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61875660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20-11-20
목차
책머리에
1장 청일전쟁의 기원: 청말의 종주권 관념과 속국정책의 변화 _ 이동욱
I. 머리말
II. 아편전쟁 이후 청조의 ‘속국’ 주장
III. ‘자주’의 강조: 톈진·베이징조약과 『만국공법』
IV. ‘속국’의 재강조와 종주권 관념의 변용
V. 맺음말
2장 청일전쟁 전후 일본 정치가들의 동아시아 세력 변화 인식: 이토 히로부미와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중심으로 _ 박영준
I. 머리말
II. 메이지 초기 일본 정치가들의 아시아 인식과 정책
III. 청일전쟁 전개와 일본 정치인들의 전쟁 수행 정책
IV. 청일전쟁 이후 일본 정치인들의 아시아 인식과 정책
V. 맺음말
3장 청일전쟁 직전 영국의 외교적 간섭 실패와 패권적 지위 균열: 영국의 대조선 정책과 관련해서 _ 한승훈
I. 머리말
II. 영국의 조선 문제 단독 간섭
III. 영국의 외교적 공동 간섭 추진과 실패
IV. 맺음말
4장 전이이론으로 본 청일전쟁: 19세기 말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목표 _ 신욱희
I. 머리말
II. 전이이론의 다양성
III. 전이이론과 청일전쟁: 전이 양상의 분석
IV.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목표: 지위/권위 전이의 관점
V. 맺음말
5장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반도 전쟁: 19세기 청일전쟁과 21세기 미·중 경쟁 _ 정성철
I. 머리말
II. 한반도와 대규모 전쟁: 임진왜란부터 한국전쟁까지
III. 이론적 논의: 세력이동과 전략적 영토
IV. 19세기와 21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V. 맺음말: 한반도 국제정치의 비극?
6장 실패국가, 실패패권, 근대국가의 홀로코스트 삼중주: 청일전쟁과 일본의 동학농민군 대량학살의 개념적 분석 _ 손기영
I. 머리말
II. 개념과 연구 질문
III. 실패국가 조선과 동학농민전쟁
IV. 근대국가 일본과 홀로코스트
V. 실패패권과 공위기
VI. 맺음말
7장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소프트 파워: 메이지유신의 유교적 재해석과 관련하여 _ 강동국
I. 머리말
II. 일본의 유교와 메이지유신 이해: 청일전쟁기까지
III. 조선의 유교와 메이지유신 이해: 청일전쟁기까지
IV. 일본의 유교와 메이지유신 이해: 청일전쟁 이후
V. 조선의 유교와 메이지유신 이해: 애국계몽기
VI. 맺음말
8장 근대 ‘개화’의 수용과 정치 변동(1876~1895) _ 김종학
I. 머리말
II. ‘개화’의 초기 수용 과정
III. 갑오개혁과 ‘개화’의 전유
IV.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