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근대 전쟁"(으)로 3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94142203

근대 전쟁의 탄생 (1500~1763년 유럽의 무기, 전투, 전술)

크리스터 외르겐젠, 마이클 F. 패브코빅, 롭 S. 라이스, 프레더릭 C. 스네이드, 크리스 L. 스코트  | 미지북스
31,500원  | 20111201  | 9788994142203
근대 초기 유럽에서 일어난 무기와 전술의 발전 등 군사상의 혁신을 소개하는 책이다. 이 시기는 화기(총과 대포)의 도입과 더불어 거대한 상비군이 전장에 등장함으로써 테크놀로지와 전술상의 혁신뿐만 아니라, 전쟁 양상의 변화, 국가의 재정과 조직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재구조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를 '군사 혁명(Military Revolution)'이라 한다. 무기의 발달과 전쟁사를 씨줄과 날줄 삼아 군사 혁명과 근대 전쟁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설명한다. 주요 전투와 전장을 그린 지도와, 무기와 병사, 전함과 요새 등 세밀하고 화려한 그림들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무엇보다 '무기'와 '전쟁'이라는 다소 열띤 주제를 5명의 군사사 전문가들이 차분하고 절제된 문체로 역사의 큰 줄기 속에 통합시켰다는 점이다.
9791171610310

근대 일본의 침략전쟁과 제노사이드

서민교  | 동북아역사재단
6,300원  | 20231227  | 9791171610310
제노사이드란 민족ㆍ종족ㆍ인종을 의미하는 ‘제노스(genos)’와 살인을 의미하는 ‘사이드(cide)’의 합성어로 고의 혹은 제도적으로 어떤 민족ㆍ종족ㆍ인종ㆍ종교 집단의 전체나 일부를 파괴하는 ‘집단학살’ 범죄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근대 일본은 침략전쟁이라는 인류 역사의 비극 속에서 무고한 민간인을 포함한 수많은 생명을 살해하는 제노사이드를 자행했다. 이 책은 1894년 청일전쟁부터 1945년 아시아ㆍ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이 패전을 맞이하기까지 제국주의 일본이 자행했던 집단 살해 사건을 제노사이드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전쟁을 빙자한 국가 폭력인 제노사이드 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전쟁의 유무와 상관없이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이 근대 침략전쟁이 낳은 역사적 비극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9788962632552

총, 선, 펜 (전쟁과 헌법, 그리고 근대 세계의 형성)

