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2 세트 - 전2권

[세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2 세트 - 전2권

조지욱, 송훈섭, 강봉균, 강혜원, 이효건, 정명섭, 조승연, 김승우, 강은경 (지은이)
사계절
31,6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440원 -10% 0원
1,580원
2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2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2 세트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K55253232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8-03-24

책 소개

서로 단절된 교과 영역의 지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의 벽을 넘어 질문(주제)을 던지고 그것을 통해 일상의 삶과 사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것은 통합사회라는 교과 과정이 목표로 하는 바와도 같을 것이다.

목차

1권

I. 행복한 삶은 좋은 사회에서 14
- 인간, 사회, 환경과 행복
1. 관점이란 무엇일까? 16
2.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을 지녀야 할까? 17
3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① - 시간적 관점과 공간적 관점 19
4.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② - 사회적 관점과 윤리적 관점 22
5. 통합적 관점이란 무엇일까? - 인간의 삶과 사회 제대로 이해하기 25
6. 행복이란 무엇일까? 28
7.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31
8. 지역에 따라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다를까? 34
9.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아갈까? - 성찰하는 삶 38
10. 행복한 삶이란 어떤 삶일까? 40
11.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정주 환경과 행복한 삶 42
12. 왜 생태 도시를 만들려고 할까? - 생태 환경과 행복한 삶 44
13. 행복한 집은 어디에 있을까? - 주거 공간과 행복 47
14. 소득과 행복은 항상 비례할까? 49
15. 돈은 행복을 위한 충분조건일까? 52
16.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 54
17. 민주주의의 발전이 나의 행복과 관계가 있을까? 57
18. 선한 삶과 행복한 삶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 도덕과 행복 60

II. 자연 속에서 가꾸는 삶과 사회 62
- 자연환경과 인간
19. 기후란 무엇인가? 19
20. 기후는 인간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을까? 20
21. 지형이란 무엇인가? 70
22. 세계 최대의 지형에는 무엇이 있을까? 72
23. 지형은 인간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74
24. 인간은 자연환경을 어떻게 극복해 왔을까? 77
25.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자연재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80
26.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시민의 권리, 어떻게 찾을까? 83
27. 인간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87
28. 생태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90
29. 자연관은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93
30.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는 어떤 것일까? 96
31.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할까? 99
32.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은 어떤 노력을 할까? 102
33.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104
34.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들은 무엇을 실천할까? 108

III. 산업, 교통·통신, 정보화가 바꿔 놓은 세상과 미래 110
- 생활공간과 사회
35. 산업 혁명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112
36. 도시화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115
37.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공간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119
38.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양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123
39.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은 어떻게 해결할까? 127
40.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생태 환경의 악화는 어떻게 해결할까? 130
41. 교통수단은 어떻게 발달했을까? - 교통 발달의 역사 133
42.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 137
43.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양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40
44. 교통 발달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143
45. 통신 수단과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147
46. 정보화에 따라 생활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151
47. 정보화에 따라 생활양식은 어떻게 변화할까? 154
48. 정보화로 일어나는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157
49. 정보화에 따른 학교 안의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60
50.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① - 당진군에서 당진시로 163
51.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② - 나주시와 함평군의 변화 167

IV. 기나긴 인권의 역사, 법으로 새긴 인간다울 권리 170
- 인권 보장과 헌법
52. 인권이란 무엇일까? 172
53. 시민 혁명은 인권 보장에 어떻게 기여했나? 174
54. 역사 속에서 인권은 어떻게 확립되어 왔을까? 177
55. 현대 사회에서 인권은 어떻게 확장되고 있을까? 180
56.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인권은 무엇일까? 184
57. 인권과 헌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88
58.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적 장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90
59. 헌법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생활에 반영되나? 193
60. 헌법 재판소는 왜 있을까? 196
61. 인권 보장과 준법 의식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99
62. 시민 참여 없이 인권이 보장될 수 있을까? 202
63. 촛불 집회는 왜 생겨났을까? - 시민의 정치 참여 205
64. 국내 인권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07
65. 세계 인권 문제는 무엇일까? 210
66. 우리나라의 인권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13
67.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215

V. 보이지 않는 경제를 내 손에 218
- 시장 경제와 금융
68. 시장에서 기회가 생기다 - 자본주의의 탄생 220
69. 계획 경제의 거울에 자본주의를 비춰 보면? - 자본주의의 특징 223
70. 자본주의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 자본주의의 역사 226
71. 땅에 떨어진 돈을 주워야 할까? - 합리적 선택 232
72. 아무도 손해 보지 않으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 - 합리적 선택의 한계 235
73. 보이는 시장, 보이지 않는 시장, 어떻게 이용할까? 237
74. 시장이 없으면 초콜릿도 없다 - 시장의 기능 238
75.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까? ① - 시장 실패 242
76.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가? ② - 빈부 격차 245
77. 가계와 기업은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47
78. 정부는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51
79. 무역은 왜 필요할까? 254
80. 국가별 상품 생산비에 무엇이 어떤 영향을 줄까? - 자원·노동·자본의 지역적 분포 차이 257
81. 오늘날 국제 무역 규모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259
82.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끼칠까? 262
83.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끼칠까? 265
84. 자산이란 무엇이며 자산 관리는 왜 중요할까? 268
85. 자산 관리의 원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72
86.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삶은 어떻게 변해 갈까? 275
87. 생애 주기에 따라 금융 설계를 어떻게 할까? 277

