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형이상학/존재론
· ISBN : 9788935673643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목차
<칸트전집>을 발간하면서
<칸트전집> 일러두기
논리학
머리말
서론
I. 논리학이란
II. 논리학의 주요 분류—강의—이 학문의 유용성—논리학사 개요
III. 철학이라는 개념—학술 개념에 따라 그리고 세상 사람들의 개념에 따라 고찰한 철학—철학함의 본질적 필요와 목적—철학의 가장 보편적인 그리고 최상의 과제
IV. 철학사에 관한 짧은 개요
V. 인식 일반—직관적 인식과 개념적 인식: 직관과 개념 그리고 특히 그것들의 차이—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과 감성학적 완전성
VI. 인식의 특수한 논리학적 완전성
A) 양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양—외연적 양과 내포적 양—인식의 광범위함과 철저함 또는 중요성과 생산성—우리 인식 지평의 규정
VII.
B) 관계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진리—재료적 진리와 형식적 혹은 논리학적 진리—논리학적 진리의 기준들—거짓과 오류—오류의 원천으로서 가상—오류를 피하기 위한 수단
VIII.
C) 질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분명함—징표 일반의 개념—징표의 상이한 종류—한 사물의 논리학적 본질의 규정—논리학적 본질과 사실적 본질의 차이—명료함, 더 높은 정도의 분명함—감성학적 명료함과 논리학적 명료함—분석적 명료함과 종합적 명료함의 차이
IX.
D) 양상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확실함—참이라고 생각함의 개념 일반—참이라고 생각함의 양상: 의견을 갖다, 믿다, 알다—확실한 납득과 남의 말에 따름—판단을 자제함과 유예함—잠정적인 판단—편견과 편견의 원천 및 주요 종류
X.
개연성—개연성 정의—개연성과 그럴듯함의 차이—수학적 개연성과 철학적 개연성—의심—주관적 의심과 객관적 의심—회의적, 독단적, 비판적 사고방식 혹은 철학함의 방법—가설
부록
: 이론적 인식과 실사용적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I. 일반 요소론
제1절 개념
제2절 판단
제3절 추론
I. 지성 추론
II. 이성 추론
III. 판단력의 추론
II. 일반 방법론
I. 개념의 정의, 설명, 기술에 의한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촉진
II. 개념의 논리학적 분류로 인식의 완전성 촉진
교육론
편집자의 머리말
서론
본론
자연적 교육에 대하여
실천적 교육에 대하여
해제
<논리학>・이엽 김창원
<교육론>・박찬구
옮긴이주
찾아보기
책속에서
논리학은 질료가 아니라 단지 형식에 관한 이성의 학문이다. 그러니까 특수한 대상이 아니라 모든 대상 일반에 대한 사고의 필수적 법칙에 관한 아프리오리한 학문이다.—따라서 논리학은 (주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하는가 하는 감각경험적 원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하는 아프리오리한 원리에 따르는) 지성과 이성의 올바른 사용 일반에 관한 학문이다.
인간은 오직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 인간은 오로지 교육의 산물이다. 인간이 그 역시 교육을 받은 인간을 통해서만 교육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교육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특히 유념해야 할 교육기술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이는 인류의 현재 상태가 아니라 미래에 가능한 좀더 나은 상태에 걸맞게, 즉 인간성의 이념에 걸맞게, 그리고 그의 완전한 본모습에 걸맞게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