Linda Colley  | 에코리브르
31,500원  | 20230810  | 9788962632552
성문 헌법의 출현과 확산을 통해 근대 세계의 부상을 새롭게 논하는 생생하고도 권위 있는 책! ㆍ〈파이낸셜 타임스〉와 〈이코노미스트〉가 뽑은 2021년 ‘올해 최고의 책’ ㆍ 헌법주의의 미래에 관한 국제 포럼(International Forum on the Future of Constitutionalism)이 선정한 2021년 ‘올해의 책’ ㆍ ‘컨딜 역사상(Cundill History Prize)’ 최종 후보작 대단히 광범위하고 탁월한 독창성을 갖춘 《총, 선, 펜》은 1750년대부터 20세기까지 세계 차원의 성문 헌법 역사를 추적함으로써 기존의 내러티브를 수정하고 헌법 제정과 전쟁 수행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파헤친다. 이 과정에서 유명 헌법들을 재평가하고, 그동안 하찮게 여겨졌지만 근대 세계의 부상에 핵심 역할을 담당한 헌법들을 근사하게 되살려낸다. 또한 1755년 선구적 헌법을 제정한 코르시카, 세계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영구히 부여한 태평양의 작은 섬 핏케언 등 그간 소홀히 다룬 지역들을 전면에 내세운다. 그런가 하면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미국 헌법의 틀을 짜기 수십 년 전에, 계몽적 색채의 나카즈(Nakaz)로 헌법 기술을 실험한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여제 같은 뜻하지 않은 인물들의 기여도 부각한다. 성문 헌법은 개별 국가들과 관련해 검토되는 게 일반적이지만, 저자는 헌법이 어떻게 국경을 넘어 1918년경 6개 대륙으로 퍼져나갔으며, 국가뿐 아니라 제국의 부상을 도왔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더불어 성문 헌법이 어떻게 법과 정치는 물론 그보다 더 넓은 문화사, 인쇄술과의 관련성, 문학적 창의성, 소설의 부상 등에서 나름의 소임을 다했는지 조망한다. 린다 콜리는 헌법이 어떻게 장대한 혁명을 촉진하고 백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했을 뿐 아니라, 기나긴 19세기에 걸쳐 토착민을 주변화하고 여성과 유색 인종을 배제하며 토지를 몰수하는 데 사용되었는지 파헤친다. 하지만 그와 더불어 어떻게 유럽 및 미국의 권력에 저항하려는 서구 밖 인물과 활동가들이 헌법이라는 장치를 활용했는지 들여다본다. 저자는 어떻게 1861년 튀니지에서 최초의 근대적 이슬람 헌법이 제정되고 이내 억압당했지만 ‘아랍의 봄’에 영향을 미쳤는지, 어떻게 미국 남북전쟁에 영감을 받은 시에라리온의 아프리카누스 호턴이 서아프리카 자치 국가들을 위한 계획을 고안할 수 있었는지, 또 어떻게 일본의 1889년 메이지 헌법이 인도·중국·오스만의 민족주의자 및 개혁가들에게 서구 헌법주의와 어깨를 겨루는 모범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는지 설명한다. 생생한 서술과 멋진 삽화가 돋보이는 《총, 선, 펜》은 세상을 뒤흔든 전쟁·강력한 지도자·선견지명을 지닌 입법가·헌신적인 반역자 들을 내세운 흥미진진한 역사를 통해, 입헌 정부에 대해, 그리고 근대성 개념이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해 들려준다. 다음은 저자가 직접 밝힌 집필 방향이다. “그 어떤 단일 서적도, 그리고 분명 그 어떤 단일 저자도 18세기부터 제1차 세계대전 시기까지 해상 및 육상의 국경 지역을 넘나들면서 발생하고 오늘날까지 내내 경계와 정치와 사상의 패턴을 주조하고 있는 엄청난 규모의 헌법적 창의성과 논쟁 그리고 결과물을 본격적으로 다뤄보겠다는 야심을 품기 어려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전개 과정에는 문서화할 수 있고 문서화해야 하는 수많은 상이한 역사가 존재한다. 나 자신의 전략은 새로운 헌법과 다양한 전쟁 및 폭력 간의 거듭되는 맞물림에 영향을 주고, 그로부터 출현한 일련의 주요 주제와 위기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었다. 개략적인 연대순에 따라 정리되어 있는 본문의 각 장은 이들 주요 주제 및 발화점 가운데 하나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각 장은 특정 장소와 특수한 헌법 제정의 에피소드를 소환하는 방식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문제된 그 주제가 세계의 다른 지역들에 널리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9791167970251

근대 영미 전쟁시 읽기와 감상

조규택  | LIE
17,100원  | 20211215  | 9791167970251
이 책은 전쟁의 원인과 참상을 어떻게 종식하고 그 상처를 치유할 것인가를 휘트먼의 시 「화해」를 통해 모색하고 있다. 휘트먼의 「화해」는 그리스도적인 사랑과 화해를 통해 인류가 화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은유한다. 이는 오웬의 「이상한 만남」에서처럼, 원수였지만 죽음을 통해 양쪽 화자가 마침내 하나가 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죽음을 통해 인류는 서로를 연민하며 마침내 용서하고 화합하게 된다. 사순의 또 다른 시, 「화해」도 독일군과 연합군 간의 화해를 언급하고 있다. 죽음이 화해를 불러오리란 사순의 주장이 아이러니할 수 있지만, 상대의 충성심?용감성까지도 인정하면서 지난날의 증오를 깨끗이 해소하고 화해하자는 제안은 휘트먼의 주장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므로 영미 전쟁 시인들은 인류가 전쟁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화해’임을 시종 역설하고 있다. 학문적 기여도를 고려할 때, 필자는 미국 남북 전쟁시와 제1차대전 영국 참전 시인들의 전쟁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사실, 영?미시 연구의 본산인 영국과 미국의 활발한 전쟁시 연구에 비한다면, 한국 영문학의 전쟁시 연구는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다. 필자는 이런 현실에서 영미 전쟁시를 국내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학술 논문을 체계적으로 게재한 최초의 연구자라 할 수 있다.
9788964621264

