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철학교육론"(으)로 1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0661010

철학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현대철학교육론

T.W.바이넘 외  | 서광사
0원  | 19910501  | 9788930661010
9791192542171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

오정훈  | 경진출판
22,500원  | 20221225  | 9791192542171
해체철학과 실존철학, 그리고 기호학과 관련된 철학적 인식 바탕 시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는 원리 탐색 이 책은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을 목적으로, 특히 해체철학, 실존철학, 기호학 등 철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시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는 원리를 탐색해 나가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시 감상의 초점을 단순한 주제의 발견이나 작가의 전기적 사실에 대한 검증 등으로 제한하지 않고, 학생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감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 작품에 전제된 작가의 가치관을 철학적 인식과 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해석적 근거에 대한 탐색의 자생력을 키워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부인 해체철학과 시학이 융합교육을 다룬 부분에서는 비현전성을 고려한 황지우 시 읽기 방법, 기호 소비의 관점에 입각한 시 감상 방법, 욕망의 지양과 지향으로서의 최승자 시 읽기 방법, 규율 권력 관계 비판을 위한 시 감상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2부의 실존철학과 시학의 융합교육 부분에서는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이형기의 허무 지향 시 교육 방법, 인성 함양을 위한 시 감상 교육 방법, 미학적 인식을 적용한 황동규 시 감상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3부 언어철학과 시학의 융합교육에서는 언어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이성복 시 읽기 방법, 매체교육 방법, 맥락 중심의 시 교육 방법을 다루고 있다. 황지우 시가 절대적이고 고정적인 의미가 일방적으로 전달된다는 현전성을 거부함으로써 비현전적으로 형상화됨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작 태도는 데리다가 강조한 차연, 대리보충, 파르마콘 등의 개념들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보였고, 이를 통해 황지우 시의 미학이 유보적이고 대체적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황지우 시를 감상하는 국면에서도 새로운 문맥의 구성에 따라 끊임없이 다양한 의미를 대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감상의 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보았다. ‘소비’를 매개로 유하의 시와 보드리야르의 철학적 인식의 교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하 시에서 거론되는 소비와 관련된 현대사회의 다양한 물질 편향적 행태가 단순히 서구의 신자본주의적 헤게모니에 따른 배금주의나 향락주의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무의식을 조망하고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고자 한 시적 지향성이 최승자 시학의 주류라고 보는 기존의 논의에서 벗어나, 최승자의 작품에 전제된 욕망의 다층적 이미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최승자의 욕망에 대한 이원화된 입장이 라깡의 제반 이론과 접점을 형성하고 있음을 살피고 라깡의 철학적 인식을 최승자 작품의 이해를 위해 적극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푸코의 권력에 대한 인식이 선험적 규범성과 전향적 자기 인식에 있음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관점을 시 감상의 차원으로 활용해 보고자 했다. 신경림과 김남주의 시편들을 통해 감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과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권력이 에피스테메라는 사회 규제적 인식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에피스테메가 철저히 기득권 세력에 의해 조장되는 것이며 사회적 권력에 대한 민중들의 인식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것도, 권력의 특징이 선험적 규범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김수영과 하이데거의 실존적 인식의 접점을 취하고자 하였다. 현존재를 망각하고 존재자로서의 삶을 강요하는 현실 세계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정서를 ‘기분’으로 규정하고, 자기 실존을 찾기 위한 현존재의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순수한 소리를 ‘양심’으로 규정한 하이데거의 언명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분’과 ‘양심’이라는 실존적 개념이 김수영의 작품에서 어떤 양상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그것의 실존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감상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형기의 시론이 우로보로스의 시학에 집중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그의 역설적 인식과 맥이 닿아 있는 니체의 니힐리즘, 즉 능동적 허무주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감상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형기가 그의 작가적 인생을 통해 기존 순환 질서를 거부하고 비유사성과 비동등성의 미학을 구현하고자 하였듯이, 니체 역시 이데아 중심의 서구 형이상학을 부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그의 철학적 사유에 방점을 두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위해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시 감상 교육을 통해 인성 교육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교훈적 덕목의 일방적 제시가 인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해 학생들의 자기 삶에서 유용하고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덕목을 선정하고 그것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자인해 나가는 것이 실질적인 인성 함양의 기반임을 서술하였다. 칸트의 미학적 인식은 욕망이나 일체의 유목적적 의도가 개입될 수 없는 순수 인식임을 강조하였으며, 아울러 대상의 아름다움을 통해 심적 쾌감의 향유만을 목적으로 함을 역설한 바 있다. 즉 미학적 ‘무관심성’과 ‘주관적 합목적성’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시 감상 방법에 적용해 보았다. ‘대상의 배열’을 통한 구성적 역량을 강조한 Wittgenstein의 보완된 그림 이론을 이성복 시에 적용한다면, 이성복 작가의 개성적 안목과 문체적 창의성에 좀 더 주목할 수 있다. 그림의 편집과 배열의 차별성을 강조한 Wittgenstein의 견해를 토대로 이성복 시를 감상하게 되면, 그가 시도한 자연과 인간의 이질적 접목, 역설적 미학의 구체화를 통한 시상 전개 방식에 주목하게 됨을 서술했다. 매체교육을 통한 다중 문식성 교육의 바람직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매체교육의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이 단계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오규원 시와 같이 난해한 작품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도 주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 ‘텍스트적 맥락’과 ‘작가적 맥락’의 형성이 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서술하였다.
9791187254621

