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청소년을 위한 살아 있는 정치 이야기)

이효건 (지은이)
사계절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560원 -10% 370원 6,430원 >

책 이미지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청소년을 위한 살아 있는 정치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5828682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3-07-10

책 소개

1318 교양문고 시리즈. 오늘날 우리 사회에 절실히 필요한 민주주의의 기본을 청소년들에게 쉽게 설명하여 그 기반을 튼튼히 다지고자 한다.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사례를 들어 민주주의 체제의 정치를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설명하고 있다.

목차

1부.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가 내 삶의 구석구석을 바꾼다고? -정치의 기능 _ 14
학생의 자치인가, 선생님의 통치인가? -자치와 통치 _ 16
국가는 왜 만들어졌을까? -국가의 역할 _ 18
“법대로 해!”는 정당할까? -법치주의 _ 21
민주주의는 생활 속에 있다! -민주주의의 의미 _ 23
헌법이 없으면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입헌주의 _ 27
권력은 모아 주면 안 된다! -권력 분립 _ 28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자유와 평등 _ 32
고대 그리스에서 민주주의가? -민주 정치의 기원 _ 34
드디어 시민이 주인이 되다! -시민 혁명 _ 37
특정 사람들에게만 선거권이 있다면? -선거권의 확대 과정 _ 40
학교 일을 전교생이 모여 결정한다?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_ 44

2부. 올바른 정치 참여는 어떻게?
살색을 살구색으로 -정치 참여와 참여 민주주의 _ 48
민주주의는 내 몸과 마음의 자유로부터 -두발 자유화 운동 _ 52
의사 표시가 없으면 “뜻대로 하소서!”가 된다고? -참여에 따른 정책 결정 _ 54
반장은 누가 뽑는 것이 좋을까? -선거의 의미와 기능 _ 57
국민의 손으로 뽑을 수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 _ 59
학생은 왜 교육감 선거를 못하지? -교육감 선거 _ 62
쉿, 누굴 뽑았는지 알리면 안 돼! -선거의 4대 원칙 _ 65
반장은 반에서, 학생회장은 학교 전체에서 -선거구 _ 68
반장은 몇 표를 얻어야 할까? -소수 대표제, 다수 대표제 _ 70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비례 대표제 _ 74
돈 없으면 선거에도 못 나가나? -선거 공영제 _ 78
당선되면 공약은 ‘뻥이야’? -매니페스토 제도 _ 80
왜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은 없을까? -정당의 역할 _ 83
학교 매점이 하나여서 불편하다면? -정당 제도 _ 86
‘학생 없는 학생회’는 잘될까? -정당 정치의 문제점 _ 88
학생 식당이 비싸고 맛없다면? -이익 집단 활동 ① _ 90
촌지? 치맛바람? -이익 집단 활동 ② _ 92
장래 희망이 시민 단체 활동가? -시민 단체 _ 94
청소년이 스스로 만든 단체도 있다! -청소년 단체 _ 99
촛불 시위의 의미를 기억해! -여론의 중요성 _ 101
건의 사항을 미리 검사받아야 한다면? -언론 자유 ① _ 104
학교 신문에서 교장 선생님을 비판한다면? -언론 자유 ② _ 107
광고주가 왕 노릇 한다고? -언론 자유 ③ _ 110
우리도 언론인! -청소년이 만드는 대안 언론 _ 112
거짓말하는 언론도 있다! -올바른 대중 매체 활용 자세 _ 115

