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풍수지리
· ISBN : 9791199454712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5-09-25
책 소개
목차
제1장 풍수란 무엇인가
1. 풍수를 부르는 여러 이름들
2. 시대에 따라 변화한 명칭
3. 왜 한국에서만 "풍수지리"라고 부를까?
4. 지리에서 풍수로
5. 풍수의 다양한 얼굴들
6. 세계가 부르는 이름, Feng Shui
7. 결론: 이름보다 중요한 것
제2장 풍수의 지혜를 찾아서
1. 경전이라는 이름의 무게
2. 살아 숨 쉬는 풍수 경전의 세계
3. 구년면벽(九年面壁)의 각오로
4. 풍수 공부의 일곱 계단
5. 끝이 아닌 시작
제3장 풍수를 정의하는 다양한 시선들
1. 17세기 유럽, 동방을 향한 열망
2. 미신인가, 과학인가: 서양 지식인들의 풍수 해석
3. 드 그루트의 깊은 통찰: 고대성과 공감의 발견
4. 풍수 경전의 신비로운 계보
5. 한국 학자들의 다채로운 풍수 정의
6. 학제간 연구의 개화: 1960년대 이후
7. 실용 풍수의 부상: 1980년대 이후
8. 풍수 정의의 스펙트럼: 다양성 속의 통일성
9. 미래를 향한 풍수학
제4장 풍수의 사상적 뿌리
1. 풍수의 사상적 기반
2. 음양오행의 작동 원리
3. 팔괘(八卦): 여덟 개의 우주 코드
4. 구성(九星): 하늘의 별이 땅의 질서가 되다
5. 풍수의 두 큰 물줄기: 형세론과 이기론
제5장 공간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1. 우주가 정해준 운명의 땅
2. 공간은 인간이 만들어가기 나름이다: 인본주의적 공간 창조
제6장 풍수의 기본 원리
1. 풍수의 기본 상징, 기
2. 기의 체현으로서의 땅
3. "동기감응(同氣感應): 조상과 후손을 잇는 보이지 않는 끈"
4. 풍수 공간의 3대 요소: 산⋅수⋅방위
제7장 풍수의 역사
1. 풍수의 시작, 중국에서는?
2. 오키나와로 전해진 일본 풍수 약사
3. 한반도 풍수의 시작
제8장 고려 시대의 풍수 역사
1. 풍수로 세운 나라, 풍수로 다스린 나라
2. 훈요십조에 담긴 풍수의 정치학
3. 고려, 풍수로 통치하다
4. 고려, 풍수가 꽃피운 시대
제9장 조선 시대의 풍수 역사
1. 예(禮)의 나라에서 풍수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2. 과거제도에 포함된 풍수학
3. 태종의 풍수서 통제: 지식의 대숙청
4. 풍수서를 통제하라: 태종의 마지막 전쟁
5. 헌릉 봉요산맥의 통행을 금하라! 아니 허하라!
6. 명당이 아니라면 대안은?: 세종시대 경복궁 논쟁의 전말
7. 목효지 상소 사건: 미천한 신분으로 왕실의 풍수를 논하다
8. 경연 과목에 풍수학을?: 세종과 유신들의 첨예한 대립
9. 어효첨의 반풍수 상소: 유교 지식인의 정면 도전
10. 목숨을 건 금기의 도전: 도선 비보설 부활을 주장했던 최호원
11. 폐비 윤씨의 묘는 길한가, 흉한가?
