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음식 이야기
· ISBN : 9791198972736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5-08-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추천의 글
빵의 이해
빵의 시대가 오기까지
CARTOON 빵의 시작은? 빵에 관한 흥미로운 설
빵, 넌 누구니?
양조'와 '조각'에서 유래한 빵의 어원
6,000여 년 역사의 식문화
CARTOON 세계의 빵! 빵! 빵!
세계의 국가대표 빵
우리나라의 빵
한반도 빵 연대기
CARTOON 우리나라 빵&빵집의 변천사
빵집의 변천사
시대별 히트 빵으로 알아보는 양산 빵의 트렌드 변화
양산 빵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빵 원정대 인터뷰 ‘신라명과 윤희돈 공장장&김석현 마케팅 팀장&이중곤 영업팀장’
빵 원정대 인터뷰 ‘뚜쥬루 곽태정 이사’
빵의 재료
빵은 무엇으로 만들어질까?
BAKING INGREDIENTS
밀가루에 대한 이해
밀가루의 분류
독보적 밀가루, 프랑스 밀가루
밀가루 속에서 만난 빵의 본고장 프랑스
동일한 환경과 레시피&서로 다른 밀가루, 얼마나 차이 날까?
빵 원정대 인터뷰 ‘하레하레 이창민 오너셰프’
빵의 트렌드
이 시대의 빵
주식으로 자리 잡은 빵
빵=건강에 해롭다?
빵 원정대 인터뷰 ‘트렌드 기획자 뚜기(dduki)’
트렌드를 이끄는 빵
빵 원정대 인터뷰 ‘FOURB 박영진 대표’
우리나라 대표 빵 축제
국내 빵지순례
대한민국 ‘빵빵곡곡’ 빵지순례 명소
서울/경기
강원
충청/대전
전라/광주
경상/대구/부산
해외 빵지순례
빵 러버의 해외여행 원픽 일본 도쿄
아임 도넛? 외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로 뛰며 직접 마주한 베이커리 시장은 그 야말로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유명 빵집은 이른 아침, 심지어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에도 수많은 ‘오픈 런’ 대기자로 북적였고, 지역의 명물로 소문난 빵은 점심 시간이 채 되기도 전에 동이 났습니다. 빵지순례 명소를 다니며 요즘 트렌드도 가늠할 수 있었습니다. 베이글, 소금빵, 스콘 등 눈길을 끄는 빵의 종류부터, ‘바질과 토마토’, ‘잠봉뵈르’ 등 트렌디한 속 재료까지 두 눈으로 생생히 확인했습니다. 트렌드에 구애받지 않고 오랜 시간 사랑받은 노포 빵집에서 비법 노하우도 들었답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빵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약 6,000여 년 전 이집트에서 식사용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 어 훨씬 오래전부터 빵을 먹었으리라 짐작한다.
19세기에 이르러 빵의 역사는 새롭게 쓰이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반죽을 하룻밤 두었다 구우면 부드럽다는 사실은 알아도 그 원리는 몰랐는데, 프랑스 생물학자 루이 파스퇴르가 효모의 작용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파스퇴르는 효모의 역할과 기능을 설명하고, 효모를 배양한 이스트를 개발했다. 그 덕분에 빵은 한층 손쉽게 만들어, 부담 없이 접하는 음식이 되었다.
-‘빵의 이해: 6,000여 년 역사의 식문화’ 중에서
한국인은 ‘쌀 없이 살 수 없다’고 한다. 그런데 서양 성경에는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는 구절이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 주식이 쌀이라면, 서양 주식은 빵이다. 해외여행을 하거나 외국 영화를 보면, 서양 사람이 빵을 밥처럼 먹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빵을 주식으로 먹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한 끼 식사를 빵으로 대체하는 게 전혀 어색하지 않다. 특별한 날 케이크를 준비하는 모습도, 베이글이나 식빵 등으로 끼니를 때우는 모습도 이미 익숙하다. 최근에는 다양한 베이커리를 토대로 카페 문화도 발전하는 중이다. 그렇게 빵은 우리 식문화의 중심인 쌀의 입지까지 흔들고 있다.
-‘우리나라의 빵: 쌀에서 빵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