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리학 교육론

논리학 교육론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이엽, 김창원, 박찬구 (옮긴이)
한길사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350원 -5% 0원
990원
30,3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리학 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리학 교육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형이상학/존재론
· ISBN : 9788935673643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한국칸트학회 기획 칸트전집 13권인 <논리학·교육론>은 비판철학의 초석을 다지고 궁극의 인간성에 다가가는, 칸트철학의 처음과 끝을 다룬 저작이다. 칸트의 직접 저술이 아닌 두 강의록의 학문적 중요성은 그것이 칸트의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단초를 놓는 데에 있다.

목차

<칸트전집>을 발간하면서
<칸트전집> 일러두기

논리학
머리말
서론
I. 논리학이란
II. 논리학의 주요 분류—강의—이 학문의 유용성—논리학사 개요
III. 철학이라는 개념—학술 개념에 따라 그리고 세상 사람들의 개념에 따라 고찰한 철학—철학함의 본질적 필요와 목적—철학의 가장 보편적인 그리고 최상의 과제
IV. 철학사에 관한 짧은 개요
V. 인식 일반—직관적 인식과 개념적 인식: 직관과 개념 그리고 특히 그것들의 차이—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과 감성학적 완전성
VI. 인식의 특수한 논리학적 완전성
A) 양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양—외연적 양과 내포적 양—인식의 광범위함과 철저함 또는 중요성과 생산성—우리 인식 지평의 규정
VII.
B) 관계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진리—재료적 진리와 형식적 혹은 논리학적 진리—논리학적 진리의 기준들—거짓과 오류—오류의 원천으로서 가상—오류를 피하기 위한 수단
VIII.
C) 질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분명함—징표 일반의 개념—징표의 상이한 종류—한 사물의 논리학적 본질의 규정—논리학적 본질과 사실적 본질의 차이—명료함, 더 높은 정도의 분명함—감성학적 명료함과 논리학적 명료함—분석적 명료함과 종합적 명료함의 차이
IX.
D) 양상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확실함—참이라고 생각함의 개념 일반—참이라고 생각함의 양상: 의견을 갖다, 믿다, 알다—확실한 납득과 남의 말에 따름—판단을 자제함과 유예함—잠정적인 판단—편견과 편견의 원천 및 주요 종류
X.
개연성—개연성 정의—개연성과 그럴듯함의 차이—수학적 개연성과 철학적 개연성—의심—주관적 의심과 객관적 의심—회의적, 독단적, 비판적 사고방식 혹은 철학함의 방법—가설
부록
: 이론적 인식과 실사용적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I. 일반 요소론
제1절 개념
제2절 판단
제3절 추론
I. 지성 추론
II. 이성 추론
III. 판단력의 추론
II. 일반 방법론
I. 개념의 정의, 설명, 기술에 의한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촉진
II. 개념의 논리학적 분류로 인식의 완전성 촉진

교육론
편집자의 머리말
서론
본론
자연적 교육에 대하여
실천적 교육에 대하여

해제
<논리학>・이엽 김창원
<교육론>・박찬구

옮긴이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 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펼치기
박찬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고, 인천 박문여자고등학교와 현대고등학교에서 윤리를 가르쳤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독일 튀빙겐(Tubingen)대학교에서 철학박사(Dr. Phil.)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명예교수이다. 학회 활동으로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장(2006.6.-2008.6.), 한국윤리학회 회장(2014.1.-2015.12.), 한국철학적인간학회 회장(2015.1.-2018.12.)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사상과 인물로 본 철학적 인간학』(세창출판사, 2020), 『청소년을 위한 생활과 윤리』(세창미디어, 2017, 공저),『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개정판)』(서광사, 2014),『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정초》 읽기』(세창미디어, 2014), 『우리들의 응용 윤리학』(울력, 2012), 번역서로는 칸트의 『교육론』(칸트전집 13, 한길사, 2021), 비첨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공역), 루이스 포이만의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울력, 2010, 공역), C. D. 브로드의 『윤리학의 다섯 가지 유형』(철학과현실사, 2000) 등이 있으며, 중학교 『도덕』(천재교육) 1·2·3권 및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씨마스)의 대표 집필자이기도 하다.
펼치기
이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트리어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 현재 청주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창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을 접한 이래로 줄곧 칸트철학만 공부했다. 아무리 읽어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어 어떻게든 이해하려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 18세기 형이상학을 알아야 <순수이성비판>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해 노어베르트 힌스케 교수를 찾아 독일로 갔다. 볼프, 바움가르텐, 크루지우스, 칸트의 세계 개념에 관한 박사 논문을 썼다. 칸트철학 연구를 이어가기 위해 대학 주변 맴돌기를 그만두고 칸트철학연구소를 차려 운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논리학은 질료가 아니라 단지 형식에 관한 이성의 학문이다. 그러니까 특수한 대상이 아니라 모든 대상 일반에 대한 사고의 필수적 법칙에 관한 아프리오리한 학문이다.—따라서 논리학은 (주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하는가 하는 감각경험적 원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하는 아프리오리한 원리에 따르는) 지성과 이성의 올바른 사용 일반에 관한 학문이다.


인간은 오직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 인간은 오로지 교육의 산물이다. 인간이 그 역시 교육을 받은 인간을 통해서만 교육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교육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특히 유념해야 할 교육기술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이는 인류의 현재 상태가 아니라 미래에 가능한 좀더 나은 상태에 걸맞게, 즉 인간성의 이념에 걸맞게, 그리고 그의 완전한 본모습에 걸맞게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