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여현덕 | 드러커마인드
17,100원 | 20251007 | 9791194192442
“급속한 AI 기술 변화 너머
경영과 AI활용에 필요한 인문학적 통찰 담아내다”
KAIST G-School 원장 및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인공지능경영자과정 주임교수를 맡고 있는 여현덕 교수의 저서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이 드러커마인드에서 출간되었다.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은 AI 기술의 다층적 변화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AI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과 조직, 그리고 기업이 마주한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책이다. AI는 이제 미래의 기술이 아닌 오늘의 언어가 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경영자와 조직은 ‘어떻게 AI를 활용해야 할까?’라는 질문 앞에서 주저한다. 이것은 단순 기술의 활용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AI를 바라보는 시각과 그 이해의 깊이, 그리고 바뀌어 가는 경영의 패러다임에 따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지뢰밭을 해체하는 소년병의 사례와 아인슈타인의 직관에서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어 반려동물과 교감하는 ‘휴니멀 인공지능’, 감성을 읽어내는 감성 AI, 그리고 LLM(대규모 언어모델)의 환각과 한계 이면의 시사점까지, 인문학, 과학, 역사, 예술을 넘나들며 AI와 인간이 어떻게 협업 지능(CQ, Collaborative Intelligence)을 만들어 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책이 전하려는 핵심은 기술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급변하는 지금의 환경에서 리더에게 필요한 통찰력과 AI와 인간과 조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다.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은 바로 그 관점을 제시하며, 복잡한 환경을 해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프레임을 제공한다.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이라는 낯선 조합은 언뜻 불협화음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AI와 인류의 미래를 사유하게 만드는 강력한 은유다. 여기에서 ‘소년병’은 조직 내에서 명령에 따라 반복적이고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구성원을 상징한다. 이들은 주어진 규칙과 절차에 충실하지만, 창의성이나 비판적 사고가 부족할 수 있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창의적 사고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리더십, 상상력, 통찰력을 상징한다. 즉, ‘소년병’은 AI 시대의 단순 반복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로, ‘아인슈타인’은 AI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영 혁신을 주도하는 존재로 대비된다. 저자는 이 두 가지 유형의 조화와 전환이 AI 경영 시대에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신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주고 그 대가로 끔찍한 형벌을 받았다. 오늘날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은 인류에게 새로운 ‘불’과 같은 강력한 도구가 되고 있다. 인류를 위협하는 불이 될 수도, 따뜻하게 만드는 불이 될 수도 있다.
아인슈타인은 “인류가 생존하고 더 높은 차원으로 나아가려면 새로운 유형의 사고가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희망과 우려가 교차하는 AI 혁명의 시대에 우리에게는 명확한 나침반이 필요하다. ‘모든 이를 포용하는 AI’, ‘인간의 존엄을 중심에 둔 기술’과 같은 철학적 토대 위에서만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 꽃필 수 있을 것이다. 아주 단순하게 말하면,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길은 두 갈래다. 하나는 AI 자체의 기술 발전을 추구하는 ‘사이보그의 길’이며, 다른 하나는 AI가 인간의 이로운 가치와 목표를 공유하도록 만드는 ‘케이론의 길’이다.
이 책은 지속가능한 AI 경영을 고민하는 리더들과, 현장의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활용 전략과 사유의 폭을 넓혀주는 실천적 지침서가 될 것이다. AI 연구자와 전문가, 기업 리더는 물론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의미 있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또한, 미래의 AI란, 경영 혁신의 전략적 자원이 될 것이며, ‘대체제’가 아닌 ‘강화제’, 경쟁 대상이 아닌 협업의 파트너로 이해해야 한다는 시각과, AI가 바꿔놓을 비즈니스의 지형 속에서 전략의 중심에는 여전히 ‘사람’이 있으며, 그 접점을 치밀하게 분석하여 경영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 또한 이 책의 매력이다. 평범한 경영 및 인문서를 넘어, 복잡한 시대를 돌파할 사유를 제시해 주기에,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은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리더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