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시 마을"(으)로 62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2435090

시선 창간호 Vol 1(2024)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시마을동인협회  | 시산맥사
13,500원  | 20240915  | 9791162435090
9791197381058

계간 시마을문예 22 - 2021.가을

시마을문학회  | 품(도서출판)
9,000원  | 20211013  | 9791197381058
2021년 가을호에서는 ‘물에 스며들다’, ‘물을 추억하다’를 통해 독자에게 ‘나에게 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물에 스며들다’에서는 계곡물, 바닷물, 생명이 있는 물 등으로 이야기를 풀었다. ‘물을 추억하다’에서는 어린 시절 등목하며 시원한 여름을 보냈던 기억, 물을 곁에 두면서 생사를 넘나들었던 이야기, 그리고 여름하면 생각하는 사람들을 주제로 전개된다.
9791197381034

계간 시마을문예 21 - 2021.봄

시마을문학회  | 품(도서출판)
9,000원  | 20210504  | 9791197381034
계간『시마을문예 21』 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무 살리기’로 보고 “나무, 숲, 녹색발자국”을 주제로 삼았다. 기후변화와 나무의 상관관계, 나무의 중요성, 나무와 집 등 다양한 소재로 “나무, 숲, 녹색발자국”을 풀어나간다.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문학인들의 순수한 시선을 엿볼 수 있다.
9791195994199

계간 시마을문예 20 - 2020.겨울 (기억의 공간)

시마을문학회  | 품(도서출판)
9,000원  | 20201218  | 9791195994199
계간 『시마을문예』는 ‘문학+α’를 통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 문학과 음악, 문학과 사진, 문학과 공간, 문학과 건축, 문학과 그림 등을 다양한 장르와 문학의 결합을 통해 더욱 많은 사람이 쉽게 문학과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020년 겨울호(통권20호) 주제는 ‘기억의 공간’이다. 공간은 그곳에 사는 사람의 추억을 저장한다. 내가 있는 공간을 둘러보자. 공간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9791195994175

계간 시마을문예 19 - 2020.봄

시마을문학회  | 품(도서출판)
9,000원  | 20200424  | 9791195994175
1993년에 시작된 '시마을문학회'에서 계간 「시마을문예」를 펼쳤다.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이 모임은 '문학+α'를 통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 문학과 음악, 문학과 사진, 문학과 공간, 문학과 건축, 문학과 그림 등을 다양한 장르와 문학의 결합을 통해 더욱 많은 사람이 쉽게 문학과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9791195994144

계간 시마을문예(2019 가을 Vol 18)

시마을문학회  | 품
9,000원  | 20190925  | 9791195994144
두 가지 이상의 장르가 만들어 내는 시너지효과 1993년에 시작된 《시마을문학회》에서 계간『시마을문예』를 펼쳤다.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이 모임은 ‘문학+α’를 통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 문학과 음악, 문학과 사진, 문학과 공간, 문학과 건축, 문학과 그림 등을 다양한 장르와 문학의 결합을 통해 더욱 많은 사람이 쉽게 문학과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계간『시마을문예18』에서는 시와 음악이 함께 하는 ‘시노래’와 문학과 공간이 함께 하는 ‘공간 상상’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초대 시인으로 ‘포톡스-마음의 주름살을 펴는 책’의 저자, 한종인 작가의 디카시를 두어 시와 사진의 조화도 담았다. 매월 정기모임을 가지는 《시마을문학회》는 매월 ‘주제 시’를 선정하여 시를 쓰고, 이야기 나눈다. 계절을 나타내는 주제(봄, 3월),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주제(똑똑한 젊은이들),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주제(동행, 휴가 때 뭐해요, 짓다), 인간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는 주제(글을 쓰는 사람들)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시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글을 써 본 적 없는 사람도, 잠시 글쓰기는 멈춘 사람도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마음속에 있는 짧은 글을 엮어 시인이 될 수 있다. 『시마을문예』는 ‘누구나 마음속에 시 한 편 품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책 속에 담긴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 너의 이야기, 우리의 이야기이다.
9791193913062

그런 방 하나

시마을3050 동인  | 글나무
9,000원  | 20240710  | 9791193913062
시집 『그런 방 하나』는 〈간이역〉, 〈봄날의 상념〉, 〈빛의 굴절〉 등 주옥같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9791160660043

詩마을 사람들 (시마을문학회 제10집)

시마을문학회  | 등대지기
9,000원  | 20161215  | 9791160660043
시마을문학회 제10시집 『시마을 사람들』. 초대시를 비롯하여 시마을문학회 회원들의 시 작품을 수록한 책이다.
9788998096977

