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K22253568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6-05-01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의 방법
Ⅱ. 유휴공간 활용 필요성과 선행연구 검토
1. 유휴공간 활용의 필요성
가. 다양한 유형의 유휴공간 발생 및 정채적 수요 증가
나. 생활체육시설 공급 확대 필요
다. 도시계획 시설의 활용도 저하
라. 유휴공간의 여가공간 활용도 다양화
2. 이론적 배경 및 개념적 정의
가. 이론적 배경
나. 개념적 정의
3. 선행연구 고찰
Ⅲ. 유휴공간 체육시설 활용 현황 및 사례분석
1. 기초자치단체 유휴공간 활용 생활체육시설 조성 현황
가. 현황조사 개요
나. 기초자치단체 유휴공간 조성 현황
2. 유휴공간 생활체육시설 이용자 현황 및 수요
가. 설문조사 개요
나.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3. 국내 유휴공간 활용 사례 분석
가. 유수지 활용
나. 고가하부 활용
다. 폐교 활용
4. 해외 조성 사례
가. 영국 Westway Trust Development
나. 네덜란드 A8ernA public space
다. 일본 폐교 활용
라. 캐나다 토론토 Underpass Park
마. 해외사례 시사점 분석
Ⅳ. 수요 및 공급가능성 분석
1. 유휴공간 체육시설 지자체 수요 분석
가. 조사개요
나. 유휴공간 활용 수요조사 결과
다. 유휴공간 설치 비희망 사유
2. 유휴공간 이용자 수요 분석
가. 조성 희망 공간 유형
나. 유휴공간 체육시설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 유휴공간 활용 생활체육시설 공간 유형
가. 이용실태 조사 결과
나. 수요 조사 결과
다.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라. 생활체육시설 조성 가능 공간 유형화
4. 유휴공간 유형별 공급 가능 규모 분석
가. 분석방법
나. 공간 유형별 공급 가능 규모
Ⅴ. 공급모델 및 제도 개선 방안
1. 공간 및 지역특성에 따른 공급 모델 개발
가. 도시 고가하부 실내형
나. 도시 고가하부 실외형
다. 도시 근린공원 실내형
라. 도시 근린공원 실외형
마. 비도시 고가하부 실외형
바. 비도시 근린공원 실내형
사. 비도시 폐교형
2. 제도개선 및 정책적 활용 방안
가. 유휴공간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
나. 유휴공간 활용한 생활체육시설 조성의 기본 전제
다. 제도 개선 및 정책적 활용 방안
Ⅵ. 결론
1. 연구요약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나. 유휴공간 활용의 필요성과 의미
다. 국내 유휴공간 활용 생활체육시설 조성현황
라. 국내외 유휴공간 활용 생활체육 시설 조성 사례
마. 유휴공간 활용 수요와 공급
바. 유휴공간을 활용한 생활체육시설 조성 모델 개발
사. 유휴공간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2. 연구성과
가. 체육시설 조성 자원으로서 유휴공간이 갖는 의미와 가치 도출
나. 유휴공간 이용 현황 및 수요 특성에 대한 이해
다. 유휴공간이 활용을 통한 생활체육시설 확장 가능성 확인
라. 체육시설 공급을 위한 유휴공간 활용 방안 및 정책 방향 제시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지방자치단체 유휴공간 이용현황 및 수요조사 설문지
<부록 2> 유휴공간 이용자 이용행태 및 수요조사 설문지
<부록 3> 시군구별 유휴공간 유형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