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어휘사"(으)로 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8101258

국어 파생법의 역사 (어휘사)

구본관  | 태학사
22,500원  | 20230228  | 9791168101258
‘자료 중심성’과 ‘범시성’을 중심에 놓되, 단어 형성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누적시켜 종합적으로 바라본 국어 파생법의 역사 ‘이 땅에서 태어나서, 사용되고, 사라져 간 파생어’와 ‘그 파생어 사용자들’에 대한 기록 단어는 태어나고, 사용되고, 사라진다. 예전에 쓰던 말 중 ‘암사과, 수사과’라는 말이 있었다. ‘암사과’와 ‘수사과’는 상대되는 말인데, 햇볕을 많이 받아 밝은 빛을 띤 당도가 높은 사과가 ‘암사과’이고 그 반대가 ‘수사과’이다. 이 단어들은 접두사 ‘암-’, ‘수-’를 가진 파생어임이 분명하다. 현대 국어 표준어에서는 접두사 ‘암-’, ‘수-’의 의미가 이렇게까지 확대되어 쓰이지 않는다. 이 단어들은 이제는 소수의 사람에게조차 사용되지 않고 사라질 것이다. 이 책은 이처럼 ‘이 땅에서 태어나서, 사용되고, 사라져 간 파생어’와 ‘그 파생어 사용자들’에 대한 기록이다. ‘자료 중심성’과 ‘범시적 관점’ 이 책에서 파생법의 역사를 기술하는 가장 중요한 관점은 ‘자료 중심성’에 있다. 그리하여 저자는 고대 국어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는 문헌 자료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자료를 다루는 과정에서 문자의 환영(幻影)에 사로잡히지 않으려 했으며, 표기의 보수성에도 유념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두 번째로 중요하게 생각한 관점은 ‘범시적인 관점’이다. 파생법은 파생어를 대상으로 하며 파생어는 본질적으로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파생법 연구는 본질적으로 통시적인 것이다. 그렇지만 통시적인 결과로 존재하는 파생어가 다시 새로운 파생어를 형성하는 재료가 된다는 점에서 공시적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저자는 “파생법의 연구는 반드시 공시와 통시를 아우르는 범시적인 관점을 필요로 한다.”고 말한다. 다양한 관점을 누적시켜 종합적인 관점으로 파생법에 접근하다 파생법 연구는 언어학의 패러다임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전통 문법 시대에는 품사론의 하위 분야에 머물러 있다가 구조주의 문법 시대에 이르면서 어근, 접사와 같은 단위가 확립되고 파생 접사의 목록이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생성 형태론은 어휘부의 독립성을 인정하면서 파생어의 형성을 규칙과 제약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표현론적인 관점의 연구에서는 파생어를 포함한 단어 형성에서 주로 언어 사용자의 명명 욕구와 의미 문제에 주목하였다. 인지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유추적인 단어 형성법 연구에서는 파생어의 형성을 어휘부에서의 단어 배열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책에서의 파생법 연구는 특정 패러다임을 따르는 것이 아니고, 저자는 다양한 관점을 누적시켜 종합적인 관점에서 파생법을 바라보고 있다.
9791158488796

어휘사와 어원연구

송민  | 박이정
27,000원  | 20230508  | 9791158488796
이 책에는 국어의 어원 연구를 비롯한 어휘사 논고가 모아져 있다. 여기서 저자는 몇몇 단어와 형태소에 대한 어원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면밀하게 검토하는 한편 갑오경장(1894) 전후를 통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진 국어와 일본어의 접촉 그에 따른 일본어식 신생어의 간섭 양상 그 간섭에 대한 국어의 저항과 같은 측면을 세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또한 학술강연 초록과 언론지상에 발표되었던 어문생활 관련 단상들도 함께 실려 있다. 제1부 ‘어휘사 논고’에서 저자는 주로 갑오경장을 전후한 시기, 곧 개화기를 중심으로 한 어휘사의 추이에 관심을 기울였다. 제2부 ‘학술강연 초록’과 제3부 ‘어문생활에 대한 단상’은 학술적 논고라고 보기는 어려울지도 모르겠지만 저자의 연구성과 자체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학술 강연의 초록'은 독창적이라기보다 자신이 축적해온 연구성과나 자료를 간편하게 재활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문생활에 대한 단상'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우리의 어문생활 환경개선을 위한 전문가로서의 안목이 정리되어 있으며, 일반 언어생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지식인으로서의 고뇌가 반영되어 있다.
9788986142723

국어 어휘사의 원리

김대식  | 보고사
0원  | 19980807  | 9788986142723
9791162446331

국어 음운사와 어휘사 연구

백두현  | 역락
40,500원  | 20210111  | 9791162446331
이 책은 그동안 저자가 연구해 온 음운사와 어휘사에 관한 논문들과 연구 방향의 탐색에 대한 논문을 묶은 것이다. 1부에는 원순모음화에 관한 논문 세 편이 포함되어 있다. ‘ㆍㅡㅗㅜ’의 대립 관계와 원순모음화를 논한 글은 ㆍ의 비음운화 과정과 모음체계의 대립 관계 변화를 관련지은 것으로 구조주의 음운론에 입각한 연구이다. 이중모음 ‘??’에 대한 연구는 평안도판 『경민편』에 등장한 ‘?????’(여덟)에서 촉발되었다.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는 17세기 경상방언의 음운사를 논하면서 행한 것이었는데, 이 책에 실은 글은 1989년에 발표한 논문을 새로 고쳐 쓴 것이다. 「현풍곽씨언간」의 음운사적 연구는 필사본에 대한 논문이지만 음운사에 초점을 두었다. 2부에는 어휘사에 관한 논문 다섯 편을 넣었다.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한자 석(釋) 연구는 15세기 문헌을 공부하던 초기에 착안한 주제를 논문 형식에 담아 본 것이다. 『조선관역어』의 ‘則卜論?’(저??름다) 연구는 『십구사략언해』에 등장한 ‘저우룸’을 살피다가 얻은 논문으로 미해독어에 담긴 의문점을 풀어낸 글이다. 맛질방문 재론은 『음식디미방』에서 ‘맛질방문’이라고 부기(附記)된 ‘맛질’이 어디인지 그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쓴 글이다. 김치의 어원론에 대한 글은 세계김치연구소의 요청으로 집필한 글이다.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음식맛 표현을 연구한 논문은 농심그룹 율촌재단의 지원을 받은 것이다. 3부의 ‘국어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하여’는 국어학회의 특강 원고였으며 필자 나름대로 국어사 연구의 방향을 찾아본 것이었다.
검색어 "어휘사"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