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영화 철학"(으)로 12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1474726

들뢰즈의 영화철학 (시네마를 넘어서)

이지영  | 이학사
20,700원  | 20250228  | 9788961474726
영화를 통해 “다르게 사유하라!” 이 책은 영화를 통해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연 철학자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이해하고, 적용하고, 넘어서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중심으로 영화와 인접 영상 예술을 연구해온 철학자 이지영 교수는 이 책에서 들뢰즈를 사다리로 삼아 들뢰즈의 영화철학에 기어오르고, 올라타고, 사다리를 변형시키고자 한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사변적인 영화 존재론 내지 아트하우스 영화만을 위한 난해한 미학 이론이 아니라 지금보다 더 좋은 삶, 지금보다 생의 생성적, 창조적 역량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삶을 사유하기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 책은 영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통념을 전복하고 ‘다르게 사유’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끈다.
9788980384662

영화에 대하여 (에이리언과 영화철학)

스티븐 멀할  | 동문선
16,200원  | 20031220  | 9788980384662
9788946046092

이미지와 마음 (영화 철학 그리고 인지과학)

그레고리 커리  | 한울아카데미
21,600원  | 20120615  | 9788946046092
『이미지와 마음』은 저자 자신의 영화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 재현의 어떤 국면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의도한 책이다. 영화 해석의 의도주의 이론을 제시한 이 책은 영화 보기가 우리로 하여금 영화의 등장인물과 사건들을 본다고 상상하기를 요구한다는 생각에 반대하는 입장을 개진했다.
9791192092508

기술은 우리를 구원하지 않는다 (영화로 읽는 기술철학 강의)

박승일  | 사월의책
22,500원  | 20250610  | 9791192092508
SF 영화로 우리 시대의 기술을 다시 묻다 생각의 문을 여는 기술철학 입문서 기후위기와 전쟁, 생태계 파괴와 인공지능 무한경쟁. 우리는 이 위기의 한가운데에서 늘 ‘기술’과 마주한다. 그런데 정말로 기술은 위기에서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마치 불타는 집 앞에서 미래의 기술이 언젠가 그 불을 꺼주기를 열렬히 기다리고 있는 형국은 아닐까? 이 책은 이 물음에서 출발한다. 기술문화연구자 박승일은 기술을 한낱 중립적 도구나 수단으로 여기는 익숙한 관점에서 벗어나, 기술 자체를 깊이 사유하고 현재의 기술 환경에 질문을 던질 것을 제안한다. 기술이란, TV를 켜고 끄듯 마음먹은 대로 처분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존재와 세계를 바꾸는 강력한 힘이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삶 한복판에 들어선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기술을 성찰하는 ‘철학’이 필요하다. 이 책은 난해한 철학책에 갇히지 않고 SF 영화를 통해 오늘의 기술을 다시 묻는다. SF 영화는 기술을 낯설게 바라보게 하고 철학적 물음을 생활세계로 끌어내는 사유의 촉매제가 된다. 저자는 세탁기에서 인공지능까지, 〈트루먼 쇼〉에서 〈아바타 2〉까지 다양한 사례를 넘나들며 기술에 대한 무분별한 열광이나 막연한 공포가 아니라 비판적 개입과 공존의 가능성을 조명한다. ‘기술 최대주의’ ‘기술 최소주의’ ‘기술 개입주의’라는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을 기술철학과 미디어이론, 윤리학과 정치경제학으로 분석하며, 스마트폰, 플랫폼, 알고리즘 등 일상에 스며든 기술과의 관계를 촘촘히 들여다본다. 이를 통해 기술을 길들이고 방향을 설정하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한다. 기술이 우리를 구원하지 않는다면, 우리를 위기에서 구원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부단한 개입과 실천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9791170433835

영화관에 간 철학 (중년의 철학자가 영화를 읽으며 깨달은 삶의 이치)

