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91198442611
· 쪽수 : 581쪽
· 출판일 : 2023-09-11
목차
1. 부임육조
제1조 제배 - 관직을 제수받음 11
제2조 치장 - 부임길의 행장 15
제3조 사조 - 조정에 하직인사 18
제4조 계행 - 임지로의 여행길 23
제5조 상관 - 수령의 자리에 취임 28
제6조 이사 - 정사에 임함 32
2. 율기육조
제1조 칙궁 - 몸가짐을 바르게 함 43
제2조 청심 - 청렴한 마음가짐 54
제3조 제가 - 가정을 정제함 68
제4조 병객 - 공무 이외의 객을 막음 78
제5조 절용 - 관재를 절약하여 씀 83
제6조 낙시 - 즐거운 마음으로 베풂 90
3. 봉공육조
제1조 선화 - 임금의 은덕을 백성들에게 베풂 99
제2조 수법 - 국법을 엄히 지킴 105
제3조 예제 - 예로써 사람들을 대함 110
제4조 문보 - 공문서의 작성 및 처리 120
제5조 공납 - 부공의 공평한 수납 130
제6조 요역 - 노역의 차출 137
4. 애민육조
제1조 양로 - 노인을 잘 봉양함 149
제2조 자유 - 어린이를 사랑으로 기름 154
제3조 진궁 - 불쌍한 사람들을 진휼함 158
제4조 애상 - 상을 입은 사람들을 구휼함 162
제5조 관질 - 병든 사람들을 관대히 배려함 167
제6조 구재 - 재난당한 사람들을 구제함 172
5. 이전육조
제1조 속리 - 아전들에 대한 단속 179
제2조 어중 - 수령이 대중을 통솔함 193
제3조 용인 - 사람을 잘 골라 씀 198
제4조 거현 - 어진 사람을 천거함 206
제5조 찬물 - 물정을 살핌 212
제6조 고공 - 아전들의 공적을 평가함 221
6. 호전육조
제1조 전정 - 농지 행정 227
제2조 세법 - 조세의 부과 및 징수 236
제3조 곡부 - 환곡의 관리 252
제4조 호적 - 호수와 인구의 기록 270
제5조 평부 - 부와 역을 공평하게 함 279
제6조 권농 - 농사를 권장함 297
7. 예전육조
제1조 제사 - 수령이 주관할 제례의식 309
제2조 빈객 - 공적인 손님에 대한 접대 316
제3조 교민 - 백성들의 교화 325
제4조 홍학 - 학문과 교육의 부흥 333
제5조 변등 - 위계질서의 확립 339
제6조 과예 - 과거제도의 운용 344
8. 병전육조
제1조 첨정 - 군역의 부과 및 징집 351
제2조 연졸 - 군졸들을 훈련함 359
제3조 수병 - 각종 병기의 관리 366
제4조 권무 - 무예의 권장 369
제5조 응변 - 변란에 대응함 373
제6조 어구 - 적의 침략을 막음 379
9. 형전육조
제1조 청송 - 송사를 다룸 387
제2조 단옥 - 옥사를 판단함 403
제3조 신형 - 형벌을 신중히 함 417
제4조 휼수 - 옥에 갇힌 죄수를 보살핌 425
제5조 금포 - 세력 있는 자들의 횡포를 막음 434
제6조 제해 - 백성들의 각종 피해를 제거함 444
10. 공전육조
제1조 산림 - 조림 정책 463
제2조 천택 - 치수 정책 474
제3조 선해 - 관아 건물의 수리 481
제4조 수성 - 병란에 대비하여 지곽을 쌓음 486
제5조 도로 - 교통을 위한 도로 행정 491
제6조 장작 - 여러 가지 도구와 용기의 제작 495
11. 진황육조
제1조 비자 - 물자를 비축함 503
제2조 권분 - 백성들에게 서로 나누어 베풀기를 권함 512
제3조 규모 - 진휼을 합리적으로 함 523
제4조 설시 - 진장의 설치 및 진휼의 시행 529
제5조 보력 - 흉년에 양식에 보탬이 되는 여러 가지 방안 모색 538
제6조 준사 - 진황 정책의 끝마무리 544
12. 해관육조
제1조 체대 - 수령의 교체 553
제2조 귀장 - 체임되어 돌아가는 수령의 행장 558
제3조 원류 - 백성들이 수령의 유임을 청원함 562
제4조 걸유 - 백성들이 수령의 죄의 용서를 비는 것 567
제5조 은졸 - 수령이 재임 중 사망하는 경우 569
제6조 유애 - 수령이 백성들의 애모 속에 죽거나 떠나감 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