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36480684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01-24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며
『정선 목민심서』를 내며
『역주 목민심서』 전면개정판을 내며
자서(自序)
제1부 부임(赴任) 6조
1. 임명을 받음
2. 부임하는 행장 꾸리기
3. 조정에 하직하기
4. 부임 행차
5. 취임
6. 업무를 시작함
제2부 율기(律己) 6조
1. 바른 몸가짐
2. 청렴한 마음
3. 집안을 다스림
4. 청탁을 물리침
5. 씀씀이를 절약함
6. 베풀기를 좋아함
제3부 봉공(奉公) 6조
1. 교화를 펼침
2. 법도를 지킴
3. 예의 있는 교제
4. 보고서
5. 공물 바치기
6. 차출되는 일
제4부 애민(愛民) 6조
1. 노인을 봉양함
2. 어린이를 보살핌
3. 가난한 자를 구제함
4. 상을 당한 자를 도움
5. 병자를 돌봄
6. 재난을 구함
제5부 이전(吏典) 6조
1. 아전 단속
2. 관속들을 통솔함
3. 사람 쓰기
4. 인재 추천
5. 물정을 살핌
6. 고과제도
제6부 호전(戶典) 6조
1. 전정
2. 세법
3. 환곡 장부
4. 호적
5. 부역을 공평하게 함
6. 농사 권장
제7부 예전(禮典) 6조
1. 제사
2. 손님 접대
3. 백성을 가르침
4. 교육을 진흥함
5. 신분 구별
6. 과거공부를 힘쓰도록 함
제8부 병전(兵典) 6조
1. 병역 의무자 선정
2. 군사훈련
3. 병기 수선
4. 무예 권장
5. 변란에 대응하는 법
6. 외침을 막아내기
제9부 형전(刑典) 6조
1. 송사를 심리하기
2. 형사 사건의 판결
3. 형벌을 신중하게 씀
4. 죄수를 불쌍히 여김
5. 백성들 사이의 폭력을 금함
6. 도적에 의한 피해를 제거함
제10부 공전(工典) 6조
1. 산림
2. 수리사업
3. 관아 건물 수리
4. 성의 수축과 보수
5. 도로
6. 기물 제작
제11부 진황(賑荒) 6조
1. 구휼 물자 준비
2. 기부를 권함
3. 세부계획
4. 시행방법
5. 민생을 보충하는 방책
6. 마무리
제12부 해관(解官) 6조
1. 수령 교체
2. 돌아가는 행장
3. 수령의 유임을 청원함
4. 수령을 용서해달라는 청원
5. 수령의 재임 중 사망
6. 훌륭한 수령은 떠난 뒤에도 사모하는 뜻을 남김
해설 민생을 구제하는 목민관의 마음가짐 / 김보름
부록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조직
조선시대의 형벌제도
리뷰
책속에서
백성을 사랑하는 근본은 아껴 쓰는 데 있고, 아껴 쓰는 근본은 검소함에 있다. 검소해야 청렴할 수 있고, 청렴해야 자애로울 수 있으니, 검소함이야말로 목민하는 데 있어서 제일 먼저 힘써야 할 일이다.
벼슬살이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두려워할 외(畏)’ 한 글자이다. 의(義)를 두려워하고 법을 두려워하고 상관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두려워하여 마음에 언제나 두려움을 간직하면, 혹시라도 방자하게 되지 않을 것이니, 이로써 허물을 적게 할 수 있다.
욕심이 큰 사람은 반드시 청렴하려 한다. 사람이 청렴하지 못한 것은 그의 지혜가 짧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