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98618702
· 쪽수 : 186쪽
· 출판일 : 2024-0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목차
01 선거의 의미와 역사
현대 사회에서 선거의 의미는 무엇일까?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대표를 어떻게 뽑았을까?
근대에는 선거가 어떻게 바뀌었을까?
노동자들은 투표권이 없었다고요?
여성들은 투표권이 없었다고요?
흑인들은 투표권이 없었다고요? - 입헌주의
02 선거의 방식
뽑는 데에도 원칙은 있다? - 선거의 4대 원칙
직접 뽑는 것과 간접적으로 뽑는 방식의 차이는? - 직선제와 간선제
직접 투표해서 뽑는 것만으로 부족할 때는? - 비례대표제
대표를 뽑는 지역 기준은 어떻게 나눌까? - 선거구
게리맨더링이란 무엇일까? - 선거구 획정
선거구마다 1명만 뽑을까, 2명 이상을 뽑을까? - 소선거구, 중·대선거구
돈이 없어도 선거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 - 선거공영제
아무나 선거에 나설 수 없다고요? - 선거 기탁금 제도
투표하는 날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 사전투표
한 사람이 2표 이상을 가지는 게 더 합리적일까? - 연기명, 결선 투표제
03 선거와 전략
우리 지역 출신이면 무조건 뽑아야 할까? - 지역주의 투표 행태
선거에서 내 장점을 내세우는 게 나을까, 상대의 단점을 지적하는 게 나을까? - 포지티브 선거 전략과 네거티브 선거 전략
선거는 누구의 이익을 생각해야 할까? - 계급 투표와 계급 배반 투표
선거에도 ‘음모론’이 있다고요?
최초의 TV 토론과 그 효과
AI를 활용한 선거 운동은 가능할까?
선거에서 누군가를 떨구는 낙선 운동도 가능할까?
04 생활 속 선거
선거에서 여론 조사는 언제부터 이루어졌을까?
여론 조사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우리나라 선거일은 왜 수요일일까?
우리나라 투표용지와 기표 용구는 어떻게 생겼을까?
투표일에 바쁜 일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투표소로 쓰이는 장소는 어떤 곳일까?
개표는 어떤 과정을 거칠까?
우리나라에서 선거에 나설 수 있는 나이는?
미래에는 인터넷으로만 선거가 가능할까?
05 유익한 선거 이야기
‘한 표의 기적’이란 말은 사실일까?
우리나라 선거에서 대표적인 불법 사례는?
재벌은 선거에 유리할까?
투표를 안 하면 벌을 받는 나라가 있다?
선거와 관련된 명언
투표소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스타일
세계의 이색적인 투표소
유리구슬로 투표하는 나라
어린이도 투표할 수 있는 나라, 아직도 여성은 투표 못하는 나라
조선시대에도 투표가 있었다?
대통령 말고 수상(총리)이 더 힘이 센 곳이 있다고?
06 국가별 선거 이야기
미국은 대통령을 어떻게 뽑을까?
영국은 총리(수상)를 어떻게 뽑을까?
프랑스는 대통령을 어떻게 뽑을까?
일본은 수상을 어떻게 뽑을까?
중국은 국가 주석을 어떻게 뽑을까?
북한은 최고 지도자를 어떻게 뽑을까?
07 초기의 우리나라 선거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선거, 이승만 시절의 선거
- 5·10 총선거 / 사사오입 개헌 / 3.15 부정 선거 / 4·19 혁명 이후, 의원내각제의 실험
두 번이나 헌법을 바꾼 박정희 시절의 선거
- 군사 쿠데타로 제3공화국을 출범시키다. / 경제 개발 계획의 성과로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다. / 유신헌법으로 출범시킨 제4공화국
군사 쿠데타로 대통령에 당선된 전두환
1987년 6월 민주 항쟁과 직선제
08 민주화 이후의 우리나라 선거
민주화 이후 최초의 민간인 대통령 김영삼
김대중, 사형수에서 대통령과 노벨상 수상자로
노무현, 세상을 떠난 후 지지율이 더 높아진 대통령
이명박, 4대강 정비로 시작해 부정부패로 막을 내리다.
박근혜, 최초의 여성 대통령에서 최초의 탄핵 대통령으로
문재인, 갑작스럽게 대통령 자리에 오르다.
지방선거는 왜 필요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