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목민심서"(으)로 14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4119012

목민심서

정약용  | 청솔출판사
12,600원  | 20240630  | 9791194119012
아이들에게 있어 고전 읽기가 중요한 이유 새롭게 읽는 좋은 우리 고전 시리즈는 어린이들이 꼭 한 번 읽어야 할 우리 고전들을 이 시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새롭게 구성한 시리즈이다. 옛 인물들의 지혜가 담긴 고전은 자극적이고 길이가 짧은 숏폼 등 미디어에 노출된 어린이들에게 진지하고 여유로운 태도를 지니게 한다. 또한 오랜 세월 동안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정신적인 가치를 소홀히 하지 않고, 옛 선현들의 말씀이나 글귀 속에 있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 고전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고리타분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고전은 시대를 뛰어넘어 현재에도 그 빛이 바래지 않는 소중한 가치와 감동을 담고 있다.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고전은 우리의 가슴을 울리고,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할 것이다.
9788936480684

정선 목민심서

정약용  | 창비
21,600원  | 20250124  | 9788936480684
우리 역사에 빛나는 불후의 고전 독창적인 인간학부터 실사구시의 개혁적 이상까지 당대의 치열한 고뇌에서 길어올린 정약용 사상의 정수 조선 후기 실학의 대가이자 불멸의 지성으로 사랑받는 정약용의 『정선 목민심서』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와 함께 ‘다산의 지혜’ 에디션으로 새롭게 독자들을 찾아간다. 법, 문학, 지리, 의학, 생물학 등 수많은 분야를 섭렵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긴 까닭에 그의 업적은 다산학이라는 학문으로 따로 분류될 정도이다. 이번 다산의 지혜 에디션은 그중 역작으로 손꼽을 수 있는 저서와 가장 사적인 기록을 함께 묶고 새 옷을 입혀, 안팎으로 나를 다스리는 법에 관한 다산의 가르침을 담았다. 『목민심서』가 지방 수령인 목민관이 따라야 할 지침을 담아 정치ㆍ사회ㆍ행정적으로 역할하는 공인(公人)의 자세를 고민케 한다면,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지식인이자 아버지로서 후대에게 긴히 남기는 말들이 담겨 있다. 오랜 시간 다산에 천착해 실학ㆍ다산학을 정립한 다산연구회와 다산 연구의 권위자인 박석무 단국대 석좌교수가 각각 편역한 두 책은 시대를 뛰어넘어 여전히 우리를 일깨우는 잠언으로 가득하다. 특히 어느 때보다 혼란한 시대를 리더로서, 한 인간으로서 현명하게 헤쳐나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이 곁에 두고 오래 그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생활고전으로 손색없다.
9791198442611

목민심서

최태응 옮김  | 고구려미디어
0원  | 20230911  | 9791198442611
최태웅의 『목민심서』는 〈부임육조〉, 〈율기육조〉, 〈봉공육조〉 등이 수록되어 있는 책이다.
9788963655086

목민심서

정약용  | 범우
0원  | 20230610  | 9788963655086
조선 후기 문신이자 유학자·실학의 대표적 인물 다산 정약용 근세 한국의 정치·경제·사회의 참모습, 관리의 부패와 횡포가 어떠했으며 서민들의 고통과 염원이 어떠했는지 알리고 흘러온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귀중 자료로서 앞으로 흘러갈 역사를 읽는 눈을 길러줄 《목민심서》
9788989192886

목민심서 (모두가 잘 사는 나라를 만들다, 파란클래식 13)

이성률  | 파란자전거
10,710원  | 20081124  | 9788989192886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모두가 잘 사는 나라를 꿈꾸다 〈파란클래식〉 제13권 『목민심서: 모두가 잘 사는 나라를 만들다』. 이 책은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대해 알아봅니다.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추구하고자 했던 실학 정신의 핵심인 민본주의 사상, 애민 정신, 그리고 실사구시 사상을 그대로 담고 있는 책입니다. 정약용은 자신이 살았던 현실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을 「목민심서」에 제시하고 있습니다. 백성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정치 제도를 개혁하고, 지방 행정을 개선하도록 말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애민 사상인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정치인들의 필독서가 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목민심서」를 저술한 정약용의 생애를 일대기 형식으로 알아봅니다. 그러면서 시대적 상황과 현재의 사회 문제를 이해하기 쉽도록 효과적으로 접목시켰습니다. 2부에서는 「목민심서」의 핵심 내용을 추려 12부 72항목을 짧게나마 모두 다루었습니다. 또한 자칫 무거워 질 수 있는 내용을 입말체로 꾸미고 수묵화로 그린 삽화와 사진을 실어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91757224