3부. 우리나라 헌법은 어떤 내용?
정치는 법에 따라, 법은 정치에 따라! -법과 정치의 관계 _ 120
우리나라 헌법의 특징은? -성문 헌법, 경성 헌법 _ 122
우리나라 헌법은 어떻게 바뀌었나? -헌법 개정의 역사 ① _ 123
독재를 위해 헌법이 계속 바뀌었다고? -헌법 개정의 역사 ② _ 126
국민의 항쟁과 민주화의 시작 -헌법 개정의 역사 ③ _ 129
우리 헌법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을까? -헌법의 원칙 ① 국민주권 _ 131
모두가 잘살 권리가 있다! -헌법의 원칙 ② 복지국가 _ 133
우리나라만 편하면 될까? -헌법의 원칙 ③ 국제 평화주의 _ 136
통일은 왜 해야 할까? -헌법의 원칙 ④ 평화 통일 지향 _ 139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일까? -기본권의 성격 _ 142
경찰이 지나가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자른다고? -기본권 제한의 한계 _ 144
내가 가진 천부 인권은 무엇일까? -기본권의 내용 ① 평등권 _ 148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기본권의 내용 ② 자유권 _ 150
정치는 내 손으로! -기본권의 내용 ③ 참정권 _ 153
사람답게 살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④ 사회권 _ 157
권리 보장을 위한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⑤ 청구권 _ 160
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무얼 해야 하나? -국민의 의무 _ 162

4부. 국민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가 기관
국회는 어떤 곳일까? -입법부의 역할 _ 168
국회 의원에게는 특권이 있다고? -국회 의원의 특권 _ 171
헌법과 법률은 어떻게 만들고 고칠까? -입법 과정 _ 172
국회에는 무슨 문제가? -오늘날 의회의 문제 _ 176
행정부는 무엇을 하는 곳이지? -행정부의 구성과 역할 _ 179
대통령은 무슨 일을 할까?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_ 182
법원은 무서운 곳인가, 정의를 실현하는 곳인가? -사법부의 역할 _ 186
일반 국민이 재판을 한다고? -배심원 제도 _ 190
왜 재판은 세 번이나 할까? -법원 조직과 심급 제도 _ 193
헌법 재판이 뭘까? -헌법 재판소의 권한과 역할 _ 196

저자소개

이효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려서 아버지와 함께 보던 텔레비전 뉴스가 재미있어서 정치학과에 입학했습니다. 냉혹하던 군사독재 시절, 차마 정치에 발들일 엄두는 나지 않고, 잠시 샛길로 빠졌다가 학생들에게 사회를 가르치는 일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사회 시간이 학교에서 유일하게 학생들이 ‘사회’와 소통하는 시간이라 여겨, 현실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들을 전달하고 생각해 보는 기회로 삼았습니다. 학생들이 제 수업과 책을 통해 정치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점을 체감하고 시민의 의견을 정치로 구현할 대표를 뽑는 선거의 중요성 또한 깊이 있게 느껴주길 바라며, 그런 시민들이 많아질수록 우리 사회가 느리더라도 한 걸음씩 민주 사회로 나아갈 것임을 확신합니다. 얼마 남지 않은 교직에 있는 동안 이런 노력을 끊임없이 펼지는 좋은 사회 선생님이 되는 것이 꿈입니다. 틈틈이 쓴 책으로는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생각 대 생각(공저)』, 『통합사회를 잡아라(공저)』, 『중학 사회(지도서)』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민주주의를 어떤 고정된 제도나 완성된 형태로 배우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현재의 문제를 드러내 자유롭게 논의하고 더 좋은 방향으로 합의해 가는 과정이 민주주의이니까요. 민주주의는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이루려고 끊임없이 살아 움직일 때 만들 수 있습니다.


정치하는 분들은 왜 여러분의 어려움이나 고충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까요? 왜 여러분의 얘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여러분에게 투표권이라는 무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 만약 고등학생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면 학생들의 생활은 어떻게 바뀔까요? 아마도 대통령 후보나 국회 의원 후보들이 고등학생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너도 나도 학교 현장을 찾아 학생들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귀 기울일 겁니다.


학생들은 두발 자유화 운동을 거치면서 자신의 권리에 눈뜨고,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체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0교시 문제, 야간 자율 학습 문제, 보충 수업 문제 등등 학생의 기본 권리 차원의 문제로 확대되었습니다. 두발 자유화 문제는 일회적으로 끝나는 운동도 아니고, 단지 머리카락을 기르겠다는 주장으로 끝나는 문제도 아니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942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