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장애교육"(으)로 30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99704482

학습장애 교육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Jack M. Fletcher, G. Reid Lyon, Lynn S. Fuchs, Marcia A. Barnes  | 학지사
17,100원  | 20140915  | 9788999704482
『학습장애 교육』은 학습장애의 특성과 원인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학습에 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과학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특수교육, 학교심리학, 신경심리학, 읽기 관련 분야의 실무자, 연구자, 대학원생뿐 아니라 여러 학습장애 전문가들에게 전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9788999730542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 현장 중심의 시각장애 교육)

이태훈  | 학지사
23,400원  | 20240220  | 9788999730542
이 책은 단지 외국 자료를 번역하기보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최근까지 교육부 및 국립특수교육원에서 개발·보급한 시각장애 학생 진단·평가 도구, 교과용 도서, 대체 자료 및 교구 등을 예비 특수교육교사들이 교육 현장에 나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번 2차 개정판은 각 장의 내용을 학부 수준에 맞게 적정화하고 최신 이론과 실제를 보완하였습니다. 특히 2022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특수교육법을 반영하였고, 국내외에서 증가하고 있는 대뇌 시각장애 영역을 상세화하였으며, 시각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수법과 교수 전략도 추가하여 집필하였습니다. 그리고 ‘15장 통합교육’을 다른 장으로 옮겨 집필하였습니다. ‘유튜브’에서 ‘이태훈 시각장애’로 검색하시면 강의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영상 자료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9788999721915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교육 (교수-학습이론과 모형의 조건)

이대식  | 학지사
22,500원  | 20200920  | 9788999721915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교육』은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이해〉, 〈학습 문제 해결의 실제적, 이론적 기반 이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교수-학습이론과 모형의 조건 적용〉 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교육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88986904888

읽기장애 교육프로그램 (의미 읽기장애 치료교육을 위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

이상원  | 마음치료교육
15,840원  | 20170717  | 9788986904888
읽기장애란 글을 읽지 못하는 장애라고 말하기보다는 읽은 내용의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정보처리의 지각장애(중추신경의 기능장애)를 말합니다. 그런데 실제의 읽기장애는 이러한 정보처리의 지각장애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읽은 내용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언어장애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부분적인 이야기의 흐름(1차 정보)을 읽고서도 그에 대한 의미(2차 정보)는 해독하지 못하거나 또는 글쓴이가 설명하는 일부 내용(1차 정보)만 이해하고 정작 말하고자 하는 개념(2차 정보)은 해독하지 못하거나 글쓴이가 주장하는 부분적인 사실(1차 정보)만 읽고 핵심논거와 논리(2차 정보)는 해독하지 못하고 읽은 내용마저 표현하지 못하는 언어장애까지 동반하는 읽기장애가 그것입니다. 바로 이 책이 그런 읽기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입니다.
9788999724756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 (현장 실무 중심의 시각장애 교육)

이태훈  | 학지사
0원  | 20210830  | 9788999724756
이 책은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58919001

자폐 스펙트럼 장애교육 현장 지침서 (현장 지침서)

Martin Hanbury  | 학지사
12,600원  | 20080920  | 9788958919001
현장에서 많은 고심을 하고 있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전략을 제공해 주는 귀중한 문헌들 중의 하나다. 자폐증의 역사에 대한 명확한 기술과 함께 다양한 이론과 접근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자폐아동의 교육에 대한 검증된 전략의 수립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자폐증은 ‘아동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9788967000745

시각장애 학생 교육 개론 (시각장애 교육 현장 실무 중심의 이론과 실제)

이태훈  | 점자
21,780원  | 20180801  | 9788967000745
이 책은 시각장애 학생을 잘 지도할 수 있는 현장 실무형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시각장애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 집필하였다. 외국 자료들은 단지 번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실천적, 경험적 학습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각 장의 말미에는 최근 국내에서 개발되어 특수교육 현장에 보급된 시각장애 학생용 진단·평가 도구와 국내·외 참고 사이트를 활용을 제시하고 특수한 교재·교구들로 예비 특수교육교사들이 시각장애 교육 현장에 나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였다.
9788930315135