목민심서

정약용  | 명문당
10,800원  | 20211030  | 9791191757224
이 책은 목민심서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목민심서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91757194

목민심서

정약용  | 명문당
18,000원  | 20210930  | 9791191757194
《목민심서》는 오늘의 공무원들이 반드시 한 번 읽어 둘 필요가 있는 명저이다. 목민(牧民)이란 임금이나 수령이 백성을 다스려 기름을 말한다. 어린 것과 어리석은 것을 포함한 선량한 백성의 관리들, 특히 수령들이 어떻게 백성을 훈도하고 계몽하고 선도해야 하는가를 자세히 기록했다. 본서는 오직 다산 정약용의 실학자적 사고의 태도를 알아보고 전문가적 고증(考證)이나 훈고(訓?)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 일반 독자에게 원문의 주제를 파악하는데 혼란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긴 설명문이나 예거(例擧)는 많은 부분 생략하였고, 쉬운 말을 사용하여 어려운 어구에는 간단한 주를 붙여 독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9788961705165

목민심서

정약용  | 보물창고
11,520원  | 20151020  | 9788961705165
10대들이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을 선별하여 펴내 온 [1218 보물창고] 시리즈의 열여섯 번째 책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목민심서』에는 극도로 피폐해져 있던 조선 후기, 사람을 위하고 나라를 살리고자 했던 정약용의 개혁적 사상이 현실적 방법론과 함께 섬세하게 나타나 있다. 그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는 오늘날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청렴과 배려, 자애 등 도덕적 품성과 자질을 키워갈 밑바탕이 되어 미래 세대의 주역으로 튼실히 성장하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9788974745332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정약용  | 풀빛
11,700원  | 20051110  | 9788974745332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이 지은 . 백성을 다스리는 목민관이 해야 할 임무와 자세를, 다산 자신의 생각을 다양한 역사책과 사례들을 참고해 정리한 책이다. 한문 원전으로 14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에서 청소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적인 내용만 뽑았다. 이를 가상의 인물 '재용'과 다산 선생과의 대화체 방식으로 재구성한 것. 본문에 나오는 어려운 한자 단어는 최대한 현재 용어로 풀거나 뜻을 설명했고, 인명, 지명 등 풀어쓰기 어려운 용어는 괄호나 각주로 설명했다.
9791196360276

목민심서 (목민관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서 / 백성이 하늘이다)