2권

VI.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014
-사회 정의와 불평등
1. 정의란 무엇일까? 016
2. 고대 사상가들은 정의를 어떻게 보았을까? 018
3. 정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21
4. 어떤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일까? 023
5. 정의로운 분배의 실질적 기준은 무엇일까? 026
6. 자유주의적 정의관과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031
7. 자유주의적 정의관과 이를 대표하는 사상가는 누구일까? 033
8.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이란 무엇일까? 037
9.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에 대한 의무, 어느 것이 중요할까? 039
10. 사익과 공익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042
11. 사회 불평등 현상이란 무엇일까? 045
12. 공간 불평등 현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 048
13.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제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51
14. 사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054

VII. 알록달록 무지갯빛! 문화 속의 삶, 삶 속의 문화 056
-문화와 다양성
15. 지역마다 다른 문화가 나타나는 이유는?-문화권의 형성 058
16. 문화권은 어떻게 구분할까? 061
17.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은 문화권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064
18. 두 문화권 이야기①-아시아 문화권과 유럽 문화권 067
19. 두 문화권 이야기②-건조 문화권과 아프리카 문화권 070
20. 두 문화권 이야기③-아메리카 문화권과 오세아니아 문화권 073
21. 문화 변동이란 무엇일까? 077
22. 문화 동화는 무엇일까? 079
23. 문화 융합은 무엇일까? 081
24. 문화 병존은 무엇일까? 083
25. 우리에게 전통문화란 무엇일까? 085
26. 전통 문화를 어떻게 계승해야 할까? 088
27. 자문화 중심주의는 왜 바람직하지 않을까? 091
28. 문화 사대주의는 왜 바람직하지 않을까? 094
29. 문화 상대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96
30. 문화 상대주의는 어떤 한계가 있을까? 098
31. 보편 윤리를 통한 성찰이 왜 필요할까? 100
32. 다문화 사회란 무엇일까? 104
33.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6
34. 다문화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09
35.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113
36. 올바른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116

VIII. 더 가까워진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법 121
-세계화의 양상과 문제
37. 세계화란 무엇일까? 122
38. 가깝고도 먼 세계화와 지역화, 이 둘은 어떤 관계일까? 125
39. 세계화 시대에 세계 도시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128
40. 세계화는 다국적 기업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을까? 131
41. 세계화가 낳은 문제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35
42 세계화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138
43. 오늘날 국제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141
44. 국제 사회를 바라보는 현실주의 이론과 이상주의 이론은 무엇일까? 142
45. 국제 갈등의 모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44
46. 국제 협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48
47.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50
48. 행위 주체로서 국제기구는 어떤 역할을 할까? 151
49. 행위 주체로서 비정부 기구는 어떤 역할을 할까? 154
50. 평화의 의미는 무엇일까? 157
51. 우리나라는 어떻게 분단됐을까? 160
52. 통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63
53. 통일에 반대하는 논리와 이를 반박하는 논리는 무엇인가? 165
54. 통일로 얻는 편익은 무엇이며,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167
55. 통일과 관련된 비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70
56. 동아시아 역사 갈등과 그 해결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74
57. 국제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178
58. 우리나라는 국제 사회의 평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180

IX. 미래 사회를 위한 숙제들 182
-미래와 지속 가능한 삶
59. 세계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을까? 184
60. 사람들은 주로 어디에 살고 있을까? 187
61. 세계의 인구 구조는 어떤 모습일까? 190
62.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는 어떤 모습일까? 194
63. 인구 이동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을까? 197
64. 개발도상국의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200
65. 선진국의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203
66.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207
67. 자원이란 무엇인가? 211
68. 자원의 특징은 무엇일까? 214
69. 석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분포하며 소비되고 있을까? 216
70. 석유와 천연가스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분포하며 소비되고 있을까? 219
71. 주요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소비에 따른 문제는 어떤 것이 있을까? 222
72. 신·재생 에너지는 무엇이며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225
7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228
74. 미래 사회①- 국가 간 정치·경제 문제의 갈등과 협력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232
75. 미래 사회②-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간과 삶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될까? 236
76. 미래 사회③- 미래의 생태 환경은 어떤 모습일까? 241
77. 미래의 삶을 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243

