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ISBN : 9788961474726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들뢰즈는 영화철학으로 무엇을 하고자 했는가
1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이해
1장 들뢰즈 영화철학의 철학적 위상
2장 운동-이미지의 다층적 의미
3장 플랑: 운동-이미지와 운동의 통일성
4장 『시네마』 1권과 2권의 구조 분석: 니체의 재발견
2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적용
5장 이미지의 평면성: <올드보이>의 이미지와 공간의 형식에 대한 분석
6장 영화 윤리학: 봉준호의 경우
7장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현대 정치영화적 함의
8장 애도의 형식으로서의 영화: 박찬경의 <만신>
3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확장
9장 역사-이미지: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서 푸티지의 역할
10장 확장된 몽타주: 아피찻퐁의 비디오 설치 작업
11장 네트워크-이미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너머
12장 관객-이미지
들뢰즈 저작 약어표
참고 문헌
수록 원고 출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철학과 영화의 유일한 목적은 다르게 생각하라는 것”이고, “다르게 생각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게 보는 것의 문제”이다. 이때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본다는 것은 기존의 영토화된 사유와 시각으로부터 탈영토화하여 새로운 사유를 창조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사유의 창조란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하는 좋은 힘이다.
물질적 우주와 영화적 사유의 장을 운동-이미지의 내재성의 평면이라고 부르는 것은 들뢰즈가 영화를 단순히 예술로만 바라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화적 사유가 예술적 사유인 동시에 새로운 철학적 사유임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들뢰즈의 영화철학에서는 예술과 철학이 공명한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기존의 방법으로도 사유될 수 없기에 비사유는 결국 사유의 새로운 창조를 강제한다. 이런 의미에서 “사유와 삶의 동일성”을 주장하는 들뢰즈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세계에 대한 믿음을 다시 주는 현대 영화는 인간과 세계 자체에 대한 새로운 사유 방식이 된다. 이런 맥락에서 들뢰즈가 영화 그 자체의 본질을 사유로 제시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