식민지 조선의 시네마 군상 (전쟁과 근대의 동시대사)

시모카와 마사하루  | 뿌리와이파리
16,200원  | 20190920  | 9788964621264
조선 영화 텍스트에 새겨진 식민지 근대의 빛과 그림자- 1930~40년대, 일제시대 국책영화와 조선?일본 영화인들의 개인사를 기초로 당시의 사회와 일상을 생생하게 되살려낸 다큐먼트. 영화감독 이마이 다다시와 최인규, 배우 주인규와 김소영, 그리고 하라 세쓰코……. 그 시대의 한복판에서 그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
9788964149300

전쟁영웅들의 이야기: 근대ㆍ현대편 (프랑스 혁명전쟁에서 이라크 침공까지)

김충영  | 두남
26,100원  | 20211110  | 9788964149300
이 책은 프랑스 혁명전쟁에서 이라크 침공까지 전쟁영웅들의 이야기를 다룬 도서입니다.
9788970925189

근대 일본의 전쟁과 전쟁영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단국대학교출판부
19,000원  | 20140225  | 9788970925189
일본의 편협한 내셔널리즘의 근원에 대한 분석을 전쟁과 전쟁영웅을 중심으로 접근한『근대 일본의 전쟁과 전쟁영웅』. 이 책은 ‘근대 일본의 전쟁과 전쟁연구’에 대한 연구 성과물 7편을 엮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내에서의 군신(軍神) 창출의 과정은 물론이거니와, 군신으로 추앙된 조선인 특공대원을 소재로 제국일본이 팽창해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군신을 창출해냈고, 군신 창출 과정에서 식민지의 지식인과 문화인이 어떻게 동원되었는지, 또한 창출된 군신상이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식민지출신 군신(전쟁영웅)을 전쟁동원에 어떻게 이용하고 이미지화시켜 나갔는가를 매스 미디어의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9788961875660

청일전쟁과 근대 동아시아의 세력전이

동북아역사재단  | 동북아역사재단
8,000원  | 20201120  | 9788961875660
『청일전쟁과 근대 동아시아의 세력전이』는 〈청일전쟁의 기원: 청말의 종주권 관념과 속국정책의 변화〉, 〈청일전쟁 전후 일본 정치가들의 동아시아 세력 변화 인식: 이토 히로부미와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중심으로〉, 〈청일전쟁 직전 영국의 외교적 간섭 실패와 패권적 지위 균열: 영국의 대조선 정책과 관련해서〉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7373575

청일전쟁: 국민의 탄생 (근대 일본의 첫 대외 전쟁의 실상)