인간학적 사유를 여는 중도 중복장애 교육학

이숙정  | 집문당
252,000원  | 20110720  | 9788930315135
인간학적 사유를 여는 중도ㆍ중복장애 교육학을 다룬 책. 중도ㆍ중복장애 학생 교육과 관련한 현장의 첨예한 상황 및 대안적 교육 접근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그동안 행동공학적 관점에서 교육 및 학습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특수교육 내에서도 이중적 교육차별을 받고 있는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도 학습이 가능하고 교육받을 권리가 있음을 인식론적, 윤리적으로 성찰하고, 나아가 이를 교수방법론적으로 증명하고자 시도했다.
9788999732195

청각장애학생 교육

최성규, 김혜진, 박찬희, 이아름, 정미라  | 학지사
19,800원  | 20250115  | 9788999732195
이 책은 청각장애 영유아의 출생, 성장, 언어와 사고발달, 언어발달, 학교 교육 그리고 청력검사, 보청기 및 인공와우, 나아가 청각중복장애와 전환교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이 모든 특수교사가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성을 갖추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청각장애학생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지혜의 등대를 발견하는 희열을 맛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9788975819643

이웃교육과 장애 (이웃으로 발굴되기, 이웃 발굴하기)

정은  | 영남대학교출판부
15,200원  | 20241023  | 9788975819643
융복합적 사고가 돋보이는 교육전문교양서 이 책에는 교육학, 인문철학, 심리학, 특수교육학, 장애학, 신경심리학, 뇌과학, 진화심리학, 생태학 등 다양한 학문이 선사하는 풍부한 관점이 담겨 있다. 저자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이웃’은 자신의 유·불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삶의 대상이 아니며, 이 생명세계는 다양한 공생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온건한 문체와 명확한 표현으로 풀어낸다. 저자는 특히 니취(niche) 개념에 대한 섬세한 통찰로 생명의 존엄을 설명하고, 나아가 인공지능과 같은 비생명 존재들과 인간과의 공생에 대해서도 성찰한다. 본문 안에 소개된 다양한 주제들은 경계 없이 아우러져 우리가 자유로운 교류 속에서 공생의 감각을 발견하고 또 발휘하여 한 사람이 모든 사람 안으로, 모든 존재들의 세상 안으로 이끌어지는 새로운 교육을 제안한다. 걸어서 잠깐이면 되는 이웃에게 가는 길, 이 여정에서 걷는 교육을 구상한 저자의 철학에서 시작된 이웃교육. 저자는 교단 안팎에서 받은 수많은 도움을 이 책으로 보답하고 있다.
9788942619252

청각장애학생 교육

권순우, 권순복, 김영익, 유정은, 팽재숙  | 창지사
23,400원  | 20250225  | 9788942619252
대학의 학사 일정을 고려하여 총 12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청각장애 학생교육의 개관으로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원인 그리고 청각장애교육의 역사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제2장과 제3장은 청각장애의 어려움을 지니는 청각기관의 구조와 생리에 대한 이해의 내용과 청각장애의 유무, 청력손실의 정도, 청각장애 유형을 알 수 있는 진단검사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4장은 최근 학문적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추청각 처리장애와 제5장은 의료기술과 공학기술의 융합으로 한층 더 청각장애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보장구인 보청기와 인공와우에 대하여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제6장에서 제9장까지는 청각장애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방법으로 구어지도, 수어지도, 읽기 및 쓰기 지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10 장과 제11장은 청각장애학생의 교과교육과 교육과정 그리고 통합교육과 청각·중복장애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2장은 전환교육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각 장마다 해당하는 임용기출 문제를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록편 또한 청각장애 영역과 관련된 17년 간의 임용출제 문항의 내용을 본 교재를 중심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핵심 내용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9788999734946

장애 학생을 위한 디지털교육 (수업에 바로 적용하는, 2022 교육과정 반영)