죽음교육 교과서 1: 죽음교육론, 문화ㆍ사회론, 상실론 (죽음교육론, 문화ㆍ사회론, 상실론)

죽음교육연구소  | 서로북스
63,000원  | 20250331  | 9791187254621
인간의 길, 사람다움의 길’을 실천하는 텍스트 〈죽음교육 교과서〉 지금까지 ‘가르침’은 지혜로운 사람이, 깨우치지 못한 사람을 가르치고 배우도록 안내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주체가 사라진 Chat-GPT 시대는 ‘가르침’을 “스스로 놓인 개인의 고유한 길과 방법을 자각하고 알아차려 부단히 연마하고 실천함”의 의미로 되새길 것을 요청한다. 죽음교육(For Death Education)의 방점은 죽음이 아닌, ‘교육(Education)’에 있다. 따라서 ‘죽음’은 신체 생물학적인 것만이 아니라, 자기중심적인 생각과 집착을 ‘비우고’ ‘덜어내고’ ‘가난히 하는’ 죽음의 부정성으로 ‘자기를 이루어 타자를 완성해 나가는(成己-成物)’ 인문정신(人文精神)을 은유한 것이기도 하다. 죽음학에서는 ‘죽음교육’의 명제를, “살면서 겪게 되는 상실과 죽음의 고통을 ‘직면-대면-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배우고 익혀, 세대를 넘어 지속적으로 진화 성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교육은 강물처럼 흐른다. 멈추지 않고, 유연하게, 하지만 결국은 방향을 가지고 나아간다. 그 과정에 주체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주체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자각과 알아차림을 통해 상실과 죽음의 고통을 마주함으로써, 자신의 길을 걷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그런 의미에서 주체는 부단한 행위적 결단을 통해 형성되는 과정적 존재다. 따라서 『죽음교육 교과서』는 정태적인 지시물이나 이론서가 아니라, “지금 여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이, 상실과 죽음의 부정성(고통)과 마주하여, 어떻게 자신의 존재적 본성으로 돌아갈지를 회의와 성찰의 사유로 실천해 나가는 역동적인 사건의 장소”이다.
9788935673643

논리학 교육론

칸트  | 한길사
29,700원  | 20211112  | 9788935673643
한국칸트학회 기획 칸트전집 13권인 『논리학·교육론』은 비판철학의 초석을 다지고 궁극의 인간성에 다가가는, 칸트철학의 처음과 끝을 다룬 저작이다. 국내 최초 번역 『논리학』을 포함한 한국칸트학회 기획 칸트전집 13권인 『논리학·교육론』은 칸트의 주요 강의에 대한 기록이다. 칸트의 직접 저술이 아닌 이 두 강의록의 학문적 중요성은 그것이 칸트의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단초를 놓는 데에 있다. 비판철학의 초석을 다지고 궁극의 인간성에 다가가는, 칸트철학의 처음과 끝을 다룬 저작이다.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르치는 정교수였던 칸트는 수많은 저서를 출판했지만, 논리학만을 위한 독립적인 저술은 남기지 않았다. 이런 면에서 예셰가 편찬한 『논리학』은 칸트의 논리학을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교육론』은 1774년부터 1786년 사이에 네 번에 걸쳐 이루어진 칸트의 교육학 강의 노트를 모은 책이다. 칸트는 자신의 궁극적인 철학 과제로 ‘철학적 인간학’을 설정했다. 칸트의 『교육론』은 궁극적인 인간성 실현에 대한 논의로, 칸트의 ‘철인’을 간접적으로나마 엿볼 수 있는 저작이다.
9788985155434

프리드리히 실러의 미적 교육론

프리드리히 폰 실러  | 대화문화아카데미
19,800원  | 20150720  | 9788985155434
왜 지금 프리드리히 실러인가! 프리드리히 실러는 그의 저서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에 아름다움과 예술을 통한 이상사회 건설의 이념을 담았다. 인간의 내면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어떠한 정치적 혁명도, 제도 개선도 아무 소용이 없다고 믿었던 것이다. 바로 이것이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이 책이 필요한 까닭이리라. 역자들은 교육이 그 본질인 인성 교육을 외면하고 거의 전적으로 사회적 신분 상승의 기회나 전문적 인력 양성만을 목표로 하는 한, 우리 사회에서 교육 문제는 해결될 가능성이 없어 보였기 때문에 교육철학을 논의하고자 한다. 독일의 교육 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실러의 교육철학을 소개한다.
9788949910727

율곡 이이의 교육론 (조선의 지도자교육과 국민교육론 이해)