오타니 다다시  | 오월의봄
15,300원  | 20181015  | 9791187373575
일본은 왜 청일전쟁을 일으켰는가? 일본 민중은 어떻게 ‘국민’이 되어 전쟁에 협조했는가? 청일전쟁 후 동아시아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조선은 왜 최대 희생자를 내야만 했을까? 민중, ‘국민’이 되어 전쟁에 협력하다 청일전쟁 통사를 다룬 《청일전쟁, 국민의 탄생》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기존 청일전쟁 관련 책과 몇 가지 차별점이 있다. 그동안 국내에 출간된 책들은 주로 정치, 외교, 군사적 관점에서 청일전쟁을 다뤘지만, 이 책은 언론과 민중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청일전쟁의 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저자는 청일전쟁이 일본의 ‘국민’을 탄생시켰다고 말하고 있다. 즉 근대적인 의미의 국민이 이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이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기에 전쟁이 일어났다고 말하고 있다. 청일전쟁은 근대 일본이 치른 첫 대외 전쟁이었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은 경제의 근대화와 함께 군국주의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청일전쟁은 왜 시작되었던 것일까? 당시 일본의 민간인이자 지식인이었던 후쿠자와 유키치는 청일전쟁을 가리켜 문명국인 일본과 야만국인 청의 전쟁, 즉 “문야文野의 전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언론을 통해 전쟁 지지를 표명함과 동시에 스스로 군사 헌금 조직화의 선두에 서는 등 적극적으로 전쟁에 협력했다. 국민도 이 주장들을 받아들였다. 곧 ‘문명 전쟁’론이나 ‘문야의 전쟁’론은 국민의 내셔널리즘과 전쟁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저자는 이처럼 정치인, 지식인, 민간인이 하나가 되어 적극적으로 협력했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날 수 있었다고 말한다. 특히 민간인들은 ‘국민’이 되어 전쟁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어떤 이는 전장에서 병사·군부로서 전쟁을 체험했고, 후방 지역 사회에 남은 압도적 다수는 다양한 언론 매체가 전하는 정보를 통해 전쟁을 ‘체험’했다. 이들의 전쟁 ‘체험’과 전후의 전몰자 추도, 또한 전쟁 중에 친숙해진 ‘군인 천황’상에 대한 숭배를 통해 근대 일본의 ‘국민’이 형성되어간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오타니 다다시 교수는 일본 근현대사, 그중에서도 미디어사를 전공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의 후반부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 정부의 대외 언론 공작과 당대 일본 언론들의 모습, 국민들이 이런 언론을 어떻게 대하는지 등을 잘 묘사하고 있다. 또 당시 일본 정치를 책임지고 있던 이토 히로부미나 무쓰 무네미쓰를 다른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다. 곧 이들이 당시 펼쳤던 정치와 외교가 어떤 것이었나를 살피면서, 과연 청일전쟁이 꼭 일어나야 했던 전쟁이었는지를 질문하고 있다. 정치인, 지식인, 민간인 등의 협력 관계를 살피면서 전쟁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도 질문하고 있다. 당시 일본 군인들의 모습들을 자세히 다루고 있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다. 일본군이 조선에 들어와 전투를 하고, 중국 대륙에 진출한 상황, 그리고 대만을 점령한 상황들이 세세하게 나와 있다. 일본군이 저지른 ‘조선 왕궁 점령 사건’이나 ‘뤼순 학살 사건’을 다루면서 일본의 ‘역사 위조’를 지적한 점도 다른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일본은 1894년 7월 23일 조선 경복궁을 점령해 고종을 구속했다. 이 사건을 일본의 역사에서는 먼저 사격을 가한 조선군에 일본군이 반격해서 왕궁을 점령한 자위적·우발적 사건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 견해가 명백한 ‘위조’라고 말하면서 일본 공사관과 혼성 여단이 사전에 계획해서 실행한 사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뤼순에서 저지른 학살 사건도 일본 역사에서는 부정되거나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데, 이 사건을 상세히 다루면서 뤼순 학살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 문제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
9788971805770

광무 화폐 (근대조선의 화폐개혁과 조선과 일본의 화폐전쟁)

