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넥스토피아

넥스토피아

전강수, 심소미, 배윤경, 황지은, 남수현, 김성우, 박창현, 임태병, 조병수, 이치훈, 조재원 (지은이),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마티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100원 -10% 2,500원
450원
10,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넥스토피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넥스토피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8600069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8-07-27

책 소개

공동체가 와해된 한국 사회의 문제에 대응해온 건축 작업을 소개한 '넥스토피아' 전시와 궤를 같이하는 글들을 엮었다. 도시 공동체 및 토지의 문제를 꼬집고, 기존의 건물을 사회 공동의 자산으로 전환하려는 의미 있는 움직임들을 소개한다.

목차

넥스트 넥스토피아
서문: 넥스트 도어 넥스트 스텝 / 김상호
도시와 불평등, 그리고 토지보유세 / 전강수
서브토피아가 점령한 세계에서 / 심소미
지방 도시의 지속 불가능성 / 배윤경
건축공간 생애주기의 순환 / 황지은
넥스토피아적 공공영역을 향하여: 우주에서 지상으로 / 남수현

넥스토피아 전시
전시 후기: 저출생 고령화 시대의 건축적 상상력 / 박성태
단지에서 동네로: 일원동 단독주택 리노베이션 / 김성우
심리적 경계: 유일주택 / 박창현
점유감각, 주거의 가벼움에 대하여: 풍년빌라 / 임태병
이중성의 공존, 개인주의적 열림주의: 네 조각 집 / 조병수
Living in Library: 우포 자연도서관 / 이치훈
空間에서 共間으로: 공공일호, (구)샘터사옥 리노베이션 / 조재원

