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초안정 구조와 중국 정치문화의 변천)

진관타오, 류칭펑 (지은이), 송종서 (옮긴이)
글항아리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700원 -10% 0원
2,150원
36,550원 >
38,700원 -10% 2,300원
0원
4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초안정 구조와 중국 정치문화의 변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9092951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24-09-27

책 소개

중국 사상 전공자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았던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이 드디어 한국어판으로 나왔다. 이로써 역시 2024년 번역된 왕후이의 『근대 중국사상의 흥기』(전4권, 돌베개)와 함께 중국 근현대 사상의 기원과 형성을 다룬 두 문제작이 모두 한국사회에 소개되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이끄는 말: 문화 융합의 양식
1.1 역사에 의해 망각된 과제
1.2 사상 변천의 장기적 양식은 있는가?
1.3 일체화 구조 속의 이데올로기
1.4 도덕가치 일원론과 천인합일의 구조
1.5 ‘당위’의 확장 중국 문화의 연속성이라는 수수께끼
1.6 외부의 충격이 중국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도덕의 바람직성 파괴
1.7 가치의 역전은 외래문화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창조적으로 재건했다
1.8 상식이성, 문화 융합, 그리고 이 책의 내용과 구조

2장 제1차 융합
2.1 ‘당위’ 세계가 직면한 세 가지 큰 충격 고문경, 자연재해, 소수민족의 침입
2.2 가치 역전 및 ‘천도 무위天道無爲’
2.3 도덕의 형이상학화, 그리고 제멋대로 하는 기풍放誕風氣
2.4 수신修身과 불교
2.5 중국 문화의 불교에 대한 선택적 흡수와 창조적 재구성
2.6 위진 현학의 세 단계
2.7 현상식 도덕의 기원과 초월의식의 형성
2.8 상식이성常識理性은 어떻게 성숙되었는가?
2.9 중국 문화의 상이한 세 층위

3장 이성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재설계
3.1 수·당 시기의 문화
3.2 유학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상식이성의 지지와 모순
3.3 관념 정합과 이성화
3.4 유학은 불교의 사변과 수신 방법을 어떻게 이용했나?
3.5 이성화의 첫째 경로 정주이학
3.6 이성화의 두 번째 경로 육왕심학陸王心學
3.7 송명이학 제3계열과 단절형
3.8 중국 문화의 이성 구조

4장 외래 충격과 중국 근대 전통
4.1 서양의 두 차례 확장
4.2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
4.3 경세치용과 청초 사상의 계보
4.4 왕선산 철학의 구조
4.5 황종희의 기론과 『명이대방록』
4.6 대진은 어떻게 기론으로 ‘이리살인’을 비판했나?
4.7 중국 현대사상과 ‘유학이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의 관계

5장 청대 사상 변천의 내재적 동력
5.1 고증과 박학의 성행
5.2 중국 ‘과학주의’의 원천
5.3 청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5.4 왜 중국 근대 전통은 서양 현대화의 도전에 대처할 수 없었나?
5.5 유가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전환이 마주친 문제

6장 경세치용의 흥기와 실패
6.1 경세치용의 세 단계
6.2 태평천국 농민 전쟁과 이학 경세파
6.3 양무운동의 한계
6.4 서양의 영향이 가진 주변부적 성질
6.5 판결적 검증의 추세로 나아가다
6.6 전환기의 시작

7장 혁명 유토피아의 기원
7.1 중국 현대사상의 발단
7.2 첫 번째 가치 역전 혁명 인생관과 혁명 도의
7.3 두 번째 가치 역전 중국식 진보관
7.4 유기론, 상력설尙力說, 변증법적 유물론
7.5 세 번째 가치 역전 대동 이상과 공산주의
7.6 무정부주의의 유형
7.7 혁명 유토피아, 포퓰리즘, 의사불학
7.8 두 차례 가치 역전의 구조적 비교

8장 제2차 융합의 논리
8.1 서양 근현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8.2 왜 과학일원론이 이원론을 대체했는가?
8.3 도덕과 다른 종류의 정당성 권리의 기원
8.4 경험주의, 이성주의, 사회주의
8.5 국가의 독립과 개인의 자주
8.6 권리의 도덕화 과정
8.7 중국 문화는 어떻게 서양 근현대 사상을 선택했나?
8.8 제2차 융합의 세 단계

역자 후기
부록: 오늘날 사회사상 위기의 근원을 논함
찾아보기

저자소개

진관타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관타오는 1980년대 중국의 ‘신계몽운동’을 이끈 ‘4인의 계몽 지도교사四大啟蒙導師’ 중 한 사람으로 팡리즈方勵之, 리쩌허우李澤厚, 원위안카이溫元凱와 함께 ‘신시기’ 대륙의 사상 해방 운동을 주도했으며 1989년의 민주화 운동을 공개 지지했다. 운동이 톈안먼의 비극적 종결로 치닫자 중공 당국의 정치적 박해를 피해 부인 류칭펑과 함께 홍콩중문대학으로 건너가 특유의 연구 방법론(시스템 진화론)을 견지하며 ‘사상사의 거시적 연구(관념사 연구)’를 계속했다. 『흥성과 위기: 중국 봉건사회의 초안정 구조를 논함』(1984), 『개방 중의 변천: 중국 봉건사회의 초안정 구조를 재론함』(1993),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초안정 구조와 중국 정치문화의 변천』(2000)을 저자는 “1980년대 시스템이론 3부작”이라 불렀다. 이후 타이완 및 중국의 여러 대학과 대중 강좌를 통해 왕성한 강의와 저술을 계속하고 있다.
펼치기
송종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현대 신유학의 형이상학과 문화 의식: 新陸王學 계열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콩중문대학 ‘International Asian Studies Program’을 이수하고 연강재단 중국학연구원 자격으로 중국 우한대학에서 연구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민족의학연구원에서 전통 의학 관련 통·번역에 종사했으며 경희대, 숭실대, 경희사이버대 대학원에서 강의했다. 저서로 『현대 신유학의 역정』(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 유학과 열린 사유』 등이 있고, 역서로 『펑유란 자서전』 『인간농장』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