느티나무의 엽서를 받다 (시마을 동인 시집 그 두번째)

시마을 동인  | 문학의전당
0원  | 20141027  | 9788998096977
누적 방문자 수 4,900만여 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문학 전문 인터넷 사이트 '시마을'(http://feelpoem.com)의 동인 시집. '시마을' 동인으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쳐온 스물다섯 명 시인이 10여 년간 써온 시들을 모았다. 시인들은 저마다 독특한 개성을 선보이지만, 이번 동인 시집을 엮어낸 마음은 한결같다. "그리워하던 사람에게서 온 한 통의 엽서처럼, 누군가에게 위안이 되고 기쁨이 되기를" 바라는 시편들이 수록되어 있다.
9788997483600

詩마을 사람들 (시마을문학회 제9집)

시마을문학회  | 등대지기
9,000원  | 20141215  | 9788997483600
시마을문학회 아홉 번째 문집 『시마을 사람들』. 황금찬, 홍금자 시인의 초대 시를 비롯하여, 김승기, 최청란, 최영희, 이오례, 황창순, 임상섭, 최애자, 이송자, 정해원, 정태순, 조덕순 회원의 시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9788997483129

목 마르게 피어나는 꽃 (시마을문학회 8집)

시마을문학회  | 등대지기
0원  | 20121224  | 9788997483129
'시마을 문학회'회원들의 2012년 작품을 모은 시문집이다.
9788957942789

소리 없는 계절 (시마을3050 동인시집)

시마을3050  | 한강
9,000원  | 20140320  | 9788957942789
시마을3050 동인 시집 [소리 없는 계절]. 시마을 3050의 동인 10명이 함께 만든 시집이다. 서로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며 서툰 걸음으로 시의 길을 걷고 있는 동인들의 시를 만나볼 수 있다.
9788957941287

인왕이 물소를 잡다 (시마을3050 동인시집)

시마을 3050  | 한강
6,300원  | 20081225  | 9788957941287
[표지글] '시마을3050'은 시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남의 씨앗을 심고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시마을3050' 줄기에 힘차게 물을 올리고 있습니다. 서툰 걸음으로 제1집(2005.12), 제2집(2006.12)을 내딛었고, 서로 다른 빛깔로 창작에 열정을 쏟아내어 꽃피운 제3집을 여기 내놓습니다. - 중에서
9788991029231

달빛 샘가의 노래

현대시마을 동인  | 시지시
7,200원  | 20070322  | 9788991029231
현대시마을 2007년 동인시 모음집. 권혜진, 김재란, 김정수, 김종분, 김진원, 박선희, 송병완, 안미숙, 이유정, 이창수, 이희선, 장정수, 조용순, 최원정, 홍우희 등 동인 15인의 작품을 엄선해 담았다.
9788993779011

시마을로 가는 징검다리 (나를 바꾸는 시 읽기)

유종화  | 새로운눈
13,500원  | 20180303  | 9788993779011
권장도서 정리본을 내며 22년 만에 다시 정리한다. 이 책은 시와 노래를 합친 시노래(PoemSong)에 관한 글 묶음이기에 첫 번째 시노래 음반인《노래로 듣는 시》에 실린 노래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일반 가요 음반에 시를 가사로 써서 작곡한 노래가 한두 곡 끼어 있은 적이 있지만 음반 전체가 시노래로 채워진 적은 없었다. 그러기에 1994년에 출반된《노래로 듣는 시》는 우리나라 시노래 음반의 효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자꾸만 멀어져가는 시와 독자와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시도한 것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 이런 일을 시작했는데 시에 가락을 붙이면서 거기에 대한 해설도 함께 썼다. 그 해설들을 묶어서 낸 책이《시마을로 가는 징검다리》다 . 《노래로 듣는 시》와 관계가 있는 것들을 2부에 ‘나를 바꾸는 시 읽기’라는 소제목으로 따로 묶었고, 그 후에 쓴 곡이나 거기에 얽힌 이야기들은 3부에 두었다. 또 그 당시에 그런 작업을 하면서 썼던 다른 글들을 모아 맨 앞에 배치했다. 모두 다 시에 대한 접근을 위해 쓴 글들이다. 이렇게 나누어서 구성해놓고 보니 어수선했던 책이 제법 단정해졌다. 그래서 ‘정리본’이라는 이름을 붙여 본 것이다. 이제야《시마을로 가는 징검다리》가 본모습을 찾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여 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잊지 않고 꾸준히 찾아준 독자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2018년 1월 유 종 화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