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약학 > 임상 의학
· ISBN : 9791198472045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Part 1
확장된 정의의 스포츠 약학
CHAPTER 1-1 새롭게 정의하는 스포츠 약학
- '스포츠 영양학'이란?
- '스포츠 약학'이란?
- 참고 : 알아두면 좋은 스포츠 약학 관련 키워드
CHAPTER 1-2 스포츠 약학의 기본 지식
CHAPTER 1-3 스포츠약사의 역할
CHAPTER 1-4 국내외 스포츠약사
- 일본의 스포츠약사 인증제도
- 국내 스포츠약사 인증제도
CHAPTER 1-5 '스포츠 영양 & 약학' 적용의 기본: 신진대사와 인체 에너지
- 신진대사
- 식품 에너지
- 인체 이용 에너지
- 기초대사량
- 식이성 발열 효과
- 신체활동대사량
- 대사당량
- 적응 대사량
Part 2
스포츠 영양의 이해 & 6대 영양소
CHAPTER 2-1 건강과 영양
- 영양소의 종류와 영양소 섭취 권장량
- 영양소 섭취기준(DRI)의 종류
-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 밀도
-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
- 마이 플레이트(MyPlate)
- 채식주의
- 파이토케미컬
- 영양정보와 영양표시
- 영양부족이 아닌 영양과잉의 시대
CHAPTER 2-2 탄수화물: 바로 쓰는 에너지원
- 탄수화물의 대사
- 혈당지수와 혈당부하
- 탄수화물과 운동
- 탄수화물 축적과 케토시스
CHAPTER 2-3 단백질: 구성하는 에너지원
- 단백질의 질적 차이를 구분하는 기준
- 단백질과 운동
- 다양한 단백질 유래 영양성분
- 대표적 아미노산류
CHAPTER 2-4 지방: 두고 쓰는 에너지원
- 지방의 대사와 운동
- 지방의 활용
CHAPTER 2-5 비타민: 유기 조절 물질
- 지용성 비타민
- 수용성 비타민
- 비타민 복용 이유
CHAPTER 2-6 미네랄: 무기 조절 물질
- 다량 미네랄
- 미량 미네랄
CHAPTER 2-7 수분과 전해질
- 수분
- 체수분 분포
- 체수분 평형
- 전해질
- 체온조절
Part 3
스포츠와 약학: 도핑금지물질(WADA CODE) 위주
CHAPTER 3-1 도핑이란?
- 도핑의 역사
- WADA(World Anti-Doping Agency)와 ITA(International Testing Agency)
CHAPTER 3-2 상시 금지물질(S0~S5) & 상시 금지방법(M1~M3)
- S0 비승인약물
- S1 동화 작용제(아나볼릭 제제)
- S2 펩티드 호르몬, 성장인자, 유사제
- S3 베타-2 작용제(기관지 확장제)
- S4 호르몬 및 대사변조제
- S5 이뇨제 및 은폐제
- 금지방법(M1~M3
CHAPTER 3-3 경기 기간 중 금지물질(S6~S9)
- S6 흥분제
- S7 마약
- S8 카나비노이드
- S9 글루코코르티코이드
CHAPTER 3-4 특정 종목 금지(P1)
CHAPTER 3-5 치료목적사용면책(TUE)
- 치료목적사용면책 신청방법
CHAPTER 3-6 반감기(Half-life)와 세척(배출)기간(Washout period)
- 반감기
-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수
-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약물 및 물질의 변수
- 세척(배출)기간(Washout period)
CHAPTER 3-7 공무원 임용을 위한 체력시험의 도핑금지약물
CHAPTER 3-8 도핑의 고도화
CHAPTER 3-9 약국에서 조심해야 할 약과 한약제제
- 한약 및 한약제제 속 금지성분
Part 4
도핑 걱정 없이 선수의 역량을 끌어올리는 전략
CHAPTER 4-1 체형 관리(영양/다이어트)
- 성인기의 영양 특성
- 성인기의 영양소 섭취기준
- 성인기의 만성질환
- 비만
-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
- 성인의 표준체중(이상체중)
- 신체 조성
- 식이 조절과 연관된 호르몬
- 비만을 치료하는 의약품과 보조제
- 한방원리 다이어트 의약품
- 다이어트 보조제(건강기능식품)
- 행동수정요법
- 식사요법
- 운동요법
CHAPTER 4-2 근거 중심의 스포츠 보충제와 영양섭취 타이밍
- 스포츠 보충제 구분
- 스포츠 약료 보충제(약리학적 보충제)
- 스포츠 영양 보충제(스포츠 음식)
- 스포츠 수행능력 보충제(에르고제닉 보충제)
- 스포츠 수행능력 보충제의 질적 레퍼런스
-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 국제스포츠영양학회(ISSN,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s)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 미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호주체육연구소(AIS, Australian Institute of Sport)
- 스포츠 보충제(영양제) 선택 시 주의해야 할 점
- 도핑에 안전한 영양제를 인증하는 기관
- 영양제 복용 타이밍
- 스포츠 보충제 섭취 타이밍(NTS)
CHAPTER 4-3 부상 관리: 테이핑 요법과 파스
- 스포츠 손상과 근골격계 손상
- 근골격계 해부생리학 및 통증 종류(기초 해부생리학)
- 손상 형태에 따른 종류
- 기간에 따른 통증 구분
- 통증 관리(통증완화 및 치료방법)
- 글루코코르티코이드(스테로이드) 도핑 이슈
- 컨디셔닝의 정의
- 테이핑 요법
- 스포츠 테이핑
- 테이핑 요법의 원리
- 테이핑 요법의 적용 범위
- 테이핑 요법의 효과 및 주의점
- 테이핑의 방법과 종류
- 파스의 정의와 주성분
- 반대 자극제
- 파스의 종류
- 올바른 파스 선택법
Part 5
스포츠약학회와 스포츠 약료 실전 상담
CHAPTER 5-1 스포츠약학회와 활동 사례
- 스포츠약학회 활동
CHAPTER 5-2 스포츠 약료 사례
-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체전 '스포츠약국' 최초 운영
- 대한민국 약사학술제 복약지도경연대회 대상 수상작
- 스포츠약학회 학술제 복약지도경연대회 수상작 1
- 스포츠약학회 학술제 복약지도경연대회 수상작 2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