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운동 > 요가/체조/스트레칭
· ISBN : 979119917682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4-10
책 소개
목차
Ⅰ. 원본과 함께 읽고 맹부 설명 _ 22
1. 삼매(samadhi padah, 三昧) _ 24
2. 수행(sadhana padah, 修行) _ 73
3. 초능력(vibhuti padah, 超能力) _ 116
4. 독존, 충만, 가득함(kaivalya padah, 獨存) _ 163
Ⅱ. 파탄잘리와 인터뷰로 읽는 《요가수트라》 _ 190
5. 첫째 날 _ 196
6. 둘째 날 _ 237
7. 셋째 날 _ 263
8. 마지막 날 _ 289
저자소개
책속에서
요가 수트라에서 Saṁoga(결합)는 상키아 철학의 두 원리인 푸루샤(Puruṣ, 순수한 의식)와 프라크리티(Prakṛi, 물질세계)의 결합(Samyoga)을 의미한다. 이 결합은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원리로 작용한다. 요가 철학에서는 이 결합이 두 가지 방향성(전변-Parinama))을 가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무지(Avidyā)와 함께하는 결합은 괴로움(duḥha)의 형성과 끊임없는 윤회를 초래한다. 그리고 삼야마(SAMYAMA)와 함께하는 결합은 경험을 통한 해탈(Kaivalya)로 향하는 길을 연다. 결합이 무지와 함께하면 삶은 속박과 고통의 연속이 되며, 수행과 식별지와 함께하면 해탈과 자유를 향해 나아간다. 즉, 결합은 인간의 삶을 구속하는 동시에 해방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다.
상키아 철학에서는 두 근본 원리인 프루샤(Puruṣ)와 프라크리티(Prakṛi)가 삼요가(Saṃoga, 결합)를 이루면서 세상의 변화가 시작된다고 본다. 이 결합으로 인해 프라크리티는 활동(Vṛti, 작용)을 일으키며, 이를 통해 모든 존재와 현상이 생성되고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이 바로 전변(Pariṇāa, 변화)이다.
전통적으로 요가 철학에서는 이 전변을 세 가지(니로다 전변, 삼매 전변, 일심 전변 )로 구분하여 설명해 왔다. 그러나 맹부는 전변을 양방향적 구조로 재해석함으로써, 요가 수행의 철학적 의미를 더욱 선명하게 정리하였다. 즉, 전변은 그 자체로 방향성을 내포하며, 무지(Avidyā)와 결합한 전변과 삼야마(Saṃama, 다라나·디야나·삼매의 통합 수행)와 결합한 전변이라는 두 갈래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