김희호  | 경북대학교출판부
18,050원  | 20220127  | 9788971805770
대한제국은 고종이 1897년 조선의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제국을 선포한 국가이며, 1910년 일본이 조선을 합병할 때까지 13년의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던 제국이다. 이 책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 대한제국의 성립과 패망 과정을 화폐적 측면, 특히 조선과 일본의 화폐전쟁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 ‘광무 화폐’는 광무 연호를 사용하는 대한제국의 화폐이며, 황실 문양인 오얏꽃 문양이 각인된 동전화폐를 일컫는다. ‘광무 화폐’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화하는 과정에서 정치적ㆍ군사적 침략 이전에 화폐적으로 침략하기 위해 남발한 화폐이며, 초(超)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다. 필자는 기존에 알려진 근대 토지 제도의 개혁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대한제국의 국제 금 본위제도 도입과 중앙은행 설립 등 화폐개혁 측면에서 광무개혁의 실체를 설명한다. 광무개혁은 대한제국의 근대화보다는 일본이 주도한 화폐전쟁에 저항했던 처절한 화폐개혁이었다. 광무개혁은 자주적인 화폐 제도를 도입하고 독립적인 금 본위제도를 유지하며, 조선 금이 일본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방어 정책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무능과 재정 악화, 일본의 집요한 방해로 결국 실패로 끝난 잃어버린 제국의 시작점이 되고 말았다.
9788979404050

근대 한국의 사회변동과 농민전쟁

김양식  | 신서원
9,900원  | 19960915  | 9788979404050
19세기말 농민항쟁의 두 흐름을 살피면서 이후 1894년농민전쟁기 집강소와 도소, 농민군의 2차기병과 농민 군 도소의 붕괴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논저.
9788924064896

일본 역사 근대, 삿초동맹 보신전쟁 메이지유신

탁양현  | 퍼플
11,000원  | 20191008  | 9788924064896
◈ 일본 역사 근대1. 미일화친조약(1854), ‘검은 배’ 일본 개국 요구하다일본의 近代史를 살피면, 우리 대한민국이 21세기가 되어서도, 왜 일본을 넘어서지 못하는지에 대한, 까닭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개국 과정은 ,대한민국의 개국 과정과 차이가 많다. 그 차이를 살피게 되면, 현재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해야, 일본을 추월할 수 있을는지에 대한, 분석도 지닐 수 있다. 근대 이전에 일본은, 분명 한반도에 위치한 우리 선조들의 국가보다 後進國이었다. 적어도 壬辰倭亂 이전까지는 그러했다. 그런데 그러한 상황은, 근대에 들어서면서 전폭적으로 뒤바뀐다. 그러다가 결국은, 李氏朝鮮 말기에, 일본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한반도 중심의 근대사는 일단락된다. 그리고서 現代史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도, 대한민국의 상황은 별반 나아진 것이 없다. 그나마 남한은 나름대로 경제대국으로서 면모를 갖추었다. 적어도 먹고 살만한 형편은 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도, 그야말로 강대국의 공작에 의해, ‘한방에 훅 가는’ 불안스런 형국이다. 그런데 북한의 경우는 어떠한가. 지금 이 순간까지도 ‘고난의 행군’이 지속되고 있으며, 기껏 인민들의 목숨 값으로 핵무기를 제작하여, 세계를 대상으로 공갈을 치며, 어떻게든 먹고살아보려고 버둥거리고 있다. 이렇게 韓民族의 꼬락서니가 형편없어진 데에는, 근대사의 과정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현재의 不條理를 과거로 責任轉嫁하려는 것이 아니다. 현재는 분명 과거의 因果的 결과인 법이다. 그러니 현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거를 엄밀히 回顧하고, 철저히 省察해야 한다. 日帝强占으로부터의 해방 이후, 民族相殘의 韓國戰爭을 치러야 했고, 그 이후 현재까지 분단 상태에 있다. 이렇게 韓民族의 역사가 꼬여버린 데에는, 隣接國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劣惡한 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 현재에는 大韓國民들은, 인접국을 위시한 國際情勢에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는다. 이씨조선으로부터 이어지는 지독한 역사적 관성 탓이다. 그런데 21세기에, 國際政治의 현장으로부터 逸脫되어버린다면, 단 하루라도 생존이 가능하겠는가. 그러니 역사를 살필 때에도, 항상 전 세계를 대상으로, 동시적으로 살펴야 한다. 적어도 ‘지정학적, 심리적 인접국’의 역사만큼은 동시적으로 아울러 살펴야 한다. 그래야만 이씨조선 말기와 같은 前轍을 되밟지 않을 것이다. 19세기 중기 이후는, 歐美 列强이 동양으로 진출하여, 일본에게 개국을 요구했고, 하급 무사에 의한 尊王攘夷 운동, 막부 타도 운동이 격화하여, 결국 260여년에 걸친, 에도 바쿠후는 쓰러지고, 메이지 유신을 맞게 되었다.메이지 유신(明治維新)은,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王政復古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한다. 메이지 유신은 학문상 명칭이며, 당시 고잇신(御一新) 등으로 불렸다. 메이지 유신의 개시 시기는 1868년이며, 종료 시기는 1871년 廢藩置縣, 1873년 地租改正, 1877년 세이난전쟁(西南戰爭), 1889년 헌법 발표 등 여러 설이 있으며, 정설은 확립되지 않았다. -하략-
9788959961412

