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91199377509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25-09-20
책 소개
이 책은 섬 생물지리학 분야에서 축적된 학문적 성과를 알기 쉽게 정리하며, 섬이 어떻게 생태학과 진화론의 발전을 검증하는 ‘자연 실험실’로 활용되어 왔는지를 소개한다. 섬에서 나타나는 종 풍부도와 종 조성의 특징을 섬의 형성과 발달, 그리고 쇠퇴에 이르는 주요 과정을 따라가면서 설명한다. 특히 이주와 소멸이라는 핵심 과정뿐 아니라, 종 집합 규칙, 분류군 순환, 일반동태모델(GDM)과 같은 이론적 틀을 통해 섬 생태계의 역동성을 조망한다. 또한 고립된 환경에서 전개되는 독특한 진화 양상과 인류 활동이 초래한 변화,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전 전략까지 폭넓게 다루어 섬 생물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단순한 개론서를 넘어, 섬 연구의 주요 흐름과 쟁점을 짚어주는 이 책은 전공 학생과 연구자는 물론 섬 생태계에 관심 있는 폭넓은 독자들에게도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1부 배경설명: 자연 실험실로서의 섬
1장 자연 실험실 패러다임
2장 섬의 유형, 기원, 그리고 역동성
3장 섬 환경
4장 섬 생물지리학: 생물다양성 핫스팟
2부 섬 생태학
5장 섬 거시생태학
6장 섬 메타군집의 집합 규칙
7장 시간의 확장: 섬 지구 역동성에 대한 섬 생물의 반응
3부 섬 진화
8장 정착화, 진화적 변화, 그리고 종분화
9장 섬과 군도에서의 진화
10장 동물에서 나타나는 진화 증후군
11장 섬 식물의 진화 증후군
4부 인간의 영향과 보전
12장 단편화된 경관에 대한 섬 이론의 적용
13장 인간에 의한 섬 생태계의 변형
14장 섬에서의 인위적 멸종: 종합적 고찰
15장 보전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
저자소개
책속에서
섬은 독립적인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 특성을 정량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며, 동시에 풍부하고 다양한 생태·진화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이유로 섬은 오랫동안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자연 실험실'로서 많은 과학자의 주목을 받아 왔다.
-1장 자연 실험실 패러다임
섬은 고립도가 클수록 종 다양성은 낮아지고 고유종의 비율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륙 지역과 비교할 때 종 구성 측면에서도 뚜렷하게 다르거나 이른바 ‘부조화스러운(disharmonic)’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오래전부터 생물지리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으며(Hooker et al., 1866), 진화론의 발전에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Darwin, 1859; Wallace, 1902).
-4장 섬 생물지리학: 생물다양성 핫스팟
해양섬 생물지리학의 일반동태모델(GDM, general dynamic model)은 화산섬의 출현부터 소멸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발생 과정을 일반화하려는 시도로, 크라카타우와 같은 ‘멈추고 초기화되며 다시 시작되는’ 복잡한 사례를 제외하고, 한 섬이 겪는 전 생애를 이론적으로 통합하고자 한다.
-7장 시간의 확장: 섬 지구 역동성에 대한 섬 생물의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