신창호  | 경인문화사
19,800원  | 20150331  | 9788949910727
『율곡 이이의 교육론』은 율곡의 사상과 신념, 교육에 거는 기대 등을 통해, 인간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타진한 율곡의 교육론을 성찰한 책이다.《자경문》 《화책》 《성학집요》 《격몽요결》 《학교모범》 《은병정사학규》 《서원향약》 《해주향약》 등 개인의 다짐에서 국민교육 지도자교육 사회교육에 이르기까지 율곡이 교육을 말하고 실천한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검토하였다.
9788959711048

동양 도덕 교육론

강봉수  | 제주대학교출판부
18,000원  | 20141128  | 9788959711048
이 책은 그동안 저자가 연구해온 동양전통의 윤리학에 바탕을 둔 도덕교육론의 패러다임을 종합하여 정리한 것이다. 공자, 노자, 맹자, 순자, 주자, 퇴계, 율곡, 왕양명 등의 윤리학과 도덕교육론을 탐색하고 있다.
9788974180690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도덕교육론의 새로운 동향과 근거)

웨인 윌리스, 다니엘 패스코 쥬니어  | 인간사랑
17,100원  | 20130131  | 9788974180690
이 책은 또한 도덕교육에 관련지어 심리학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의 심도 있는 분석과정을 통해 우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이해력과 결정능력 증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관련 자료에 대한 상징적인 틀보다는 세계 최고의 학자들의 보다 넓은 심리학적·철학적 관점들의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의 이런 노력이 성공을 거둔다면 교사와 연구자, 교육지도자나 정책 결정자들에게 도덕교육의 심층에 관련된 더 명료한 감각과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더 나은 맥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9788997776788

존 듀이 교육론 (존 듀이가 쓴 교육에 관한 기록들)

마틴 드워킨  | 씨아이알
16,200원  | 20130619  | 9788997776788
마틴 드워킨이 엮은 책으로, 존 듀이가 쓴 교육에 관한 기록들을 담았다. 마틴 드워킨이 이 책을 엮은 1959년은 아마도 듀이와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이 가장 극심한 시기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상황에서 드워킨은 당시 미국인들이 듀이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그를 무조건 비난하거나, 아니면 무조건 숭배하고 찬양하는 극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가 듀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듀이에 대해 깊이 숙고할 것을 요구했다. 드워킨은 진보주의 교육에서 듀이가 차지하는 위치, 듀이가 실제로 미국 교육에 끼친 영향 등을 상세하게 검토하고 고찰함으로써, 듀이에 대한 오해를 넘어 진정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9788986327731

무용교육론

김화숙, 류분순, 신은경, 신정희, 임혜자  | 한학문화
0원  | 20130228  | 9788986327731
『무용교육론』은 무용교육의 이론적 안내서이다. 무용의 교육적 기대와 역할, 무용교육의 변화와 비전, 전문인 양성을 위한 무용 등을 소개하고 있다. 무용교육의 영역은 어떠하며 교육 무용은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무용을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고 기록하는 등의 무용교육의 방법을 다뤘다.
9788930655026

러셀의 교육론

버트런드 러셀  | 서광사
18,900원  | 20110910  | 9788930655026
『러셀의 교육론』은 교육철학 연구에 필수 참고서로, 먼저 교육의 목적에 대해 고찰하고, 지식교육, 즉 읽기, 쓰기와 같은 초보적 지식으로부터 대학교육에까지 이르는 지식 교육에 대해 그 목적과 교과내용, 그리고 그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9788974182878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

박병기  | 인간사랑
13,500원  | 20090831  | 9788974182878
이 책은 불교 도덕교육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도덕교육학계의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9788990357663

유학자 추사 실학 교육을 탐구하다 (조선 후기 유학 교육론의 한 양상)

신창호  | 서현사
10,000원  | 20061220  | 9788990357663
추사 김정희의 실학교육을 연구한 책. 저자가 추사의 교육론과 관련하여 발표한 논문을 기초로 새롭게 쓴 것으로, 조선 후기 유학 교육론의 한 양상을 살펴보고 있다. 추사는 조선 후기 유학의 새로운 경향 속에서 실제적 학문의 축을 형성한 지적 거장이다. 저자는 추사가 교육의 이념과 내용, 방법에서 유학의 본령을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가 유학의 실제성을 근본적으로 성찰하려던 유학자임을 강조한다.
9788953450929

한국 전통 도덕교육론

강봉수  | 한국학술정보
20,700원  | 20060530  | 9788953450929
이 책은 우리의 위대한 전통인 유교사상, 특히 조선시대의 유학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탐색하여 그것이 한국적 전통의 인격교육 혹은 덕교육론임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조선시대에 있어서 주자학을 수용하여 조선조의 덕교육론이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정형화된 시기로 판단되는 中宗代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중종대 도학적 교육운동의 두 계열을 대표했던 인물로 판단되는 조광조와 김안국의 사상과 실천을 집중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조광조와 김안국을 비롯한 중종대 사림들의 文集, 그들의 발언과 주장이 담긴 朝鮮王?..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