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미래사회보고서"(으)로 5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5323106

미래 사회 보고서 (당신의 미래를 지배할 것들)

유기윤  | 라온북
0원  | 20171011  | 9791155323106
‘플랫폼’, ‘복합지성’, ‘가상현실’이라는 세 가지 재료에 ‘인간의 본성’을 더해 아주 쉽고도 구체적으로 미래를 그려냈다. 또한 네 가지 계급으로 사람을 분류하고, ‘일자리 전쟁’으로 3차 세계대전이 촉발, 가상도시의 탄생으로 신체와 정신이 분리된 삶을 사는 30년 후의 세계를 그렸다. 저자는 인공지능, 플랫폼,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같은 현재의 기술이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나아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미리 들여다보기를 권한다. 멀지 않은 30년 후 미래 세계를 예측해보는 일은 나의 미래뿐 아니라 현재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9791159098352

10대를 위한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사회탐구편 (미리 가 본 미래 세상)

박영숙, 제롬 글렌  | 교보문고
11,520원  | 20230119  | 9791159098352
남들보다 먼저 목격한 미래 세상은 어떻게 바뀌어 있을까? 호기심 많은 10대에게 보내는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은 끊임없이 미래를 상상했습니다. 19세기에 프랑스의 예술가들은 100년 후인 2000년의 모습을 상상해서 그렸습니다. 청소기, 비행기, 잠수함, 영상 통화 등 당시에는 꿈같았던 일들이 지금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약 60년 전에 미래를 예측한 만화에는 영상 통화로 친구와 만날 약속을 하고, 전기 자동차를 타고 약속 장소에 가며, 집에서 원격으로 수업을 듣는 모습 등이 담겨 있습니다. 모두 현재의 모습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과거의 사람들이 상상하고 꿈꾸고 실현하려고 노력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10대들은 10년 후, 20년 후에 영화보다 놀랍고 만화보다 흥미진진한 미래 사회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10대를 위한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사회탐구》는 10대의 눈높이에 맞춰 이들이 경험할 세상의 모습을 먼저 보여주는 책입니다.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이끌어 줄 자율 주행과 하이퍼루프, 완전히 새로운 인간의 탄생을 알리는 트랜스 휴먼과 세상에 없던 음식인 대체 식품 등 상상에서만 존재했던 미래가 어떻게 현실이 되는지를 이야기합니다. 현재 개발된 첨단 기술부터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분야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미래 사회의 모습은 10대들의 창의력을 한껏 자극할 것입니다. 미래는 먼저 읽는 자의 것입니다. 과거는 바꿀 수 없지만 미래는 바꿀 수 있습니다. 호기심과 열정이 넘치는 10대들은 이 책을 읽고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스스로 앞날을 준비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9791166521690

미래사회 성평등 정책의 도전과제 3: 기후위기 대응정책의 성인지적 개선방안(2024 연구보고서 22) (2024 연구보고서 22)

장윤선, 김둘순, 윤지소, 김선아, 이성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950원  | 20241231  | 9791166521690
9788946062696

사회학으로 세상 보기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 / 사회학자 유팔무의 교수 생활 27년 보고서)

유팔무  | 한울
14,400원  | 20170313  | 9788946062696
사회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 사회와 교수 생활 사회학자 유팔무, 교수 생활 27년을 총결산한 책 [사회학으로 세상 보기]. 다음 세대에 더 나은 세상을 물려주고자 연구와 교육, 실천 활동을 병행해온 유팔무 교수가 정년을 맞아 지난 27년간의 강의와 다양한 실천 활동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풀어냈다. 토론식 강의를 그대로 옮긴 듯한 이 책은 한국 사회의 모순을 온몸으로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사회를 보는 눈과 바꾸어 나갈 방법을 찾게 해줄 것이다. 사회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오늘날 한국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는 더 나은 사회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대학교수라는 직업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 이 책에서 유팔무 교수는 평생을 공부해온 사회학의 관점에서 이러한 물음에 대해 가감 없고 솔직한 답변을 들려준다.
9791197731143

메이킹 라이트 워크 (일에 대한 미래 보고서)