김성환  | 믹스커피
9,180원  | 20230214  | 9791170433835
철학을 모르면 영화를 제대로 볼 수 없고 영화를 모르면 인생을 제대로 볼 수 없다 프랑스에서는 일찍이 1911년에 건축, 조각, 회화, 음악, 문학, 공연에 이어 영화를 제7의 예술로 정했다. 창조하고 표현하려는 인간의 주요한 활동 중 하나로 영화가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온 것이다. 지난 세기 영화는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발전했고 영화를 즐기는 한편 영화를 보는 방법론 또한 무수히 많아졌다. 과학, 경제, 역사, 미술, 심리학, 철학, 수학, 미학 등으로 접근해 왔다. 이 책은 철학이라는 창으로 영화를 들여다보며 궁극적으로 인생과 세상을 제대로 읽어내고자 하는 목적을 지녔다. 철학이 영화를 지나 인생과 세상에 다다르는 와중에 진정한 나를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해 마지않는다. 한편 가장 효과적인 철학 공부가 다름 아닌 영화 감상이기도 하다. 일련의 영화와 철학 개념 그리고 철학자가 하는 말을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지점에 도달해 있다. 영화와 철학이 따로 또 같이 미래, 사랑, 재미, 관계, 정의의 키워드에 맞닿아 있고 적절한 곳에서 맞닥뜨리며 상호를 보완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영화도 다시 접하고 철학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며, 세상을 읽어내 알맞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삶의 리더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9791163720409

철학영화제 (위로의 인문학)

조흥만  | 소리내
14,850원  | 20190831  | 9791163720409
▶ 교양철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24169188

영화와 철학에 대한 나의 생각 (당나귀 발타자르, 무쉐뜨, 오후의 올가미, 개인 에세이)

김명준  | 퍼플
6,600원  | 20250823  | 9788924169188
영화와 철학을 사랑하는 만 19세 나의 생각
9788968507076

스탠리 카벨의 오토마티즘 이론의 세 가지 주제 요소들 (영화, 존재론, 철학 지성)

신양섭  |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1,850원  | 20230302  | 9788968507076
영화 역사상 난해한 컬트 이론서로 유명한 스탠리 카벨의 The World Viewed(『눈에 비치는 세계』)는 반세기가 흘러 오 늘날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와 더불어 영화 존재론의 쌍벽을 이루는 거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늘날의 뉴미디어를 예감한 듯한 카벨의 영화 세계는 그러나 '영화'와 '존재론'의 두 키워드만으로 그 현대성이 다 설명될 수 없다. 카벨 스스로 충분히 의식하 지 못했던 '철학 지성'의 층위를 본 연구서는 그의 핵심 영화 개념인 오토마티즘(자동기록법)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한다. 영화/ 존재론/철학 지성이 변증법적으로 주고받는 여섯 가지의 독법을 통해 카벨의 영화 이론을 구체화시켜 이해하는 최초의 시도가 될 것이다.
9788930602129

영화속의 철학

박병철  | 서광사
9,200원  | 20010810  | 9788930602129
철학의 주요 주제들을 14편의 영화와 연관지어 설명한 책. 영화 를 통해 법과 정의를, 를 통해 과학기술의 미래를, 를 통해 자유의 한계를, 을 통해 사형제도의 윤리성과 그 성격을 묻는 식이다. 지은이는 비교적 친근한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철학의 어려움에 지레 겁먹은 이들이 좀 더 철학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각 주제의 끝부분에는 더 읽어 볼만한 책과 감상할 영화들을 소개했다. 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 추천도서로 선발되기도 했다.
9791197205118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심광현, 유진화  | 희망읽기
18,000원  | 20210930  | 9791197205118
문명사적 이행의 이정표, 한국 ‘천만 관객 영화’에서 찾다 역사상 유례없는 문명사적 이행기. 다중위기가 소용돌이치는 오늘날의 위기를 넘어설 해법이 있을까?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는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에서 그 해법을 모색한다. 정신분석과 뇌인지과학 사이에서 대중의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해 온 제3의 항로가 영화라고 밝히면서 저자는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 사실로부터 문명사적 이행의 이정표를 찾아간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할리우드를 압도하며 지속된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 이 특이한 현상에서 대중의 소원-성취 꿈이 담긴 새로운 철학을 벼려내고, 아래로부터의 역사 쓰기로 바람직한 미래를 시뮬레이션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또 한 편의 새로운 ‘천만 영화’처럼 재미와 의미를 불러일으킨다. 자본주의 사회의 원자화된 개인주의적 인간상과는 상반된 다중지능의 사회적 개인. 이들이 연대해 만드는 개인, 사회, 자연의 선순환. 이 꿈을 가로막는 현실의 장벽과 대중의 무의식적 소원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창조적으로 변형해 현실의 변화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화들을 저자는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라 부른다. 그동안 암묵적으로 진행된 이 영화적 실천의 철학적 함의를 사회 구조 변화와 대중정치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명시적으로 해명하고, 영화를 매개로 사회적 대안을 설계하는 마음의 지도와 가치 평가의 틀을 제시하는 데 이 책의 새로움이 있다. 〈신경정신분석학 + 역사지리·인지생태학〉에 기초한 독창적인 영화철학이 바로 그것이다.
9788972733775

