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5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2025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신광은 (지은이)
느루(미래인재컴퍼니)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290원
25,8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5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5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경찰공무원(승진) > 형법
· ISBN : 9791198750433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체계적이고 정확한 형법 공부를 위한 최고의 기본서다. 2024년 1차 전 직렬 최신 기출문제, 판례를 모두 반영하였고, 이론/학설/조문/판례 최신 경향을 완벽 반영하였다.

목차

제1편 서 론

제1장 형법의 기본개념 3
제1절 형법의 의의 3
Ⅰ. 형법의 개념 3
Ⅱ. 형식적 의미의 형법과 실질적 의미의 형법 3
제2절 형법의 지위와 성격 3
Ⅰ. 형법의 법체계적 지위 3
Ⅱ. 형법의 성격 3
제3절 형법의 기능 4
Ⅰ. 형법의 기능 4
Ⅱ. 위험형법 5
제2장 형법이론 6
제1절 범죄이론 6
제2절 형벌이론 7
제3절 형법학파 8
제4절 범죄체계론 8
제3장 죄형법정주의 10
제1절 의의 및 기능 10
제2절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10
Ⅰ. 법률주의(성문법률주의, 관습형법금지의 원칙) 11
Ⅱ. 명확성의 원칙 16
Ⅲ. 적정성의 원칙 20
Ⅳ.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22
Ⅴ. 소급효금지의 원칙(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46


제4장 형법의 적용범위 53
제1절 시간적 적용범위 53
Ⅰ. 행위시법주의와 재판시법주의 53
Ⅱ. 제1조 제1항(구법 적용, 행위시법 적용, 추급효 인정) 53
Ⅲ. 제1조 제2항(신법 적용, 재판시법 적용, 소급효 인정) 54
Ⅳ. 제1조 제3항 59
Ⅴ. 제1조 제2항과 제3항의 적용배제 59
Ⅵ. 한시법 61
Ⅶ. 백지형법 62
제2절 장소적 적용범위 62
Ⅰ. 입법주의 62
Ⅱ. 속지주의 원칙 62
Ⅲ. 속인주의에 의한 보충 64
Ⅳ. 보호주의에 의한 보충 65
Ⅴ. 세계주의 67
Ⅵ. 외국에서 받은 형 집행의 효력 67
제3절 인적 적용범위 69
Ⅰ. 원칙 69
Ⅱ. 인적 적용범위의 예외 69
제4절 형법 총칙의 적용범위 70


