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쟁과 극장

전쟁과 극장

(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

이상우, 장동천, 문경연, 윤진현, 와타나베 나오키, 양근애, 이승희, 이화진, 배선애, 오명선, 이주영, 백두산, 이민영, 이복실, 정명문 (지은이)
소명출판
4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900원 -10% 0원
2,050원
34,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쟁과 극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쟁과 극장 (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86356074
· 쪽수 : 618쪽
· 출판일 : 2015-08-20

책 소개

'전쟁'이라는 명료한 주제를 통해 20세기 동아시아의 근대 전쟁이라는 시점에 나타난 '동원(動員)된 극장', '전쟁(戰爭)하는 극장'의 단면을 분석해봄으로써, 근대국민국가와 극장이라는 문화장(場) 사이의 은폐된 동화와 협력 이면에 숨겨진 첨예한 갈등과 긴장의 균열들을 살펴본다.

목차

책머리에 - 이상우

1부 주체의 표상, 혹은 주체의 자기서사화
1장 파시즘과 민족사이야기 - 일제 말기 역사극이 ‘민족’을 기억하는 방식 이상우
1. 파시즘체제와 역사극이라는 표현공간
2. 고대사이야기-고대민족이야기의 향수, 또는 중국의 ‘지나화’
3. ‘이조李朝’이야기-수치스런 민족사의 원망, 또는 ‘이조’의 ‘지나화’
4. 맺음말

2장 점령지 상하이 사람의 자화상 그리기 - 리젠우李健吾의 번안극 <진샤오위金小玉>에 숨겨진 의미 오명선
1. 들어가는 말
2. 점령지 상하이와, 연극 생산주체와 소비주체의 욕망
3. 리젠우의 극문학 창작에 나타난 점령지의 ‘인성人性’
4. <진샤오위>, 피점령시기 상하이인의 자화상
5. 나가는 말

3장 결혼이라는 불온한 제도 - 일제 말기 국민연극에 나타난 결혼 이주영
1. ‘독신은 국책위반’
2. 내선內鮮에서 동족同族으로
3. 좌절되는 결혼, 불온성의 제거
4. 극장이란 전장, 불가능한 극장戰

4장 항일 조선인 병사의 연극 윤진현
1. 머리말
2. 연변 조선족사에서의 항일연극
3. 중국군대에서 조선인 병사의 문화환경
4. 항일 참전기의 연극화-김준엽의 <광명의 길>
5. 맺음말

5장 두 개의 조선, 혁명과 전쟁 사이 - 남궁만 <홍경래>(1947)의 전후 양근애
1. ‘홍경래의 난’ 對 ‘평안도 농민전쟁’
2. ‘혁명가 홍경래’의 근대적 발견
3. 남궁만의 <홍경래>와 해방기 북한 역사극
4. 혁명, 전쟁 그리고 새로운 국가

6장 월경과 전향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백두산
1. 서론
2. 생존의 욕망과 월경의 공포
3. 월경과 전향 사이-‘국민’과 ‘월경인’의 구도
4. ‘반공전향’으로의 전회轉回-<여수>(1965) 개작과 월남 작가의 내면
5. 결론

2부 非/常時의 문화정치학
7장 전시체제기 연극통제시스템의 동원정치와 효과 이승희
1. 전시통제의 퇴적물
2. 연극통제시스템의 구축과 수행성의 통제
3. 국민연극의 표류, 擬似전위의 이원성
4. 조선연극의 ‘遲滯’라는 변수
5. ‘국가’에 대한 감각

8장 <文化朝鮮>(1939~1944)의 미디어 전략과 제국의 디스플레이 - 조선의 연극․영화 기사를 중심으로 문경연
1. <文化朝鮮>, 미디어의 전력화戰力化
2. <文化朝鮮>의 시각성
3. 조선연극, ‘싸우는 연극’
4. 조선영화 테크놀로지와 협력성, 이중의 미달태
5. 무대와 스크린, 식민지 문화의 환원 불/가능성

9장 극단 낭만좌, 좌파 연극인들의 존재 방식 이민영
1. 좌파 연극인들의 자취
2. 범좌파적 연극통합체의 구상
3. 통제된 수행성과 反-帝의 브리콜라주
4. 선전과 흥행 사이, 감춰둔 불온의 영역
5. 좌파 연극운동의 복권을 위한 서설

10장 전쟁과 연예 - 전시체제기 경성에서 악극과 어트랙션의 유행 이화진
1. ‘비상시’의 아이러니
2. 경성 흥행가의 재편과 어트랙션의 부상
3. ‘전시대용품’으로서의 어트랙션
4. 흥행 네트워크와 문화의 횡단
5. 조선악극단이라는 사례 혹은 예외
6. 결론을 대신하여

3부 극장의 이동, 문화의 접변
11장 철로와 부속지가 형성한 중국 동북지역의 초기 영화문화 장동천
1. 영화문화의 시원을 찾아
2. 철로와 도시공간의 변화
3. 영화문화의 수용 양상
4. 중국인 관객의 성격
5. 영화 환경의 왜곡
6. 초기 영화문화의 의의

12장 일제 말기 조선 극단의 만주 순회공연 이복실
1. 들어가며
2. 만주 순연의 목적
3. 만주 순연의 기획 과정과 순연 양상
4. 공연작품과 관객
5. 나가며-만주 순연의 의의 및 향후 과제

