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세 (엮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 대표 소금 장수이자, 인산가의 최고 경영자인 저자는 120세 천수를 누리는 건강사회 실현을 위해 자연치유(自然治癒) 의론(議論)과 함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강조해 왔다. 부처의 인식, 노자의 도리, 공자의 이성 등 자연과 인본, 도의를 중시하는 그의 철학은 활인구세(活人救世)라는 인산가의 기업 이념으로 이어지며 우리 사회의 주요 신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유의(儒醫) 가문의 전통에 따라 아버지 인산(仁山) 김일훈(金一勳·1909~1992) 선생으로부터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시작으로 『금강경(金剛經)』 『도덕경(道德經)』 등 유불도(儒佛道) 교육을 받았다. 이후 오늘의 한국고전번역원의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에서 고전 국역자 양성을 위한 5년의 교육 과정을 수료한 뒤 8년 동안 〈불교신문〉 편집부에서 기자, 차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86년 6월 15일에는 인산 선생의 신의학(新醫學) 이론을 5년 동안 구술받아 정리한 『신약(神藥)』이라는 혁신적인 책을 발표한다. 이 책은 암, 난치병, 괴질로 신음하던 수많은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대대적인 호응을 얻으며 한국 자연치유 발전에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7년 8월 27일에는 ‘인산의학’의 산물인 죽염을 세계 최초로 산업화하여 ‘소금 유해론’의 오류를 바로잡으며 ‘소금 유익론’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1989년부터 아버지 인산의 의론을 국민에게 전하기 위해 건강 매거진 〈인산의학 저널〉을 창간했다. 현재 월간으로 18만부 이상 발행되는 〈인산의학 저널〉은 미네랄의 결정체인 죽염의 가치는 물론 자연치유의 가치를 널리 알리며 다양하고 깊이 있는 건강 정보를 전하고 있다.
1993년 경남 함양 삼봉산에 인산연수원을 설립한 이래 350회 이상의 강연회를 열어 각종 암, 난치병, 괴질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인산의학’의 신약(神藥)과 묘방(妙方)을 세상에 알리는 일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