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으)로 3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0593951

타이포잔치(2021): 문자와 생명 (문자와 생명)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안그라픽스
0원  | 20211015  | 9788970593951
제7회 타이포잔치 2021 : 문자와 생명 세계 유일의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타이포잔치〉가 2021년 ‘문자와 생명’이라는 주제로 관객을 맞이합니다. 9월 14일(화)부터 10월 17일(일)까지 34일간, 문화역서울 284(서울역)에 펼쳐질 문자의 잔치! 함께 어울리며 문자의 잠재력과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자리에 관객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타이포잔치〉는 2001년 세계의 아티스트들과 함께 타이포그래피의 가치와 실험 가능성을 탐색하고, 다양한 관객들과 색다른 방법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자 하는 취지로 시작되었습니다. 2013년, ‘OO과 타이포그래피’를 테마로 삼기 시작하며 〈타이포잔치〉는 타이포그래피와 새로운 영역의 만남을 통해 문자의 가능성이 무한대로 확장되기를 기대해 왔습니다. 2013년 ‘슈퍼텍스트-문학과 타이포그래피’를 테마로 문학과 문자가 형성해 온 관성적 관계를 뒤흔들고, 2015년 ‘C( )T( )-도시와 문자’를 주제로 현대 도시의 문화와 생활을 도심 속 곳곳에 숨겨진 문자를 통해 살펴보고, 2017년, ‘몸’ 그리고 2021년 ‘문자와 생명’을 만났습니다. 〈타이포잔치 2021 : 문자와 생명〉 전시에서는 〈거북이와 두루미〉가 전시 제목으로 떠오르며 동양적 세계관을 녹여냈습니다. 도록에서는 문자와 생명을 주제로 문자 뒤에 숨겨진 인간의 욕망을 담았습니다. 2021년 타이포잔치의 주제는 ‘문자와 생명’입니다. 생명은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순환의 고리 안에 있습니다. 우리는 이 순환을 만물의 이치이자 인간의 근원적 욕망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인간은 아주 오래전부터 문자를 통해 그 도구적 활용을 넘어 바람, 신념, 상상 등 무형의 개념을 형상화해 표현하고 향유했습니다. 이는 오늘날에도 다르지 않습니다. 메신저 대화창에서 태블릿 스크린에서, 이메일 작성창에서 누구나 바라는 바를 더 정확하고, 더 강하고, 더 아름답게 드러내기 위해 노력합니다. ‘문자를 다루는 기술’을 의미한 타이포그래피는 점차 시대의 취향을 드러내는 기호,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그림 등의 다양한 재료를 아우르며 진화해갑니다.
9788970598376

타이포잔치 (2015) (서울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안그라픽스
49,500원  | 20151208  | 9788970598376
『타이포잔치』는 타이포잔치 2015 'C( )T( )'에 참여한 90여 작가와 작품을 상세히 소개하고 논한다. 타이포잔치 2015 'C( )T( )'는 도시 속에 존재하는 진본성있는 장면들을 회복해야 할 그 도시만의 고유한 문자 문화적 현상으로 간주하고, 도시환경 속에서 문자 문화에 관심을 가져온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의 시선으로 상상하는 바를 여러 사람들과 공유한다.
9788997252145

한눈에 보는 전통천연염색

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원  | 20121224  | 9788997252145
『한눈에 보는 전통천연염색』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우리공예ㆍ디자인리소스북 시리즈로, 우리 전통공예기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체계화하여 전달하고, 관련 분야의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전통천연염색의 가치를 되짚어 본다.
9788997252053

공예백서 선행연구(2011)

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 문화체육관광부
0원  | 20120217  | 9788997252053
는 공예계의 현황을 조사ㆍ연구하고 그 결과물을 2년에 한 번씩 백서 형태로 출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2011년도의 첫 는 차후 본격적인 백서 발간을 위한 선행연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의 기본 틀을 구축하여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백서 사업의 바탕을 마련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의 성격상, 이번 연구 결과물에는 앞으로의 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 공예의 역사적 고찰이나 개념과 정의, 범주 구분에 관한 내용을 집어넣어, 공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왔다. 또한 앞으로의 백서에 기본 바탕이 될 구체적인 연구 틀 및 연구 방법, 조사 대상, 조사 방식 등을 설계하였다.
9788997252046

디자인백서(2010 2011)