제2편 범죄론

제1장 범죄론의 기초 73
제1절 범죄의 의의와 구성요소73
Ⅰ. 범죄의 의의 73
Ⅱ. 형식적 범죄개념의 구성요소 73
제2절 범죄의 성립요건 73
Ⅰ. 범죄의 성립요건 73
제3절 처벌조건과 소추조건 75
Ⅰ. 처벌조건 75
Ⅱ. 소추조건(소송조건) 76
제4절 범죄의 종류 76
제2장 행위론 81
제1절 행위론의 의의 및 기능 81
Ⅰ. 의의 81
Ⅱ. 기능 81
제2절 행위론 81
Ⅰ. 행위론의 종류 81
Ⅱ. 형법상의 행위 82
제3장 구성요건론 83
제1절 구성요건의 일반이론 83
Ⅰ. 구성요건의 의의 83
Ⅱ. 구성요건과 위법성의 관계 83
Ⅲ. 구성요건의 요소 85
Ⅳ. 구성요건의 분류 85
제2절 행위의 주체(법인의 범죄능력) 86
Ⅰ. 행위의 주체 86
Ⅱ. 법인의 범죄능력 86
Ⅲ. 법인의 형벌능력 87
Ⅳ. 양벌규정 88
제3절 행위의 객체와 보호의 객체 94
Ⅰ. 행위의 객체 94
Ⅱ. 보호의 객체 94
Ⅲ. 구별 94
제4절 부작위범 95
Ⅰ. 의의 95
Ⅱ.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 97
Ⅲ.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98
Ⅳ. 부진정부작위범의 동가치성 99
Ⅴ. 관련문제 106
제5절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109
Ⅰ. 인과관계의 의의 109
Ⅱ.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109
Ⅲ. 객관적 귀속이론(합법칙적 조건설) 111
Ⅳ. 인과관계의 유형(합법칙적 조건설과 객관적 귀속이론)112
Ⅴ. 인과관계 인정여부(판례) 112
제6절 구성요건적 고의 120
Ⅰ. 서설 120
Ⅱ. 고의의 체계적 지위 120
Ⅲ. 고의의 존재시기와 증명 121
Ⅳ. 고의의 내용 121
Ⅴ. 고의의 종류 124
Ⅵ. 고의 인정 여부(판례) 125
제7절 구성요건적 착오 128
Ⅰ. 형법상 착오의 의의 128
Ⅱ. 구성요건적 착오의 의의 및 적용영역 128
Ⅲ. 구성요건적 착오의 유형 129
Ⅳ. 구성요건적 착오에 대한 형법 규정 (제15조 제1항) 130
Ⅴ. 제15조 제1항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해결(부합설) 131
Ⅵ. 관련 문제 136
제8절 과실범 139
Ⅰ. 의의 139
Ⅱ. 과실의 종류 140
Ⅲ. 과실범의 구성요건 143
Ⅳ.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원리 149
Ⅴ. 위법성과 책임 155
Ⅵ. 관련문제 155
제9절 결과적 가중범 156
Ⅰ. 서설 156
Ⅱ. 결과적 가중범의 성립요건 157
Ⅲ. 진정결과적 가중범과 부진정결과적 가중범 (종류) 160
Ⅳ. 부진정결과적 가중범의 죄수 161
Ⅴ. 관련문제 162
제4장 위법성론 165
제1절 위법성의 일반이론 165
제2절 불법 166
Ⅰ.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결과불법과 행위불법) 166
Ⅱ. 불법의 본질 167
제3절 위법성의 조각사유 168
Ⅰ. 위법성 조각사유 168
Ⅱ.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필요성 168
Ⅲ.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고의 우연방위) 169
Ⅳ.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과실 우연방위) 171
제4절 정당방위 172
Ⅰ. 의의 172
Ⅱ. 근거 172
Ⅲ. 성립요건 173
Ⅳ. 과잉방위 181
Ⅴ. 오상방위와 오상과잉방위 183
제5절 긴급피난 184
Ⅰ. 의의 및 근거 184
Ⅱ. 긴급피난의 본질 184
Ⅲ.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186
Ⅳ. 긴급피난의 특칙(제한) 189
Ⅴ. 과잉피난과 오상피난 190
Ⅵ. 의무의 충돌 190
제6절 자구행위 192
Ⅰ. 의의 192
Ⅱ. 성립요건 192
Ⅲ. 과잉자구행위와 오상자구행위 195
제7절 피해자의 승낙 196
Ⅰ. 의의 196
Ⅱ. 양해(구성요건 조각) 196
Ⅲ. 피해자의 승낙 198
Ⅳ. 추정적 승낙 200
제8절 정당행위 202
Ⅰ. 의의 202
Ⅱ. 법령에 의한 행위 202
Ⅲ. 업무로 인한 행위 208
Ⅳ. 기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209
제5장 책임론 218
제1절 책임이론 218
Ⅰ. 책임과 책임주의 218
Ⅱ. 책임의 근거 219
Ⅲ. 책임의 본질 220
제2절 책임능력 222
Ⅰ. 의의 222
Ⅱ. 책임능력의 규정방법 222
Ⅲ. 책임 무능력자(형사미성년자와 심신상실자) 222
Ⅳ. 한정책임능력자(심신미약자와 농아자) 228
Ⅴ. 특별법의 제한 229
제3절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230
Ⅰ. 의의 230
Ⅱ. 문제의 소재(책임주의와의 관계) 230
Ⅲ. 가벌성의 이론 구성 231
Ⅳ. 형법 제10조 제3항의 해석 232
Ⅴ. 유형 233
제4절 위법성의 인식 234
Ⅰ. 의의 234
Ⅱ. 위법성 인식의 체계적 지위 235
제5절법률의 착오(금지착오) 237
Ⅰ. 의의 237
Ⅱ. 법률의 착오의 유형 237
Ⅲ. 제16조의 해석 238
Ⅳ.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247
제6절 기대가능성 252
Ⅰ. 의의 252
Ⅱ. 기대가능성의 지위와 기능 252
Ⅲ.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253
Ⅳ. 기대불가능성으로 인한 책임조각사유 255
Ⅴ. 강요된 행위 256
제6장 미수론 259
제1절 미수범의 일반이론 259
Ⅰ. 범죄의 실현단계 259
Ⅱ. 미수범의 처벌근거 259
제2절 예비·음모죄 260
Ⅰ. 의의 260
Ⅱ. 법적 성격과 실행행위성 260
Ⅲ. 성립요건 262
Ⅳ. 관련문제 264
제3절 장애미수 265
Ⅰ. 의의 265
Ⅱ. 성립요건 265
Ⅲ. 처벌 270
Ⅳ. 관련문제 272
제4절 중지미수 273
Ⅰ. 의의 273
Ⅱ. 법적 성격(필요적 감면의 근거) 273
Ⅲ.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73
Ⅳ. 중지미수의 처벌 277
Ⅴ. 관련문제 277
제5절 불능미수 279
Ⅰ. 의의 279
Ⅱ. 성립요건 280
Ⅲ. 불능미수의 처벌 285
Ⅳ. 관련문제 286
제7장 공범론 287
제1절 공범의 일반이론 287
Ⅰ. 범죄참가형태 287
Ⅱ. 필요적 공범 288
Ⅲ. 임의적 공범 291
제2절 공동정범 296
Ⅰ. 의의 296
Ⅱ. 공동정범의 본질(공동의 의미) 297
Ⅲ. 성립요건 297
Ⅳ. 공동실행의 의사 관련 문제 301
Ⅴ. 공동의 실행행위 관련 문제 306
Ⅵ. 공동정범의 처벌 311
제3절 합동범과 동시범 313
Ⅰ. 합동범 313
Ⅱ. 동시범 315
제4절 간접정범 320
Ⅰ. 의의 320
Ⅱ. 성립요건 320
Ⅲ. 처벌 323
Ⅳ. 간접정범과 착오 323
Ⅴ. 간접정범의 한계 323
Ⅵ. 특수교사·방조 325
제5절 교사범 326
Ⅰ. 의의 326
Ⅱ. 성립요건 326
Ⅲ. 교사범의 처벌 331
Ⅳ. 교사의 미수 332
Ⅴ. 교사의 착오 333
제6절 종범(방조범) 335
Ⅰ. 의의 335
Ⅱ. 성립요건 335
Ⅲ. 종범의 처벌 342
Ⅳ. 종범의 착오 343
Ⅴ. 관련문제 344
제7절 공범과 신분 345
Ⅰ. 의의 345
Ⅱ. 신분의 의의와 종류 345
Ⅲ. 제33조의 해석 346
Ⅳ. 제33조의 적용 347
Ⅴ. 제33조 적용 효과 349
Ⅵ. 소극적 신분과 공범 352