13장 동원된 미디어, 전시체제기 만담부대와 만담가들 배선애
1. 만담, 웃음과 선동 사이
2. 위문.감사.독려의 시대 이동연예대의 위치
3. 제국과 미디어 결탁의 총아, 동원된 미디어로서의 만담부대
4. 전쟁과 웃음, 전복과 순응의 길항

14장 만영 영화의 하얼빈 표상 - 리샹란 주연 <나의 꾀꼬리>(1944)론 와타나베 나오키
1. 서론
2. 제작진과 출연자에 대해서
3. 작품의 비공개 조치 및 1980년대의 필름 발견과 공개에 대해서
4. 여배우 리샹란의 역할과 만주 러시아인 커뮤니티
5. 시국성과 향수, 그리고 민족/젠더의 정치
6. 소결

15장 전시의 극장, 선동과 공감의 매개체 - 한국전쟁 시기 북한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정명문
1. 들어가며
2. 직설적 가사 반복을 통한 감성 유지
3. 시각적 스펙터클과 문화 과시
4. 소규모 조직을 통한 선동의 극대화
5. 이상적 모델 제시와 교훈 주입
6. 결론을 대신하여

초출일람
필자 소개

저자소개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극예술학회 회장 및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졸업. 1991년 《객석》 예술평론상을 받고 연극평론가로 등단. 2002~2003년 미국 Columbia University,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 Cultures 객원연구원, 2013~2014년 메이지대학 문학부, 객원교수. 노정 김재철 학술상 수상. 저서 『식민지극장의 연기된 모더니티』, 『세기말의 이피게니아』, 『함세덕』, 『연극 속의 세상 읽기』 등.
펼치기
장동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다녔으며 같은 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베이징 사범대학에서 박사 연수를 했고, 타이완의 중앙연구원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중국 현대시가 전공이나 영화와 근대건축 등의 중국 도시 문화에도 관심을 기울여왔다. 지은 책으로 《영화와 현대 중국》, 《전쟁과 극장》(공저),《영화로 읽는 중국》(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상하이 모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문경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에 재직하며 인문교양과 문화예술 강의를 맡고 있다. 저서로 《취미가 무엇입니까?》 《한국 근대 극장예술과 취미 담론》, 역서로 《연기된 근대》 《포스트 콜로니얼 드라마》 등이 있다.
펼치기
윤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이순신과 영웅의 쇄신」「김재철과 조선 연극사」「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종류와 변용」등이, 저서로 <행복한 인천연극>, <풍경, 함세덕>등이 있다. 현재 인하대 한국학과의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다.
펼치기
와타나베 나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무사시대학 교수. 전공은 한국 근현대문학. 1965년 도쿄 출생. 일본 게이오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에 일본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근무했다. 1994년에 동국대학교 대학원에 입학, 1998년 여름에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대학교 국제어학원 초빙전임강사를 거쳐서 2005년부터 무사시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2011년에 UC San Diego에서, 2018년에 고려대학교에서 각각 Visiting scholar를 역임했다. 2017년 2월에 「임화 문학론 연구」로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표상 공간의 담론 형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Colonial and Transnational Production of “Suicide Squad at the Watchtower” and “Love and the Vow””(Cross-Currents, Vol.2, No.1,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가 있으며, 공저로 <전쟁과 극장?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 극장의 문화정치학>(소명출판, 2015),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소명출판, 2010), <이동하는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동국대 출판부, 2011), <근대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책과함께,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극사연구자. 성균관대학교와 성공회대학교에서 강의한다. 논문 「식민지 조선 흥행시장의 병리학과 검열체제」 「계몽의 감옥과 근대적 통속의 시간」 「‘신파-연극’의 소멸로 본 문화변동」 등을 썼다. 저서 『한국 사실주의 희곡, 그 욕망의 식민성』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공저), 『한국영화와 민주주의』(편저) 등이 있다.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공역했다.
펼치기
이화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국영화 및 극장문화를 연구한다. 「‘데프’의 영화를 찾아서 : <만종>(신상옥, 1970)과 그 주변」(2021),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2023), 「예술적 동정과 제국적 관용, 그 사이의 비평」(2019) 등의 논문과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영화란 하오』(공저, 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공저, 후마니타스, 2020)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배선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남 함안에서 출생, 2003년에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성균관대 학부대학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극예술연구>의 편집위원이며, 월간 <객석>과 계간 <공연과 이론>, <한국희곡> 등의 필자로 연극평론가 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민족문학사연구소, 한국극예술학회, 반교어문학회 등에서 한국 극예술과 근대 공연문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오명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펼치기
이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
펼치기
백두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복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저로 「일제 말기 만주 조선인 아동극에 대한 고찰」, 「항미원조 위문단의 실체와 활동 양상」, 「해방 전후 극작가 김진수의 이력과 만주 인식」, 「조선족 희곡 <불길> 에 나타난 여순항쟁의 극적 재현과 바다 공간의 변화」, 『만주국 조선인 연극』, 『극예술, 과학을 꿈꾸다』(공저), 『귀향과 이산』(공저), 『극예술, 바다를 상상하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명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