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98831873
· 쪽수 : 143쪽
· 출판일 : 2025-03-30
책 소개
목차
논문
경험과 인식: 뉴잉글랜드 커뮤니티를 위한 동아시아 문화 진출
Ⅰ. 서론
Ⅱ. 건축 프로그램
건축척 측면
기능적 측면
Ⅲ. 건물 부지
대지 및 주변 환경
기존 건물
Ⅳ. 인식의 정의와 그 중요성
종교
철학
회화
Ⅴ. 원근법 체계
Ⅵ. 우주를 인식하는 다양한 방식
Ⅶ. 공간 및 형식적 개념의 다양한 방식
Ⅷ. 경험과 인식의 태도로 형성된 건축 원리
주관성 또는 친밀감
건물과 주변 환경 사이의 긴장감
파편화된 개념의 순차적 경험
반대되는 것의 공존 또는 대립
Ⅸ. 경험과 인식 개념의 구체화
관계성
여성
비물질화
실용화
순차적 기대와 인식ⅠⅡⅢ
Ⅹ. 건축 프로젝트
배치도
평면도
단면도
투시도
모형 사진
대화
1991년 이후, ‘경험과 인식’의 전개 ― 조병수×박세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와 같은 큰 흐름이 있었으나, 그 파도를 타기에는 모두 나와 적합해 보이지 않았다. 그때 자립해 찾으려 했던 다른 대상이 한국의 미학이 느껴지는 고건축과 도자기였다. 학부 때부터 좋아하고 관심 가졌던 막사발이 어떤 미학을 지니는지 고민했다. 막(Mahk)의 미란, 경험적인 게 아닌가 생각했다. ― 「1991년 이후, ‘경험과 인식’의 전개」
석사 프로젝트 당시에 그가 “네 논문을 가지고 심사위원들이 논문상 최종 후보로서 세 시간 반 동안 토론했다”며 놀라듯이 말했다. 그런 일이 생길 거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듯했다. ― 「1991년 이후, ‘경험과 인식’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