데이비드 A. 스펜서  | 생각의창
15,300원  | 20230117  | 9791197731143
일하는 시간은 줄고 삶의 질은 높아지는 미래 만들기 일이란 무엇인가? 일이란 무엇인지, 왜 해야 하는지 깊이 생각해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 보통의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응당 해야 하는 것이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학업을 마치면 당연한 수순으로 취업 전선에 뛰어든다. 이렇듯 현실에서는 좋든 싫든 생계를 위해서 해야 하는 의무 같은 것이 바로 일이다. 그리고 일은 안 할 수만 있다면 안 하고 싶은 부정적인 이미지 또한 강하다. 이 책의 저자 데이비드 A. 스펜서 교수는 자본주의하의 일의 본질 때문에 일은 그저 소외 현상을 일으키는 부담일 뿐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그는 일을 없애자고 하지 않고 덜어내자고 주장한다. 그는 또 애덤 스미스를 시작으로 마르크스, 모리스, 케인스, 그레이버 등 이 세상 최고의 사상가들과 논쟁하며, 일부 사람들만 질 높은 일을 할 수 있고 대다수는 하찮은 일을 할 수밖에 없다는 개념을 거부한다. 일터를 모든 사람이 창의력을 발휘하고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주당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의제를 제시한다. 그가 주장하는 건 바로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주 4일 근무제다. 박학다식한 학자 스펜서 교수가 이 책에서 서술하고 있는 각 장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일의 여러 가지 의미를 탐색한다. 일을 나쁘기만 하거나 좋기만 한 것으로 볼 때 발생하는 오류에 주목하고, 일이라는 활동의 비용과 이익을 실제 일의 체계와 연결하는 섬세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시간이 왜 계속 긴지, 일의 양을 줄이는 것이 왜 계속 힘든지 살펴본다. 그리고 케인스가 1930년에 쓴 유명한 에세이를 중심으로, 일을 덜어내는 것을 가로막는 장벽과 일을 덜어내는 것의 이점을 알아본다. 3장에서는 현대사회 속 일의 현실을 논한다. 데이비드 그레이버의 ‘불쉿 잡’ 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에서 일을 옹호하고 비난하는 여러 접근 방식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일의 질을 객관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4장에서는 모든 사람이 질 높은 일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질 낮은 일을 하는 건 불가피하다는 일부 사람들의 주장과 달리, 질 높은 일을 할 기회가 모든 노동자에게 확대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5장에서는 자동화와 노동 절감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현대사회의 논의를 살펴본다. 자동화에 대한 현대의 논쟁을 통해 미래에 달라질 일이 지닌 잠재력을 온전히 파악하려면 소유권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6장에서는 정책과 정치적인 문제를 살펴본다. 현재의 성장 기반 정책, 완전 고용, 보편적 기본 소득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들 정책의 대안으로 저자만의 개혁 의제를 제시한다. 이 의제에는 주 4일 근무제를 지지하는 의견이 들어 있다. 이 책은 일하는 시간은 줄어들고 일과 삶의 질은 높아지는 미래 비전을 그렸다. 단순히 앞으로의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존재하는 세상을 초월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사회가 일을 줄인다는 개념에서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 미래에 일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인류의 이익을 위해 일을 덜어내야 한다는 확신을 갖게 될 것이다.
9791129001047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이슈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진한엠앤비
12,600원  | 20170628  | 9791129001047
미래이슈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은 1부와 2부로 나누었다. 1부의 1장에서는 미래 10년 후에 대한민국에 대두될 중요한 이슈를 제시하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2장에서는 선정된 중요 이슈 사이의 파급되는 영향과 동적인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이슈와 관련된 기존의 정책들을 분석하여 미래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고, 미디어의 관점에서 본 이슈들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았다. 2부에서는 전문가들이 선정한 이슈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보는 미래이슈의 전망과 대응방안을 다루었다.
9791129000996