철학 극장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

강선형  | 서강대학교출판부
30,400원  | 20211024  | 9788972733775
철학자들은 때로는 한계로 작동하고 때로는 고유한 역량이 되는 영화의 근본적인 속성 들에 주목하면서 영화를 마주하고 사유해왔다. 우리는 이를 통해 뒤늦게 태어난 예술 로서의 영화는 이미 다른 예술들은 극복했다고 여겨지기도 하는 대중성이나 어떤 산업 으로서의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스스로 그 자신의 경계를 넘 어서면서 새로운 사유로 나아가고 있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여전히 여러 철학자들이 지적한 위험성들과 가능성들 사이에서 그 자신을 예술로서 증명하고 있는 영화를 보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벤야민으로부터 시작된 영화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유는 여전히 유효하고 풍부한 사유의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_ 「철학자들의 영화와의 마주침」 중에서
9788952735850

영화로 철학하기

메리 리치  | 시공사
11,700원  | 20040120  | 9788952735850
이 책은 메리 리치 교수가 몇 년간 진행해온 '영화로 철학하기' 라는 강좌의 강의록과, 학생들이 펼친 토론 내용을 엮어 만든 철학 입문서로, 영화적 이미지에 철학적 문제를 연결시켜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영화 속의 구체적 상황에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서 지혜로운 해답을 찾는 것이 바로 '철학하기'라고 주장하는 저자는 열두 편의 영화 속의 줄거리와 에피소드를 인용하여 철학을 쉽게 설명해 나간다. 따라서 철학하기를 직접 해 보려면 철학적 상...
9788974115340

영화로 읽는 서양철학사 (개정판)

이창후  | 새문사
17,100원  | 20201207  | 9788974115340
누구에게나 익숙한 영화를 통해 깊고 광대한 서양철학사와 유명철학자들을 흥미롭게 알아가도록 썼다. 특히 개정판에서는 ‘방탄소년단(BTS) 이야기’를 곁들여 철학하는 방법을 더욱 쉽고 친숙하게 설명하고, ‘그림으로 정리하는 철학’을 통해 서양철학사의 전체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9788930602228

생각의 창 키노아이: 영화속의 철학 II (영화 속의 철학 2)

박병철  | 서광사
13,500원  | 20090620  | 9788930602228
『영화 속의 철학』제2권《생각의 창, 키노아이》. 눈으로 보고 즐기는 영화를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철학의 관점으로 풀어 낸 박병철 교수의 저서. 2001년 문화관광부 추천 도서로 선정된 바 있는 《영화 속의 철학》의 두 번째 이야기로, 전작만큼 풍성한 읽을거리를 다루며 다양한 생각의 소재들을 제공한다. 고전 중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쇼몬〉에서부터 헐리우드의 SF영화 〈아이, 로봇〉, 한국의 최신작 〈아내가 결혼했다〉 까지, 저자는 시대와 장르의 구분없이 열 네편의 주요 영화를 소개하면서 ‘이들 영화 속에서 철학적 사고가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를 설명하고 있다.
9788930100816

들뢰즈 : 철학과 영화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여행)

쉬잔 엠 드 라코트  | 열화당
9,900원  | 20190210  | 9788930100816
질 들뢰즈의 역저 『시네마 1: 운동-이미지』와 『시네마 2: 시간-이미지』가 근거하고 있는 사상적 구조물이 어떠한 것인지 간략하고 쉽게 해설하여 그 얼개를 보여주는 들뢰즈 영화이론 입문서. 이 책은 들뢰즈의 『시네마』 두 권의 관계와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이론적인 기초, 그리고 『시네마』에 제시된 중요한 개념들을 간략하지만 정확히 짚어 주고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