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87254621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발간 인사말_5
전세일_상실과 죽음을 마주한 인간의 지혜 : 죽음교육 교과서 7
신경원_죽음을 가르친다는 것 : 인간 이해의 심연을 향하여 11
김기곤_죽음학에 토대를 둔 죽음교육 교과서 17
변경희_상실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애도해야 하나 19
서 문_23
(임병식)
한국에서 실천하는 죽음교육 25
죽음교육의 필요성: 생애주기별 특성을 중심으로 27
죽음교육 현황과 인식 29
한국에서의 죽음교육 현황 33
죽음교육 교과서 집필의 구심성과 방향_39
해제_49
제1부 죽음교육론_79
(신경원)
기본 1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관계_83
교육은 치료이다 85
죽음학과 죽음교육 87
죽음학의 체계와 죽음교육의 구성 91
생애 발달 단계 92
죽음교육상담 전문가의 기본 지침 95
죽음교육상담 전문가의 다른 이들에 대한 책임 96
죽음교육 담당교사로서의 전문역량 강화에 대한 의무 97
기본 2 죽음교육을 위한 죽음교육전문가의 역할_99
왜 죽음교육인가? 101
죽음교육은 우리 사회에 무엇을 제공하는가? 102
죽음교육은 한 개인의 가치관과 주체성을 정립시킬 수 있는가? 103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06
왜 교사가 죽음교육상담 전문가가 되어야 하나? 107
기본 3 죽음교육에 대한 역사와 현재적 관점_109
죽음교육의 역사와 현재 111
죽음교육의 정의와 명료화 114
교육학과 죽음교육 118
보편적 지식체계로서의 죽음교육 126
심화 1 죽음교육 지식체계_127
죽음교육 지식체계 129
연구 범주에 대한 기술적 관점(觀點) 134
고통의 지형도 135
심화 2 죽음교육 방법론과 교안 작성_151
죽음교육 방법론 153
살펴보기 153
죽음교육 교안 작성 시 유의할 점 154
교안 작성의 관점 165
심화 3 죽음교육의 윤리_167
들어가는 말 177
생명윤리의 관점 182
윤리적 행위의 인정과 승인 185
‘상황 윤리’ 실천 187
‘상황 윤리’의 중심어: ‘고통’ 193
죽음학에서 바라본 생명윤리 196
죽음학의 윤리성 199
실천 1 죽음교육 지침_203
‘죽음학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교육’의 의미 205
죽음교육 내용 211
죽음교육과 윤리 216
실천 2 죽음교육상담 분석_219
관찰 221
의미화 여정 225
고통의 발생 228
분석 요소 229
실존정신언어분석 21 tips 235
실존은 본질보다 앞선다 323
실천 3 동양의 죽음교육_329
공자의 실존(命) 331
맹자의 실존: 하늘이 정해준 명(天命)의 자각 336
실존의 근거와 토대로서 성명(性命) 342
실존 치료: 올바른 성명관의 확립과 실천 351
제2부∣문화사회론_363
(김경숙)
기본 1 죽음이 금지된 사회의 죽음_367
전통사회의 죽음 369
죽음에 대한 다섯 가지 유형 370
길들여진 죽음의 특징 378
죽음이 금지된 사회에서 품위 있는 죽음으로의 실천 379
기본 2 상실과 죽음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관점의 차이와 다름_385
문화・사회학적 관점 387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관점의 차이와 다름 389
죽음과 상실 이후 문화・사회별 차이와 다름 393
문화사회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397
심화 1 차이와 다름의 고유성_403
들어가는 말 402
차이와 다름 407
자기동일성: ‘범주 계열화’ 착오의 오류 410
분석의 기술 : 내담자 입장의 평가 414
심화 2 동양사상에서 바라본 죽음 해석_421
죽음학의 요청 423
장자의 환각, 자아(自我)와 비아(非我) 426
나라는 자아의 동일성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428
인지과학과 유식학 : 자아는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의식으로 구성된 것 429
유식과 하이데거의 자아 431
자아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432
자아의 특성 : 언어 집착/우리는 자아를 어떻게 치유할 수 있나! 436
정신분석과 선 치료 447
상처에서 평화로: 일상으로의 회귀 449
죽음학과 선불교의 공통 핵심어: 없이함(죽음)과 무(공, 허) 452
실천 1 죽음 대처 방식에 대한 동서 철학 분기(分岐)_465
한계상황 467
서양철학에서의 죽음관 이해 469
동양철학에서의 죽음관 이해 480
삶의 완성 497
실천 2 문화사회화에서 본 『예기』의 비탄 해결 방식_499
들어가는 말 501
감정과 울음 : 체화된 인지로서의 치유의 과정 402
비탄의 표출과 조절 506
비탄감정의 해소와 절차 514
비탄에서 인격적 함양으로의 재적응 519
나가는 말 528
제3부 ∣상실론_533
(성정은)
기본 1 상실, 삶의 연속과정_537
들어가는 말 539
상실의 양태와 종류 541
상실 그 이후 547
기본 2 증상의 지향성과 무늬_557
자아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559
언어-표상적 자아 560
사물 표상과 단어(언어) 표상 562
인지도식의 변화 568
생각함과 사유의 패턴 576
심화 1 상실 이후 정서_581
상실에서 발견되는 영성 583
무의식(전반성적 의식)에서 의식(반성적 의식)으로 584
상흔과 증상의 치료 587
고통에서 영성(실존적 현존)으로: 상흔이 성흔으로 593
심화 2 상실의 치유 기제 : 상상(想像)과 은유적 투사와 변환_599
상상과 은유 601
내입과 투사 605
언어 표상 608
마음의 판형 612
분석 요소 615
심화 3 증상의 방문과 치유 기제_617
들어가는 말 619
기억흔적과 증상의 방문 620
심리적 가공 625
히스테리 구조 628
치유 기제 630
실천 1 상실과 슬픔 치유_633
오늘이 마지막이라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635
상실과 비탄에 대한 대처 : 도움 되지 않는 말들 638
도움을 주려는 건설적 제안 641
애도 과정에서 사별한 사람에 대한 도움 643
비탄 상담(Grief Counseling) 647
실천 2 반려동물 상실과 치유_655
반려동물 상실 657
반려동물의 상실 원인과 그에 따른 비탄의 형태 657
반려동물 상실의 특징 658
반려동물을 상실한 반려인의 생애 발달 단계별 비탄 반응 660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이들의 애도와 회복 과정 661
반려동물의 호스피스와 의례 663
죽음교육전문가로서의 덕목: 역지사지 666
실천 3 문학작품 속의 상실 치유_669
시 속에 나타난 죽음의 숭고: 죽음, 본디 자리로의 회귀 671
시 속에 나타난 상실, 비탄, 애도: 현존의 사랑에서 부재 속의 사랑으로 676
죽음교육 도구로서의 ‘시 감상 활용법’ 소개 683
참고문헌_687
색인_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