저자소개

조지욱 (글)    정보 더보기
고등학교에서 지리와 통합사회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틈틈이 지리를 확장해 창의적 사고로 이끄는 청소년과 어린이를 위한 책을 쓰고 있습니다. 대표 저서로 《문학 속의 지리 이야기》, 《지리 샘과 함께하는 시간을 걷는 인문학》,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세계 지리 이야기》, 《도시 대 도시! 맞짱 세계 지리 수업》, 《우리 땅 기차 여행》, 《전국 팔도 지리 자랑》, 《똥 지리다》, 《그림으로 보는 기후 말뜻 사전》, 《지도를 따라가요》 등이 있고, 집필한 학습 도서로는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교과서와 《EBS 수능 특강 세계 지리》, 《EBS 수능 완성 세계 지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송훈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를 공부하면 세상의 변화뿐만 아니라 삶의 이치까지도 깨닫게 된다고 믿고 또 그렇게 가르치고 있는 지리 교사이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지리교육을 전공하였으며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통합 사회』 교과서 등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강봉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를 전공하기 이전부터 여행을 좋아하는 아빠와 함께 우리나라 곳곳을 찾아다녔다. EBS에서 한국 지리 강의를 10년째 하고 있고,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한국 지리』, 『통합 사회』 등 9권의 교과서를 집필했다.
펼치기
강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삶의 바람직한 방향을 아이들 스스로 설정하고 실천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큰 보람으로 삼는 윤리 교사이다. 서울 중동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교과서, 『EBS 수능완성 생활과 윤리』, 『EBS 통합사회 개념완성』을 집필했다.
펼치기
이효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려서 아버지와 함께 보던 텔레비전 뉴스가 재미있어서 정치학과에 입학했습니다. 냉혹하던 군사독재 시절, 차마 정치에 발들일 엄두는 나지 않고, 잠시 샛길로 빠졌다가 학생들에게 사회를 가르치는 일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사회 시간이 학교에서 유일하게 학생들이 ‘사회’와 소통하는 시간이라 여겨, 현실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들을 전달하고 생각해 보는 기회로 삼았습니다. 학생들이 제 수업과 책을 통해 정치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점을 체감하고 시민의 의견을 정치로 구현할 대표를 뽑는 선거의 중요성 또한 깊이 있게 느껴주길 바라며, 그런 시민들이 많아질수록 우리 사회가 느리더라도 한 걸음씩 민주 사회로 나아갈 것임을 확신합니다. 얼마 남지 않은 교직에 있는 동안 이런 노력을 끊임없이 펼지는 좋은 사회 선생님이 되는 것이 꿈입니다. 틈틈이 쓴 책으로는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생각 대 생각(공저)』, 『통합사회를 잡아라(공저)』, 『중학 사회(지도서)』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정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지리 수업을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고민하는 16년차 지리 교사이다. 대학원에서 지리교육 박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한국지리 만화 교과서』,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통합 사회』 교과서, 『EBS 수능완성 세계 지리』 등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조승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윤리 교사로서 학생들과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을 함께 공부하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윤리교육과 정치철학을 전공했으며 『통합 사회』 교과서, 『EBS 고등예비과정 통합 사회』,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을 집필했다.
펼치기
김승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윤리교육과 영어교육을, 대학원에서 종교교육을 공부했다. 이스라엘의 키부츠에서 유대 교육의 창의성을 경험한 뒤 창의적인 윤리 교육을 하려고 애쓰고 있다. 인천 하늘고등학교에서 통합 사회, 생활과 윤리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강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슴으로 공감하고 손발로 실천하게끔 돕는 길을 늘 고민하는 사회 교사이다. 지금은 서울 선사고등학교에서 새로운 교육과 학교의 모습을 고민하고 실천해 나가고 있으며, 『고등학교 사회 문화』, 『통합 사회』 교과서를 집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로 단절된 교과 영역의 지식을 기계적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의 벽을 넘어 질문(주제)을 던지고 그것을 통해 일상의 삶과 사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통합 사회’라는 교과 과정이 목표로 하는 바와도 같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은 통합 사회, 그리고 중학교 사회(역사 포함)/도덕 교과(군) 및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 과목까지 넘나들 수 있는 주제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삶의 이해와 환경’, ‘인간과 공동체’, ‘사회 변화와 공존’이라는 큰 영역 안에서 행복, 자연환경, 생활 공간, 인권, 시장, 정의, 문화, 세계화, 지속 가능한 삶 등의 주요 핵심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48. 정보화로 일어나는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사회적·경제적·지역적·신체적 여건 때문에 정보 통신 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 또는 능력에 차이가 생기는 정보 격차도 정보화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는 일반국민과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장노년층, 북한 이탈 주민, 결혼 이민자와 같은 소외 계층 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 그러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소외 계층이 일반 국민보다 훨씬 부족하다. -1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