저자소개

전강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강수는 경제학자다. 단, 시장만능주의를 신봉하며 낙수효과를 외치는 여느 경제학자와는 결이 다르다. 그렇다고 시장을 부정하고 정부의 무조건적 개입만을 주장하는 쪽도 아니다. 시장을 시장답게, 자본주의를 자본주의답게 만들어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농민과 열심히 사업하는 기업가·자영업자가 노력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도록 해야만 경제정의와 효율이 달성된다고 믿는다. 시장을 시장답게, 자본주의를 자본주의답게 만들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토지제도를 정의롭게 만들어 토지 불로소득을 차단?환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그의 소신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실련 토지주택위원장, 토지+자유연구소 소장, 지식인선언네트워크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1987년부터 2022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다. 현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로 집필과 번역에 몰두하고 있다. 『부동산 투기의 종말』, 『토지의 경제학』, 『부동산공화국 경제사』, 『《반일종족주의》의 오만과 거짓』, 『세상을 고치는 경제 의사들』 등을 썼으며, 『희년의 경제학』, 『사회문제의 경제학』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임태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몇 곳의 설계 사무소와 SAAI건축의 공동 대표를 거쳐 2016년 독립했다. 현재 문도호제(文圖戶製, mundoe-hoje) 대표로 건축가이자 기획자이며 운영자다. 문도호제는 짓기와 만들기를 넘어 조율하 기(기획, 운영, 관리)까지를 건축가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싶어 하는 사무소로 이를 위해 일반적인 건축설계사무소의 시스템이 아닌 인테리어, 시공, 그래픽, F&B, 부동산 운영 등을 담당하는 각각의 팀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B-hind나 D'avant을 비롯한 홍대 지역의 몇몇 카페를 직접 디자인, 운영했고, 이천 SKMS 연구소, 메종 키티버니포니(maison kittybunnypony), A.P.C. 홍대, KWANI 플래그십 스토어, 라이브러리 티티섬, 리브랩 등의 건축 작업이 있다.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지금은 PaTI (파주타이포그 라피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 Korea House Vision의 기획위원이기도 했다. 해방촌 해방구, 풍년빌라, 여인숙, 신촌 문화관, 현관을 확장하는 집, 이미집 등 몇 개의 작업을 통해 '중간주거'라는 가볍고 유연한 새로운 주거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펼치기
심소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큐레이터이다. 도시공간과 예술 실천의 관계를 전시, 공공프로젝트, 리서치를 통해 탐구하고 이를 큐레토리얼 담론으로 재생산하는데 관심을 둔다. 2023?24 프리즈-브레게 파트너십의 큐레이터로 전시를 기획하였다. 또한, 문화연구지 계간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콜렉티브 ‘리트레이싱 뷰로’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큐레이팅 팬데믹』 및 『주변으로의 표류: 포스트 팬데믹 도시의 공공성 전환』이 있으며,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현대 블루 프라이즈 디자인2021’ 및 ‘이동석 전시기획상2018’을 수상했다.
펼치기
남수현 ()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교수이자 건축사. 서울대학교에서 건축학과 학사와 석사학위를, 예일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로재, 뉴욕 그루젠 샘튼 건축사사무소(Gruzen Samton Architects)에서 일했고, 건축사사무소 HAUS2, 솔리드로직에서 소장을 역임했다. 프로토타입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건축작업을 하면서 근대건축가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건축의 정석》(기획·공저, 2021), 《Mediumness 중형성(中形性)》(2012), 옮긴 책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 101》(2019), 《단면의 정석》(2017) 등이 있다. 건축작업으로는 〈운우재〉, 〈스노우화이트〉, 〈운하담〉, 〈a-house〉, 〈푸르니 사옥〉 등이 있다.
펼치기
조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몬태나 주립대학교에서 건축학 학사를 받고 하버드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와 도시설계학 석사를 받았다. 1994년 건축연구소를 개소한 이후, ‘경험과 인식’, 존재하는 것, 존재했던 것, ㅡ자집과 ㄱ자집, ‘현대적 버내큘라, 유기성과 추상성’ 등의 테마를 가지고 활발히 활동해왔다. 하버드대학교, 독일 국립대학교(카이저스라우테른)와 연세대학교, 몬태나주립대학교 등을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설계와 이론을 가르친 바 있으며, 2014년에는 덴마크 오르후스 건축대학교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 조병수는 김수근 문화상과 다수의 한국건축가협회상, 미국건축가협회상, 건축문화대상 등을 수상했다. 2023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서 ‘땅의 도시, 땅의 건축’이란 주제를 화두로 내세우며 도시와 건축에서의 땅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과 방법 등을 실험, 제시했다. BCHO 파트너스의 대표다.
펼치기
배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네덜란드의 베를라헤 인스티튜트를 졸업했다. 대학에서 건축 설계와 이론을 강의하며,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쓰고 있다. 건축적 재현과 원근법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공간의 생성과 수용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저서로는 『암스테르담 건축 기행』(2011), 『어린이를 위한 유쾌한 세계 건축 여행』(2012)이 있으며, 공저로는 아모레퍼시픽 본사의 건설 과정을 기록한 『New Beauty Space』(2021), 현대카드가 지난 20년간 펼쳤던 공간 프로젝트의 과정과 의도를 담은 『The Way We Build』(2021)가 있다.
펼치기
이치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건축학부를 졸업하고 2017년부터 비씨에이치오 파트너스에서 실무를 쌓고 있다. 도곡리 단독주택, 예올 북촌가 리모델링 등과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넥스토피아 ‘네 조각 집’」(2017), 「땅으로의 건축, 땅으로부터의 건축」(2018), 「숨쉬는 건축」(2019) 전시를 진행했다.
펼치기
박창현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을 기반으로 건축, 공간, 가구를 디자인하는 건축가이다. 2013년 에이라운드 건축으로 작업을 진행 중이며 건축에서의 사회적 관점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의 공용공간을 통한 사람과 사람의 연결, 건물과 도로와의 접점에서 어떤 다른 행위들이 생겨날 수 있는지를 공간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최근 완공작으로 공동주택인 조은사랑채, 유일주택, 낙양동 주택 등이 있으며 2002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대와 고려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펼치기
조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일스튜디오건축사사무소의 대표다. 공간이 개인과 사회의 삶에 더하는 적정하고 지속 가능한 삶의 가치를 탐구하고 실현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 대구 불로전통시장 어울림야외극장(2011년 대한민국공공디자인대상), 카우앤독(2016년 서울시건축상) 등이 있다. 소셜호텔, 소셜라이브러리, 공유주거, 공유오피스 등 새로운 유형의 플랫폼 공간에 대한 리서치와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 네덜란드 베를라헤 인스티튜트에서 건축설계와 도시 리서치를 공부했다. 2011년부터 N.E.E.D.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故 이종호와 함께 서울 도심 을지로 지역 리서치와 소필지 주거지역의 거주 환경 및 건축 유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면서 서울 도심의 거대구조를 활용한 공공영역 재구축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표 설계작품으로 상계동 주거복합, 더북컴퍼니, 코리아크래프트브류어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우의 다른 책 >
황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와 건축공학과에서 수학하고 건축설계 실무 수련 후,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도시공간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으로 해석하는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표 수행 연구로는 참여형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도시 공공공간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시공간 타임라인 시스템 개발, 세계문화유산 모니터링 지표 시범조사 연구 등이 있다. 2017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현장프로젝트 생산도시 큐레이터를 역임하고, 갤러리팩토리,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문화역서울 284, 금호미술관 등에서 소셜미디어를 도입한 참여형 미디어아트 작품을 전시했다.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은 건축문화의 성숙과 확장을 위해 일합니다. 건축문화의 매개자이자 플랫폼으로서 미디어, 출판, 연구, 교육 등 폭넓은 영역에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단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삶의 중요한 바탕인 건축을 문화적 형태로 전달하고, 건축계의 담론 형성을 돕고, 건축의 사회문화적 면모가 우리 일상에 자리 잡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junglim.org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