10년 후 대한민국, 이제는 삶의 질이다 (미래전략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진한엠앤비
12,600원  | 20170624  | 9791129000996
본 미래전략보고서는 이러한 삶의 질을 중시하는 국민들의 인식변화를 바탕으로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문화를 형성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애주기별 과제와 인프라 구축 등 포괄적인 미래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 정부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특히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과학기술과 ICT의 역할에 대해서도 방향을 제시하였다. 건강, 문화·편리, 환경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분야에서 과학기술과 ICT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정부 차원의 전략과제도 도출하였다. 본 도서를 통해서 국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행복한 사회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9791129000941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미래전략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진한엠앤비
12,600원  | 20170620  | 9791129000941
전 세계 미래학자들과 관련 전망 보고서들은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사회 변화가 크게 기술·산업구조, 고용구조 그리고 직무역량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다시금 강조하자면, 미래 사회 변화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 긍정적인 변화도 존재하는 반면, 일자리 감소 등과 같은 부정적인 변화도 존재한다. 미래준비위원회에서는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변화를 면밀하게 살펴 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위한 보다 현실적이고 타당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는 미래 사회의 기술·산업구조의 변화, 고용구조의 변화 속에서 미래 일자리 변화 동인을 분석하고,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직업 변화의 다양한 트렌드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사회의 특성을 깊이 고려하면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 사회의 인식과 전망을 실제적으로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미래 사회의 ‘창의적’ 인재가 되는 미래 필요 역량에 대해 세 개 분야(문제 인식 역량, 대안 도출 역량, 기계와의 협력적 소통 역량)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는 시스템적 혁신을 교육 시스템, 직업의 다양화와 기업문화, 사회안전망 제도 개선, 좋은 일자리 창출 기반 강화의 측면에서 그 대안을 제안하였다.
9791129000958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미래전략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진한엠앤비
12,600원  | 20170620  | 9791129000958
4차 산업혁명은 현재 일부 산업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제조와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결합이 혁명적인 경쟁력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앞서 있었던 1차 산업혁명(증기기관 발명), 2차 산업혁명(전기모터 발명), 3차 산업혁명(정보기술 발전)과 달리 시작 단계의 변화를 선언적으로 명명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초연결성, 융합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 발전과 융합이 속도를 더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유통 비용을 낮춰 소득 수준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특히 기존의 생산·제조 시스템에 소비자의 요구를 결합하고 융합해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에 의해 데이터가 흐르고 축적되며 처리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 성향이 생산에 직접 반영되고, 제조가 서비스로 확대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9791156222613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미래전략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 지식공감
0원  | 20170131  | 9791156222613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는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미래준비위원회와 KISTEP, KAIST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을 변화시킬 중요 미래 이슈를 분석하여 출간해온 ‘10년 후 대한민국’ 시리즈의 네 번째 책이다. 현재 제4차 산업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획기적인 기술 진보 및 사회경제적 변화 등 미래 일자리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명쾌한 분석과 그에 따른 미래 일자리 변화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미래의 일자리가 인간에게 요구하는 ‘미래 역량’을 찾은 후, 그 미래 역량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우리 사회가 일자리 변화에 보다 긍정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전략적 방안까지 한 권에 모두 담아놓았다. 특히, 이 책은 현재 우리나라의 일자리 정책 전문가, 대학의 경력개발 및 진로지도 전문가, 기업의 인사 및 채용 전문가 등 일자리 관련 그룹에 대해 심도 깊은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우리의 일자리 상황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또한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통한 기술 융합이 세계의 산업구조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미래 예측을 기반으로 현재 당면한 문제이자 미래에는 더욱 중요해질 ‘미래의 일자리’에 대한 변화의 흐름을 읽고 미래 전략을 제시한다. 개인 단위에서 현재 직업을 가지고 일하고 있는 성인은 물론이고 미래에 일자리를 구해야 할 미래 세대에 속하는 어린아이를 둔 부모까지, 그리고 그들의 활동으로 운영되는 기업, 단체, 정부(국가) 등의 조직 단위까지 미래 일자리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9791156221456

