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 과거, 현재, 미래 (과거, 현재, 미래)
김영배, 전성민, 백용욱, 이병헌, 배종태, 강신형, 배태준, 김선우, 이춘우 | 청람
27,000원 | 20250110 | 9791193715925
기획의도(집필목적)
한국의 스타트업(Startup)은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산업을 형성하고, 경제·사회 발전을 이끌고, 새로운 경제구조하에서 또 다른 기업 성장방식을 보여주면서 큰 역할을 해왔다. 그리고 앞으로도 글로벌 경제의 중요한 경제주체로서 미래 산업을 형성하고, 견인하고, 한국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스타트업의 발전이 단편적인 지원정책이나 벤처기업가의 혼신의 노력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주체들이 서로 협력하고 상호작용을 하면서 성장하는 이른바 ‘스타트업 생태계’(Startup Ecosystem)의 발전에 의해 좌우되었다. 하나의 주체만의 노력과 역량이 아니라, 생태계 내의 여러 주체들의 개별 역량과 이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메커니즘과 문화, 효과성이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간 한국의 스타트업 또는 벤처기업에 대한 많은 책과 보고서, 분석자료들이 개별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장, 벤처캐피털 등 생태계의 특정한 주체, 정부의 벤처정책 등 개별적이고 특정 영역에 관한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면, 이 책에서는 스타트업 생태계 전체의 관점에서, 생태계의 핵심 주체들이 어떻게 발전해 왔고, 현재의 상황은 어떠하고, 어떤 과제를 안고 있고, 미래 발전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 통시적으로, 구조적으로, 융합적으로 과거를 바라보고,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조망한다. 그래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관한 교과서 같은 책이기도 하고, 현재 상황을 심층 분석한 현황보고서 같은 책이기도 하다.
✅이 책 집필을 위해 지난 2년 동안 스타트업 관련 전문가 아홉 공저자가 정기적으로 세미나, 워크샵 등을 통해 여러 주제들을 논의하고 분석하고 집필해 왔다. 이 책은 스타트업 생태계와 연관을 맺고 있는 여러 주체들, 정책입안자, 이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고,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중요 이슈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대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