해 가운데를 비워 두었다. 중정의 천장 쪽에 아케이드 형식으로 지붕을 만들어 달아 빗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중정 공간을 실내화 시킨 곳이 많지만, 그냥 중정을 하늘과 맞닿게 그대로 둔 곳들도 있다. 필지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인 경우, 가운데 난 사각형의 중정과 내부 복도가 어우러져 마치 현대 추상 미술의 한 장면 같은 기하학적 대칭미를 만들어 내는 곳들이 많다. 세운전자상가, 청계상가, 대림상가도 그런 곳이었다”
“전국에서 인구가 몰리는 서울의 경우는 전통시장에 있는 시장상가아파트들이 개발된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우선 시장 일대가 전부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어 주변 지역과 한데 더불어 개발된 경우가 몇 건 있었다. 시장 건물 자체로는 사업성이 나오지 않았지만 주변 지역이 워낙 낙후되어 재개발이 되면서 일대가 전부 변한 경우이다. 이 경우 시장의 존재는 개발 이후에는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위 경우보다 많은 케이스가 시장 자체만으로 개발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상가 전용 건물로 재개발된 경우도 일부 있었지만, 저층은 상가이고 상층부는 아파트나 도시형생활주택인 주상복합형 건물로 개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토지 용도가 상업용지이거나 준주거지역인 곳이 먼저 개발되었고, 강남권의 경우는 일반주거지역인 경우도 도시형생활주택 등으로 개발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