10년 후 대한민국 이제는 삶의 질이다 (미래전략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 지식공감
13,500원  | 20160201  | 9791156221456
『10년 후 대한민국 이제는 삶의 질이다』 전략 보고서에는 삶의 질을 중시하는 국민들의 인식변화를 바탕으로 다양성이 존중되는 문화를 형성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애주기별 과제와 인프라 구축 등 포괄적인 미래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 정부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고, 특히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과학기술과 ICT의 역할에 대해서도 방향을 제시하였다. 건강, 문화·편리, 환경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분야에서 과학기술과 ICT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정부 차원의 전략과제도 도출하였다.
9791165191986

2030 대한민국 미래 교육 보고서 (2030 대한민국 미래 교육 보고서)

조현희, 조현영, 엄수정, 고유정, 유지승  | 박영스토리
12,300원  | 20210830  | 9791165191986
우리가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미래사회에서 나타날 현재의 문제이다. 현대 미래학의 뿌리 철학은 사학이다. 과거 한국 교육의 병폐는 여전히 현재 한국 교육의 고질병이고, 미래 한국교육의 한계가 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공동체가 활성화 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첨단화 되어도 구성원들의 지향점과 상호신뢰가 구축되지 않으면, 미래학교에서도 여전히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 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기능에 대한 갈등을 충분히 협의하고, 통섭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정책개발과 실행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는 본서가 전하는 미래교육 논의의 서사가 의미 있는 이유이다. 미래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참여자의 확대, 다양한 관점의 유입은 미래교육의 방향 및 실천 방안에 대한 더욱 완성도 높은 해법을 만들어내고 더 나은 교육시스템의 설계를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791186351451

잘피가 돌아왔다 (운동화 시장 허성무의 창원 미래 보고서)

허성무  | 피플파워
18,000원  | 20211217  | 9791186351451
민주당 최초의 창원시장 허성무의 지난 3년간 여정과 시정 철학, 미래 비전을 담은 책이다. 록밴드 노브레인의 노래 ‘Come on Come on 마산스트리트여’ 가사 중에는 ‘콜라빛 나는 바닷물’이라는 대목이 있다. 그만큼 오염이 심했던 마산만이었다. 저자는 그 노래 대목이 늘 부끄러웠다. 그런 마산 앞바다에 잘피가 돌아왔다. 바닷속에서 휘날리는 잘피 숲을 발견했을 때의 감격은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었다. 잘피가 돌아오고, 은어, 연어, 수달이 돌아오고, 젊은이가 와글와글 모여드는 그런 창원은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저자는 자연과 환경을 살리고 한계에 봉착한 제조업 부흥을 위해 탄소 중립, 수소 경제를 주창한다. 그냥 슬로건이 아니라 디테일한 전략과 방향까지 담고 있는 책이다.
9788982981753

가야만 하는 길 (미래 환경 문화 준비보고서)

임승근  | 연경문화사
13,500원  | 20160105  | 9788982981753
[가야만 하는 길]은 우리가 미래를 위해 준비해야 할 네 가지 주제인 “기후변화, 환경성 질병, 동남아시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해 필자가 그동안 여러 방면으로 수집하고 모아온 여러 자료들과 사진, 그리고 현지 탐사와 인터뷰 및 인터넷 자료를 재정리한 것이다.
9788946056565

전북 리포트(2013) (전북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보고서)

전북발전연구원  | 한울아카데미
34,200원  | 20140127  | 9788946056565
전북발전연구원에서 발간한 ≪이슈브리핑≫ 중에서 그 의미가 큰 연구를 고르고 다듬어 엮은 책. ≪이슈브리핑≫은 전북발전연구원의 (부)연구위원과 연구원들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분석해 정책을 제안하거나, 시대 흐름을 선도하는 사회적 이슈를 제기하는 짧은 정책리포트이다. 2010년에 처음 발간된 이후 어느덧 4년의 시간이 흘렀고, 발간 호수도 120호를 넘겼다. 이 책은 전북 지역의 생활 및 경제와 관련한 일반적인 사항은 물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인 협동조합과 사회적 경제, 한류, 무형문화유산, 로컬푸드, 귀농·귀촌, 복지재정 등과 관련한 전북의 현실과 정책 과제도 담았다. 이 책에 담긴 23가지 주제의 연구는 비단 전북뿐 아니라 대한민국 각 지역이 공통으로 지닌 고민을 고스란히 보여주며,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