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의미학"(으)로 3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의 미학 (서양, 중국,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

한국의 미학 (서양, 중국,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

최광진  | 미술문화
18,000원  | 20150925  | 9791185954073
이 책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양, 중국, 일본과의 미학적 차이를 비교한 책이다. 1부에서 다룬 문화의지는 시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민족정신의 뿌리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2부에서는 각 민족의 문화의지가 어떻게 미학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살폈다.
정원의 황홀 (온 세상을 끌어들이는 한국의 정원)

정원의 황홀 (온 세상을 끌어들이는 한국의 정원)

윤광준  | 아트레이크 ArtLake
18,000원  | 20241101  | 9791198633897
한국만의 멋과 정서를 한껏 품은 우리 정원 톺아보기! 남다른 시선으로 농밀하게 전하는 우리네 정원 이야기! 우리나라엔 1만여 개의 정원이 있다. 그런데 막상 정원에 가봤다는 사람은 많지 않다. 왜일까? 산 좋고 물 좋고 풍광이 빼어난 곳에 자리한 정자와 누(樓)가 우리 정원이라는 것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니 보고도 본 줄 모르고 그냥 스쳐 지나가기 일쑤다. 이십여 년 전 우연히 정원에 관심을 갖게 된 저자는 오랜 기간 틈틈이 국내외 정원을 돌아보며 사진과 글로 꾸준히 기록을 남겨왔다. 전 세계 다양한 정원들을 다녀보니 우리 정원만의 매력이 더 강하고 확실하게 다가왔다. 그래서 최근 몇 년간은 한국의 옛 정원에 푹 빠져 집중적으로 돌아봤다. 유명세나 문화재적 가치 등의 일반적 기준이 아닌, 다분히 주관적인 기준하에 작가가 세심하게 골라낸 22개의 정원을 담아냈다는 게 이 책의 특이점이다. 얼핏 보면 놓치기 쉬운 한국 정원만의 특징이 돋보이는 ‘윤광준의 명원 리스트’인 셈이다. 마치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다는 듯 자연스럽게 풍경에 녹아든 우리네 정원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곳들이다. 이 책의 저자 윤광준은 국내외를 두루 돌아다니며 다양한 경험과 나름의 관점을 쌓아온 작가다. 게다가 전문 사진작가 아닌가. 안목과 시선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그가 오감을 열어 느끼고 나름의 기준으로 선별하고 해석한 한국의 정원을 만나보자. 평소 별생각 없이 지나쳐온 허름하고 한적한 누각과 정자가 새삼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이다.
채색의 시간: 한국의 야생화 편 (한국의 야생화 편)

채색의 시간: 한국의 야생화 편 (한국의 야생화 편)

김충원  | 진선아트북
0원  | 20110519  | 9788972215462
김충원 교수의 새로운 방식을 담은 미술 입문서! 색연필로 세밀하게 묘사하는 야생화 채색! 『채색의 시간』은 주어진 밑그림에 채색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방식의 미술 입문서이자 두뇌 운동을 활성화시키는 워크북이다. 미술 교육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김충원 교수가「스케치 쉽게 하기」에 이어 내 놓은 2번째 시리즈로, 그림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쉽게 색감을 익히고 재미있게 채색을 따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밑거름삼아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아름다운 야생화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우리나라 야생화 중 12가지 종류를 선별해 각 특성과 매력을 한껏 살릴 수 있는 채색 기법을 소개한다.
한국의 옛집과 꽃담 (한국의 미를 찾아서)

한국의 옛집과 꽃담 (한국의 미를 찾아서)

