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치집단과 한국독립운동의 관계
석원화 | 디자인21
27,000원 | 20250528 | 9788961311793
본 역서는 『韓國獨立運動與中國關係』 [석원화(石源華), 民族出版社, 2009]의 제1편과 제6편을 저자와의 협의 하에 새롭게 편집 보충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한국 독립운동, 러시아 혁명, 중국 혁명은 20세기 극동의 3대혁명운동으로 불린다. 1910년 일본이 한국을 병탄한 후, 수십만 한국의 열사들이 중국으로 망명했고, 그들은 중국 관내와 동북 지역에서 활발하게 독립운동을 일으켰다. 중국 여야는 한국인들의 항일 투쟁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을 하고 그 지원에는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정부와 민간에서 지원하는 것, 여당과 야당이 지원하는 것, 공개적인 것과 비공개적인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중 양국의 국민들이 친밀하게 협력하고 같이 맞서 싸우며, 일본 제국주의의 동아시아 침략을 반대하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함께 써내려갔다. 이것은 근대 중국사와 한국사, 그리고 한·중 관계사에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으며, 이로써 중국도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과 주요 활동 기지가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국가보훈처, 한민족운동사연구회, 한국독립운동기념관, 한국국회도서관 등의 지원과 도움을 받았다. 동시에 나는 중국 조선사 연구회 부회장, 중국 사회과학원 조선반도 연구센터의 겸임 연구원, 북평대학 한반도 연구센터의 겸임 연구원, 교육부 사회과학 기지인 연변대학 한국 연구센터 학술위원 등, 한국 독립운동역사 연구에 대한 국내외 학술 교류 활동에 참여하고 추진해 왔다.
20년간, 개인의 연구 흥미 또는 기타 원인과 수요들로,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 논문 몇 편을 작성했다. 이 책은 바로 그 논문들의 정수를 모아놓은 결과물이다. 이 책이 보여주는 역사적 진실과 두 민족 간의 진정한 우정이 한ㆍ중 양국의 젊은이들에게 교육과 선도적 역할을 함으로써 한·중 민간 관계의 개선과 친밀함을 도모하고, 또한 학자들이 이 책의 결함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