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 문화체육관광부
0원  | 20120217  | 9788997252046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분야별 디자인 관련 활동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요약, 기록한 『2010-2011 디자인백서』. 디자인 전문가들과 전문 연구원들이 각 세부분야를 담당하여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며 자료 수집과 정리, 기록 작업을 했다. 2010년 1월에서 2011년 12월까지의 현황을 다루고 있다.
9788997252169

Traditional Natural Dyeing (<한눈에 보는 전통천연염색> 영문)

한국공예 디자인 문화진흥원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원  | 20121224  | 9788997252169
▶ 이 책은 영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raditional Natural Dyeing』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우리공예ㆍ디자인리소스북 시리즈로, 우리 전통공예기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체계화하여 전달하고, 관련 분야의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전통천연염색의 가치를 되짚어 본다.
9788970599335

2017 타이포잔치 : 몸 (몸(Mohm))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안그라픽스
54,000원  | 20171225  | 9788970599335
2013년 ‘슈퍼텍스트-문학과 타이포그래피’를 테마로 문학과 문자가 형성해 온 관성적 관계를 뒤흔들고, 2015년 ‘C( )T( )-도시와 문자’를 주제로 현대 도시의 문화와 생활을 도심 속 곳곳에 숨겨진 문자를 통해 살펴본 '타이포잔치'가 2017년, 몸을 만났다. 단순한 소통의 도구를 넘어, 의미의 생성과 소멸에 직접 관여하는 하나의 ‘몸’으로서 ‘문자’를 사유해낸 다채로운 작업물들이 펼쳐져 있다.
9791189321819

한눈에 보는 칠보 (우리공예 디자인리소스북)

노용숙, 성다솜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4,400원  | 20220228  | 9791189321819
우리 공예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담은 책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 금박, 화혜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7권 발간했다. 이어서 이번에는 18번째인 〈한눈에 보는 칠보〉 를 발간했다.
9791189321857

한눈에 보는 채화

정병모, 최성우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원  | 20220228  | 9791189321857
우리 전통공예 기술의 모든 정보와 지식을 담은 디자인ㆍ리소스북 시리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 금박, 화혜, 칠보, 단청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9권 발간했다. 이어서 올해에는 20번째인 〈한눈에 보는 채화〉 를 발간했다.
9791189321666

한눈에 보는 단청

곽동해, 임영주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원  | 20210228  | 9791189321666
우리 전통공예 기술의 모든 정보와 지식을 담은 디자인ㆍ리소스북 시리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 금박, 화혜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7권 발간했다. 이어서 올해에는 〈한눈에 보는 칠보〉와 〈한눈에 보는 단청〉 두 권의 책을 발간했다.
9791189321253

Geumbak : Korean Traditional Gold Leaf Imprinting (한눈에 보는 금박 (영문판))

심연옥, 이선용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4,400원  | 20191211  | 9791189321253
The book that embodies Korea’s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andbackground TheKorean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President Bonghyun Choi), publishes the “Korean Craft &Design Resource Book” series in aims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Korean craft and its background.
9791189321239

한눈에 보는 금박

심연옥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35,000원  | 20191211  | 9791189321239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담은 책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최봉현)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ㆍ디자인리소스북’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5권 발간하였다. 이어서 올 해에는 〈한눈에 보는 금박〉과 〈한눈에 보는 화혜〉 두 권의 책을 발간하였다.
9791189321246

한눈에 보는 화혜

장경희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4,400원  | 20191211  | 9791189321246
우리 전통공예 기술의 모든 정보와 지식을 담은 디자인ㆍ리소스북 시리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최봉현)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ㆍ디자인리소스북’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5권 발간하였다. 이어서 올 해에는 〈한눈에 보는 금박〉과 〈한눈에 보는 화혜〉 두 권의 책을 발간하였다.
9791189321987

Chaehwa : Traditional Korean silk flower (<한눈에 보는 채화> 영문)

정병모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원  | 20220228  | 9791189321987
9791189321260

Hwahye : Korean Traditional Shoes (한눈에 보는 화혜 (영문판))

장경희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4,400원  | 20191211  | 9791189321260
The resource design book series that encompasses the techniques,background, and wisdom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TheKorean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President BonghyunChoi), publishes the “Korean Craft & Design Resource Book” series in aimsto introduce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Korean craft and its background.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