정약용  | 늘푸른소나무
11,520원  | 20191025  | 9791196360276
“백성이 하늘이다!”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조선 정조와 순조 때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이 오랜 시간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지은 치민(治民)의 지침서다.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제목의 의미부터 알아야 한다. ‘목민(牧民)’이란 백성을 기른다는 뜻으로 ‘목민관(牧民官)’이란 백성을 가장 가까이에서 다스리는 ‘지방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을 뜻한다. ‘심서(心書)’란 말 그대로 ‘마음을 다스리는 글’이라는 뜻이다. 유배 중에 있던 그는 ‘목민할 마음만 있을 뿐 몸소 실행할 수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직접 밝혔다. 『목민심서』는 다산 정약용이 전라도 강진에서 18년간 귀양살이를 하고 있던 중에 집필하여 57세인 1818년(순조 18)에 완성했는데, 학문적으로 가장 원숙해가던 때에 이루어진 다산의 사상의 정수를 담은 저술이다. 특히 조선의 사회 · 정치의 실상을 민생문제 및 수령의 본무(本務)와 결부시켜 소상하게 밝히고 있는 명저이다. 다산은 이 책에서 지방 관리들의 폐단을 비판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헤아리며 앞으로 모두가 잘살기 위해서 목민관이 갖춰야 할 덕목들에 대해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목민심서』는 48권 16책의 방대한 저작으로, 부임(赴任)부터 율기(律己) · 봉공(奉公) · 애민(愛民) · 이전(吏典) · 호전(戶典) · 예전(禮典) · 병전(兵典) · 형전(刑典) · 공전(工典) · 진황(賑荒) · 해관(解官) 등 모두 12부로 구성되었고, 각 부가 다시 6조로 나뉘어져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 목민을 위한 정치와 행정에 필요한 모든 사항들이 망라되고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목민심서』는 그 사료적 가치만으로도 의미가 충분한 저작이다. 다산은 이 책에서, 그 자신이 중앙의 고위관료로만 한평생을 지냈다면 절대 알 수 없었던 조선 후기 백성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목민관이던 아버지 임지에서 보고들은 내용, 자신이 암행어사가 되어 파악한 현실, 유배지에서 직접 목격한 백성들의 참담한 상황을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증언한다. 정약용의 탁월한 분석과 사례조사가 조선 후기 경제사 ㆍ 사회사 ㆍ 문화사 연구자들에게 소중한 사료의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 그런 까닭에 현대에 이르러서도 조선의 사회상을 속속들이 구체적으로 그려낸 인문학의 고전으로, 절체절명의 시대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한 경륜이 가득 담긴 탁월한 사상서로 인정받고 있다.
9788982031175

목민심서 (개정판)

정약용  | 육문사
31,500원  | 20121115  | 9788982031175
강한 자에게는 강하고 약한 자에게는 관대하게 하라! 백성들의 고통과 답답하고 억울한 사정을 해결해 주어야 할 책임과 사명을 지닌 공직자들의 금과옥조의 바이블. 국세청 간부들의 정신교육 필독서로 읽혔던 애민사상과 실사구시의 가르침을 전하는 유네스코 선정 올해의 역사인물로 뽑힌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백성을 사랑하는 목민관의 지침서 《목민심서(牧民心書)》.
9791192892344

정약용 (목민심서 이야기)

임헌무  | 교연미디어
9,900원  | 20230215  | 9791192892344
LEADERSHIP MENTORING THEME GREAM MAN 거중기, 배다리 등을 만들어 백성들의 힘을 덜어주고, 《경세유표》,《흠흠신서》,《목민심서》를 저술하여 백성들이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정약용의 이야기 속으로 함께 들어가 보아요.
9788966457168

사또, 먼저 백성을 사랑하시오 (목민심서)

심상우  | 한국톨스토이
9,000원  | 20170601  | 9788966457168
정약용이 지은 목민심서에는 관리가 알아야 할 금쪽같은 내용이 담겨 있어요. 관리는 스스로 마음을 올바르게 세운 뒤 백성을 위해 봉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해요. 자신의 욕심을 채우느라 정신없는 관리에게 목민심서는 좋은 본보기가 되지요.
9788926868836

목민심서

이을호  | 한국학술정보
28,800원  | 20150619  | 9788926868836
다산 정약용(1762∼1836) 연구의 권위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이 일생 동안 연구한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업적을 정리한 「현암 이을호 전서」 제9권 『목민심서』. 책은 원문의 번역과 문장의 교열을 통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서세(逝世) 후에 발견된 여러 글들을 보완하고 추모의 글도 함께 실어서 그 학문세계뿐 아니라 선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데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9788975857683

목민심서 (마음으로 쓴 벼슬살이의 지침)

정약용  | 계명대학교출판부
10,890원  | 20170217  | 9788975857683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강진에서 18년간 귀양살이를 하다가 풀려난 해인 1818년에 완성한 책이다. 지방관이 부임할 때부터 해임될 때까지 수행해야 할 직무 외에, 공무를 처리하는 방식과 지녀야 할 태도 등 지방관이 지켜야 할 지침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가며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현실의 문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그 해결책과 함께 지방관의 폭정을 비판한 책으로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덕목들을 배우기에 유용한 책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