이종근  | 생각의나무
0원  | 20100405  | 9788964600214
우리네 삶의 냄새가 묻혀 있는 옛집과 꽃담 이야기 옛집과 꽃담은 주인의 지혜와 마을 목수, 장안 목수의 기원과 상징이 피어나는 글자꼴, 꽃 그림, 색채 모자이크로 장식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설치미술로 가득 차 있다. 『한국의 옛집과 꽃담』은 현재 전민일보 문화교육부장으로 재직중인 저자, 이종근이 우리 조상들의 삶을 온전히 담아낸 소통의 문화유산, 옛집과 꽃담의 속 깊은 아름다움을 재조명한 책이다. 담장, 굴뚝, 합각에 새겨진 수많은 의미와 상징들을 유연준의 사진으로 섬세하게 담아내 일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미처 몰랐던 우리 문화의 결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준다.
문신유희 (지금 한국의 타투 문화)

문신유희 (지금 한국의 타투 문화)

프로파간다 편집부  | 프로파간다
0원  | 20130901  | 9788998143145
『문신유희』는 약 10여 년 전부터 형성되기 시작해 최근에는 분출하는 듯한 형세를 보이는 우리나라 타투 신(scene)의 흐름을 피처(feature)하기 위해 기획한 프로젝트다. 타투이스트부터 타투피플, 타투용어를 수록하고 있다.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 (한국의 공공미술과 미술마을)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 (한국의 공공미술과 미술마을)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엮음)  | 소동
0원  | 20140619  | 9788994750156
마을을 변화시킨 미술의 힘! 공공미술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은 공공미술로서의 마을미술프로젝트 5년을 되돌아보며, 한국의 마을미술은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마을미술프로젝트가 어떻게 마을을 바꾸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지자체와 지역주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성공 사례는 무엇이고 실패사례와 보완할 점은 무엇인지 공공미술로서의 마을 미술을 세세하게 다루고 있다. 총 9개의 챕터로 구성된 이 책은 필진에 한구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을 역임한 서성록 안동대 교수를 비롯하여 임성훈, 고충환 등 왕성히 활동중인 미술평론가 교수 8명과 김해곤 마을미술총괄감독이 참여했다. 공공미술과 마을미술의 관계를 다루어 공공미술 개념의 이해를 도우며 마을미술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주제를 짚어본다. 또한 대규모 마을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한국 공공미술이 지향해야 할 점을 외국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제로에서 시작하라 (민철홍과 한국의 산업디자인)

제로에서 시작하라 (민철홍과 한국의 산업디자인)

오창섭  | 디자인플럭스
0원  | 20110513  | 9788965640172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바의 디자인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던 1950년대 후반부터 현대적인 디자인 개념이 도입되는 과정, 이에 따른 교육체제의 변화, 1960년대 중반 이후 경제부흥의 모토 아래 등장하는 산업디자인 개념 등을 인터뷰 형식으로 흥미진진하게 풀어낸 책이다. 우리나라 산업디자이너 선도자인 민철홍과, 그에게서 디자인을 배우고 지금은 그 역시 교육 현장에서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는 오창섭 교수 간에 진행된 인터뷰 결과물이다. 6,70년대 산업디자인이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관한 본질적인 물음들을 제기함으로써 민철홍의 디자인 철학을 현재의 맥락 위에 재배치하고 있다.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환경)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환경)

유건식  | 한울(한울아카데미)
0원  | 20140930  | 9788946049147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프로세스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띠지만, 내부적으로 파고들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를 비교·검토해보는 일은 한국 드라마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현황을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방송 환경을 비교한다. 제3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시스템을 검토하고, 제4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사업을 소개한다. 제5장에서는 한국 드라마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그리고 부록으로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 이해를 위한 자료로 미국의 인기 드라마 순위, 미국의 시즌제 드라마 연도별 방송 현황, 한국의 인기 드라마 순위, UCLA 익스텐션 과정, 유용한 웹사이트 등을 수록했다. 특히 부록 6의 할리우드 용어 사전은 영화와 드라마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환경)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환경)

유건식  | 한울아카데미
0원  | 20130708  | 9788946055773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는 미국 드라마 환경과 시스템을 통해 한국 드라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현황을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방송 환경을 비교한다. 제3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제작 시스템을 검토하고, 제4장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드라마 사업을 소개한다. 제5장에서는 한국 드라마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미술의 빅뱅 (한국의 젊은 예술가들, 새로운 감각을 열다)