12. 명나라 풍수에 대한 맹목적 사대
13. 광해군의 교하 천도론: 왕권 강화를 위한 풍수의 정치적 활용
14. 김안로의 희릉 천장 모략 사건: 풍수를 악용한 권력의 음모
15. 풍수"학"의 황금기, 숙종 재위기: 풍수의 제도화와 전문화가 꽃피운 시대
16. 정조의 풍수학에 대한 식견과 현륭원 건립:학자 군주의 효심과 풍수학의 만남
제10장 유교 국가의 풍수 수용 논리와 그 폐단
1. 권도(權道): 유교 지식인들의 절묘한 논리
2. 조선 후기 산송(山訟)의 실상: 효(孝)의 이름으로 자행된 탐욕과 폭력
제11장 조선 시대 유학자의 풍수사상
1. 정도전(鄭道傳, 1342~1398): 새 왕조의 설계자, 풍수를 정치에 활용하다
2. 이황(李滉, 1501~1570): 퇴계, 산수와 학문의 조화를 꿈꾸다
3.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산천재: 지리산이 품은 경(敬)의 공간학
4. 이이(李珥, 1536~1584): 율곡, 이성의 빛으로 풍수를 비추다
5. 김인후(金麟厚, 1510-1560): 하서, 주역으로 풍수를 읽다
6. 서애 유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전란의 상처를 품고 돌아온 정승의 풍수 이야기
7.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주자학의 대가가 품은 풍수의 딜레마
제12장 조선 시대 유학자의 풍수운용실제
1. 묘지풍수신앙과 산송을 중심으로
2. 묘지풍수에 대한 조선의 법적 대응: 규제와 타협의 역사
3. 분묘의 공간 제한과 보호: 조선의 묘지 질서 만들기
4. 발총훼묘(發塚毁墓)에 대한 규제: 무덤을 둘러싼 범죄와 처벌
5. 묘지풍수신앙과 산송: 조상숭배와 자기구복의 갈등
제13장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풍수비판과 양택풍수론
1. 윤선도의 풍수사상: 고산이 품었던 산수의 비밀
2. 이익의 풍수사상: 실학자의 비판적 풍수론
3. 유형원의 풍수사상과 운용: 반계의 혁명적 풍수 개혁론
4. 이중환의 『택리지』 이야기: 떠돌이 선비가 찾은 진정한 명당
5. 다산 정약용의 풍수 이야기: 강진 바닷가에서 꽃핀 실학자의 혁명
6. 홍만선의 『산림경제』: 선비가 꿈꾼 전원생활의 풍수학
7. 유중림의 『증보산림경제』: 선학의 지혜를 꽃피운 실용서의 완성
8.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상택지」: 조선 실학 풍수론의 대미를 장식하다
9. 신경준의 『산경표』: 조선 산하를 풍수의 눈으로 체계화하다
10. 위백규의 풍수사상: 호남 땅에서 피어난 실용의 철학
11. 황윤석의 『이재난고』: 조선 후기 민중 풍수의 생생한 초상
12. 최한기(崔漢綺, 1803~1877): 기학(氣學)으로 풍수를 재해석한 조선의 마지막 실학자
제14장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 박해 속에서 찾은 피난의 명당
1. 천진암 성지의 숨겨진 풍수
2. 솔뫼에서 신리까지: 내포의 숨은 교우촌들
3. 배론 성지: 토굴 속에서 피어난 신앙의 꽃
제15장 조선 시대 일반 백성들의 풍수 실태 엿보기
1. 산송의 구조적 모순과 백성의 피해
2. 백성들의 풍수관: 수덕(修德)에서 적덕(積德)으로
3. 구비문학으로 읽는 민중의 풍수 이야기
4.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진 백성들의 풍수 이야기
5. 구비문학 속 명당의 유형학: 백성들이 꿈꾼 복된 땅의 모습들
5. 명풍수사 이야기: 구비문학 속 풍수 전문가들의 진짜 모습
제16장 일제강점기 풍수
1. 조선인의 정신을 해부하다
2. 전국을 뒤덮은 쇠말뚝
3. 분묘기지권: 풍수와 법의 만남
제17장 최근 풍수 이용의 현실
1. 21세기, 풍수가 서구로 건너가다
2. 북미의 풍수 열풍과 한국의 현실
3. 풍수 연구의 본질: 땅의 본성을 존중하는 관찰
4. 서울 도시정비와 풍수: 재건축 시대의 새로운 과제
부록 1. 목효지 상소문
부록 2. 목효지 상소문과 『실록』의 기사 2
부록 3. 어효첨의 상소문
부록 4. 정구의 상소문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