귀환과 전쟁, 그리고 근대 동아시아인의 삶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엮음)  | 경진
19,500원  | 20111230  | 9788959961412
'귀환'과 '전쟁'이라는 주제는 동아시아인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귀환’의 경우, 1945년 일제 패망 당시 해외 한인의 수는 대략 500만 명에 달했는데 이는 당시 한국인의 20%를 차지하는 규모였으며 미 국무부는 1943년 5월, 전후 처리와 관련하여 전후의 중대한 현안으로 해외한인 문제를 다루었다. ‘전쟁’의 경우 한국전쟁, 즉 6.25전쟁은 미국과 중국, 소련, 유엔군 등의 참전으로 전 세계적 범위로 확대되었으며 휴전과 함께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9788971804315

한국의 근대적 민족국가 건설과 6.25 전쟁 (쟁점과 과제)

허만호  | 경북대학교출판부
19,950원  | 20151217  | 9788971804315
근대적 정체 형성과정에 노정된 이념 대립, 사회, 경제적 모순 조명 6.25전쟁의 기원을 정치학 분야에서 분석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정책 결정자, 통치체, 동서 관계 등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 6.25전쟁의 국제전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유용한 작업이었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이 분쟁의 또 다른 한 면인 내전적 속성을 충분히 규명하지 못했고, 분쟁 발생 배경으로 작용했던 사회, 경제적 여러 요소들과 이 분쟁 간의 연관성에 주의를 충분히 기울이지 못했다.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본서에서는 근대적 정체 형성과정에 노정되었던 이념적 대립, 분단 체제의 구축 과정에서 촉매제 역할을 했던 사회, 경제적 모순들을 조명하였다. 그리고 민족 통일성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들, 특히 6.25전쟁의 여러 속성들 중에서 내전적 속성을 규명하는 데 필히 연구되어야 할 남한에서의 대중 폭동과 게릴라 운동의 발생 배경 및 6.25전쟁과 이 운동들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9791186356074

전쟁과 극장 (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

이상우  | 소명출판
36,900원  | 20150820  | 9791186356074
근대, 전쟁, 그리고 극장 『전쟁과 극장-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소명출판, 2015)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HK(인문한국) 한국문화연구단 산하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과 동아시아’ 기획연구팀이 2013년 초부터 2년간에 걸친 공동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물이다. 2011년 초에 출범한 이 기획연구팀은 각각 국문학, 중문학, 일본학 등을 학문적 영역으로 삼으면서 연극, 영화, 대중연예, 문화연구 등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학계의 고질적인 칸막이 나누기식 분과적 학문 활동을 지양하고 학문간 횡단과 융합의 생산적 담론장(場)을 열어보자는 취지에서 ‘동아시아 근대극장과 문화정치학’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모임을 결성하게 되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