미술의 빅뱅 (한국의 젊은 예술가들, 새로운 감각을 열다)

이진숙  | 민음사
0원  | 20101025  | 9788937426902
16인의 작품으로 본 21세기 예술 창조의 비밀 『미술의 빅뱅』은 한국 미술에 팝아트가 없었던 이유, 조각은 왜 무거워야 하는지, 추상화란 무엇인지 등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화가, 조각가, 설치예술가, 사진 작가 등 다양한 젊은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은 고전에 대한 탄탄한 연구 위에 오늘의 한국이 낳은 새로운 감각의 예술을 보여준다. 획기적인 사고와 시각, 로봇아트, 사진-조각, 팝아트 등 기존 한국 미술에 부재했던 새로운 장르들은 이러한 예술가들의 손에서 나타났다.
삶의 궤적 (한국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1945-1992)

삶의 궤적 (한국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1945-1992)

이창재  | 눈빛
0원  | 20120903  | 9788974092894
사진전 『삶의 궤적: 한국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1945-1992/ Traces of Life: Seen Through Korean Eyes, 1945-1992』의 도록이다. 구왕삼, 임응식, 이해선, 이형록, 김한용, 한영수, 정범태, 최민식, 주명덕, 홍순태, 육명심, 김기찬, 그리고 김수남을 비롯한 13명의 일세대 사실주의 작가들의 흑백 사진 작품들을 미주에서 최초로 소개하는 이번 사진전시는 한국 근현대사의 고단하고 치열했던 시간들을 소박하지만 담백한 시선으로 담아내고 있다. 해방과 전쟁, 쿠데타와 군사독재, 산업화와 민주화를 위한 험난했던 투쟁 등 격변의 이미지로 점철된 한국 근현대사 속을 지나온 한국인들의 삶의 궤적을 재조명하고 있다.
2021 한국의 산하 (Weekly Photo Diary)

2021 한국의 산하 (Weekly Photo Diary)

호영 편집부  | 호영
0원  | 20201015  | 9788985772891
2021 Weekly Photo Diary ‘한국의 산하’ 한국 대표사진작가의 주옥같은 53컷(53週) 사진으로 2021년 365일 53주마다 자연의 숨쉬는 소리를 들려드리는Weekly Photo Diary(週曆, 영문캡션, 112페이지) ‘한국의 산하’는 1983년부터 호영피앤씨에서 38년간 출판되어 온 유일한 책자이다. 종이는 풍부한 색감을 수용할 수 있는 최고급 아르떼용지로 인쇄하였고 사진코팅은 환경문제로 비닐관련 코팅을 바니쉬 코팅으로 변경했으며 제본은 의장특허 출원하여(보안용) 고급스럽게 제작되었다.
한국의 국립공원: 제18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양장 (제18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한국의 국립공원: 제18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양장 (제18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국립공원공단 편집부  | 국립공원공단
0원  | 20191224  | 9788990126818
국립공원 사진공모전은 1993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국내 자연, 산악사진 분야의 대표사진공모전으로 제18회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을 엮은 사진집.
한국의 영화제

한국의 영화제

정동규, 김상혁, 김수빈  | 텍스트프레스
0원  | 20191002  | 9791196804619
영화제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159개 한국의 영화제" 이 책은 영화제의 이름만 들어봤거나 실제 영화제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사전형 책이다. 한국에는 상상 이상으로 많고 다양한 영화제들이 존재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는 영화제가 진행되고 있을 정도로 영화제가 많다. 『한국의 영화제』 책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수많은 영화제의 정보를 모아 한 곳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웹상에 파편적으로 퍼져있는 정보들을 엮어 만들어졌다.
한국의 국립공원: 제17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제17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한국의 국립공원: 제17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제17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

편집부  | 국립공원공단
0원  | 20181216  | 9788990126801
제17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품집『한국의 국립공원』. 심사평,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입선작을 소개하고 입상자 명단을 소개한다. 이 외에도 국립공원 지정현황 및 국립공원을 소개하고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