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91185954073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5-09-2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서문 비교미학을 위하여
근대미학의 성립과 딜레마 | 민족미학과 비교미학의 요청 | 비교미학과 한국미학의 현황
1부 문화의지, 어떻게 다른가
1장 서양은 분화의 문화다
1. 분화 문화의 특성
2. 기독교_ 창조주와 피조물의 분화
3. 형이상학_ 본질과 현상의 분화
4. 합리주의_ 인간과 자연의 분화
2장 중국은 동화의 문화다
1. 동화 문화의 특성
2. 유교_ 인으로 동화된 사회체계
3. 도교_ 자연 중심의 동화사상
4. 선종_ 불성 중심의 동화사상
3장 일본은 응축의 문화다
1. 응축 문화의 특성
2. 신토_ 하나로 응축된 국가를 위한 민족 종교
3. 사무라이_ 응축된 질서를 유지하는 집행자
4. 관료와 기업_ 가족처럼 응축된 사회조직
4장 한국은 접화의 문화다
1. 접화 문화의 특성
2. 한국신화_ 접화 문화의 원형
3. 천지인삼재사상_ 접화의 우주관
4. 신선_ 신과 접화된 이상적 인간
2부 미학, 어떻게 다른가
5장 서양의 분화주의 미학
1. 미추분리_ 서양인의 미적 이상
2. 고전주의_ 이성과 감성의 분화
3. 낭만주의_ 예술과 과학의 분화
4. 형식주의_ 예술과 삶의 분화
5. 포스트모더니즘_ 탈분화로의 이행
6장 중국의 동화주의 미학
1. 천인합일_ 중국인의 미적 이상
2. 의경_ 동화주의 미학의 고전
3. 기운생동_ 동화주의 예술의 규범
4. 품평론_ 동화의 수준
7장 일본의 응축주의 미학
1. 물아일체_ 일본인의 미적 이상
2. 유겐_ 응축주의 미학의 고전
3. 모노노아와레_ 응축된 사물의 애상미
4. 응축된 사물의 골계미
8장 한국의 접화주의 미학
1. 신인묘합_ 한국인의 미적 이상
2. 멋_ 접화주의 미학의 고전
3. 신명_ 한국적 표현주의
4. 평온_ 한국적 고전주의
5. 해학_ 한국적 리얼리즘
6. 소박_ 한국적 자연주의
후기 21세기 미학의 사명과 한국미학의 비전
추의식의 항체로서 미의식 | 접화주의 미학의 비전
참고문헌
인명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연은 서로 다른 종자들이 각자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고 조화로운 전체를 이룬다. 자연에서 한 종자로의 통일은 전체의 파괴를 의미하듯이, 민족 간의 관계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문화생태계를 복원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민족마다 다른 미적 가치를 존중하는 비교미학이 필요하다. 칸트의 미학이 보편적인 무관심성에 근거한 것이라면, 비교미학은 민족의 특수성에 관심을 갖고 상대적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다. 한 단어의 의미는 다른 단어와의 차이를 통해 드러나듯이, 비교미학은 자신의 문화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특별한 문화의지의 반영임을 이해하고, 다른 민족과의 상생의 관계를 모색하는 작업이다. 어떤 문화와 예술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은 비교미학의 중요한 전제이다.
- 서문. 비교미학을 위하여
서양의 합리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차이점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져 이성의 우월성을 부각시키고, 그것을 통해 자연을 지배하고자 했다. 이와 반대로 도교의 무위자연은 인간과 자연의 공통점을 집요하게 찾아 구별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고자 했다. 사실 이 두 모델은 모두 현실에서 실현이 불가능한 꿈이다. 인간은 자연과 완전히 분리될 수도 없고, 반대로 온전히 자연에 동화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것은 서양과 중국의 서로 다른 꿈이다.
- 1부, 2장. 중국은 동화의 문화다
중국 문화가 외향적이고 견고한 남성적 특징을 보인다면, 일본 문화는 내향적이고 아기자기한 여성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광활한 대륙국가인 중국과 달리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일본의 지형적 특징과 무관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산과 돌이 많은 지역에 살게 되면 양기를 많이 받아 남성적이고 강인한 의지가 발달하지만, 물과 습기가 많은 지역에 살게 되면 자연으로부터 음기를 받아 여성적이고 낭만적 정취가 발달한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중국인처럼 거대하고 웅장한 스케일보다는 작게 응축된 것에서 미적 쾌감을 느낀다.
- 1부, 3장. 일본은 응축의 문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