제3편 죄수와 형벌론

제1장 죄수론 357
제1절 죄수의 일반이론 357
Ⅰ. 죄수론의 의의 357
Ⅱ. 죄수결정의 기준 357
제2절 일죄 360
Ⅰ. 의의 360
Ⅱ. 법조경합 360
Ⅲ. 포괄일죄 369
제3절 수죄 382
Ⅰ. 상상적 경합 382
Ⅱ. 실체적 경합 393
제2장 형벌론 401
제1절 형벌의 의의와 종류 401
Ⅰ. 의의 401
Ⅱ. 사형 401
Ⅲ. 자유형 402
Ⅳ. 명예형 403
Ⅴ. 재산형(벌금·과료·몰수) 404
Ⅵ. 형의 경중 417
제2절 형의 양정 418
Ⅰ. 의의 418
Ⅱ. 형의 가중·감경 418
Ⅲ. 형의 가감례 420
Ⅳ. 양형(형의 양정) 422
제3절 형의 면제 422
제4절판결선고 전 구금과 판결의 공시 423
제5절 자수와 자복 424
Ⅰ. 의의 424
Ⅱ. 시기와 방법 424
제6절 누범 426
Ⅰ. 의의 426
Ⅱ. 누범가중과 책임주의 426
Ⅲ. 누범 가중 요건 427
Ⅳ. 누범의 효과 430
Ⅴ. 판결선고 후의 누범 발각(제36조) 430
Ⅵ.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누범 430
제7절 선고유예 431
Ⅰ. 의의 431
Ⅱ. 선고유예의 요건 431
Ⅲ. 선고유예의 효과 433
Ⅳ. 선고유예의 실효 434
제8절 집행유예 435
Ⅰ. 의의 435
Ⅱ. 집행유예의 요건 435
Ⅲ. 집행유예의 효과 437
Ⅳ. 집행유예의 실효와 취소 439
제9절 가석방 440
Ⅰ. 의의 440
Ⅱ. 가석방의 요건 440
Ⅲ. 가석방의 효과 441
Ⅳ. 실효와 취소 442
제10절 형의 시효·소멸·기간 443
Ⅰ. 형의 시효 443
Ⅱ. 형의 소멸 444
Ⅲ. 형의 기간 445
제11절 보안처분 446
Ⅰ. 의의 446
Ⅱ. 형벌과의 구별 446
Ⅲ. 보안처분의 종류 446
Ⅳ. 형벌과의 관계 447
Ⅴ. 현행법상 보안처분 447

저자소개

신광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미래인재 경찰학원 형사법 / 형법 / 형소법 전임 중앙경찰학교 형사법 교수 경찰교육원 형사법 교수 수사연수원 형사법교수 한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객원교수 전 윌비스 신광은 경찰학원 형사법 / 형법 / 형소법 전임 제47회 사법고시 합격, 사법연수원 37기 수료 경찰대학 9기 졸업 형사반장, 조사반장, 폭력주임, 형사계장 경찰종합학교(현,경찰인재개발원0, 수사학과 교수 경찰대학,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해양경찰청 외래교수 청와대 22경호대(대통령경호대) 서울기동단 등 초빙교수 청와대 101경비단 초빙교수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시보) 서울디지털대학 경찰학과 교수 경찰청 채용시험 출제위원 경찰공제회 경찰실무종합, 경찰실무Ⅱ 저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