송승민, 이동환, 이미영, 정승미, 권정인  | 학지사
24,300원  | 20250910  | 9788999734946
이 책은 특수교사가 교과별 수업과 학교생활 전반에서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실천적 안내서이다. 전체 3부 16장으로 구성하여, 1부에서는 디지털교육의 방향, 정책, 개념, 동향, 윤리 등 이론적 기반을 다루며, 2부에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실과, 진로와 직업, 체육, 음악, 미술 등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디지털교육을 적용한 교과 수업 사례와 교수·학습계획안을 제시하였다. 3부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뿐만 아니라 학생 지원, 학부모 상담 등 학교 현장 전반에 걸쳐 디지털교육이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실천 사례를 통해 소개하였다. 각 장은 교과의 기초 개념부터 수업 설계와 활용 예시까지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에 수록된 교수·학습계획안과 수업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가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9788942619054

의사소통장애학생 교육

권순우, 권순복, 김영익, 김태숙, 박희준  | 창지사
24,300원  | 20241002  | 9788942619054
교사는 장애학생들이 학교 등원에서부터 하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업장면과 환경에서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에 대하여 각 학생들이 지니는 독특한 의사소통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아주 작은 의사소통 신호에도 즉각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함양 노력과 많은 장애학생들의 경험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교사를 난처하게 하거나 딜레마에 빠지게 하는 의사소통장애학생을 만나기도 한다. 따라서 교사는 의사소통장애학생에 대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현재 언어발달 및 의사소통의 수준을 확인하고, 장애유형별 학생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음성언어, 문자언어, 시각적 의사소통 등)으로 지도해야 한다. 또한 의사소통장애 학생을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에서의 실제적인 실제생활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9788999726361

지적장애 학생 교육

송준만  | 학지사
22,500원  | 20220325  | 9788999726361
지적장애 학생 교육(3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적 혹은 국가 수준에서 새로 개정되거나 변화된 부분을 찾아 소개하였다. 지적장애 정의체계, 교육과정, 법·제도·정책 등을 다룬 제1, 6, 7, 11, 15장에서는 관련 내용을 최신 내용으로 교체하거나 추가했다. 둘째, 15개 장에 걸쳐 최신 이론과 연구를 기반으로 내용을 좀 더 충실하게 다루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 원인 및 예방을 다룬 제3장과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다룬 제4장에서는 전체적으로 주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비하고 최신 연구를 추가하였다. 한편, 지적장애 학생을 어떻게 하면 가장 잘 가르칠 수 있을 것인지, 즉 최선의 교수 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해 ‘증거기반 실제(EBP)’를 기반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데 역점을 두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학령기 교육적 접근에서의 교수방법과 전략을 다룬 제8장에서는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관점에서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이론적 근거, 교육 실제, 연구 증거 및 적용 시 유의사항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셋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내용 구조에 변화를 주고 관련 사례를 제시하고, 현장성을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9791167258304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중재 (학교와 가정에서 활용하는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변관석  | 공동체
19,800원  | 20250430  | 9791167258304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은 ‘발달장애를 가진 학생들이란?’이라는 제목으로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등을 포함하는 발달장애의 정의, 진단, 원인, 특성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비교적 간략하게 서술하였습니다. 제2장은 ‘어떻게 교육할 수 있을까요?’라는 제목으로 발달장애 학생을 교육하는 방법에 관해서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성과가 입증되어 온 증거기반실제를 중심으로 안내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때 지면 관계상 생략된 부분은 저자의 블로그 ‘석이 선생님의 특수교육 이야기’를 중심으로 관련 자료나 서적을 함께 제시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제3장은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라는 제목으로 발달장애 학생이 배워야 할 교육 내용(교육과정)을 놀이 활동, 학업능력, 의사소통 및 사회적 능력, 자기결정 능력, 일상생활 기술, 진로 및 직업교육, 신체활동 등으로 나누어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교과 내용들과 기타 학습 영역이 교육 내용으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4장은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라는 제목으로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공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행동주의의 이론적인 내용은 최소화하고 실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해 보았습니다. 특히 2024학년도 초에 교육부에서 제시한 〈장애학생 행동중재 가이드라인〉에 따라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 지원 계획과 개별 학생을 위한 행동중재 지 원 계획, 그리고 위기관리 계획의 수립 및 실행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요구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장의 가치와 필요성은 더욱 커지리라 생각합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