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6000083572
· 쪽수 : 500쪽
· 출판일 : 1996-08-05
목차
1권
머리말 = 1
일러두기 = 5
해제 = 13
청구야담 권지일(靑邱野談 卷之一)
1. 수정절최효부감호 (守貞節崔孝婦感虎) = 29
2. 투검술이비장참승 (鬪劍術李裨將斬僧) = 33
3. 이무변궁협격맹수 (李武弁窮峽擊猛獸) = 39
4. 완산기독수포의첩 (完山妓獨受布衣帖) = 46
5. 박상서착인전호성 (朴尙書錯認傳呼聲) = 48
6. 증강시이반수형법 (拯江屍李班受刑法) = 50
7. 축토실포교획적한 (築土室捕校獲賊漢) = 52
8. 궤반탁견곤귀매 (饋飯卓見困鬼魅) = 54
9. 성훈업불망조강 (成勳業不忘糟糠) = 62
10. 걸부명충비완삼절 (乞父命忠婢完三節) = 74
11. 방구주명마주천리 (訪舊主名馬走千里) = 77
12. 선기편활리농치수 (善欺騙猾吏弄痴졸) = 80
13. 가봉영산신호길지 (假封瑩山神護吉地) = 90
14. 석일선조대인벽 (惜一扇措大吝癖) = 92
청구야담 권지이 (靑邱野談 卷之二)
1. 점명혈동비혜식 (占名穴童婢慧識) = 95
2. 빙최몽고총득전 (憑崔夢古塚得錢) = 104
3. 축사귀부인획생 (逐邪鬼婦人獲生) = 107
4. 양역리각진세벌 (兩驛吏各陳世閥) = 109
5. 삼지인경과거향 (三知印競誇渠鄕) = 111
6. 상산리누세충절 (商山吏累世忠節) = 114
7. 문소인삼대효행 (聞韶人三代孝行) = 124
8. 임위경익재현몽 (臨危境益齋現夢) = 127
9. 선해학백사우풍 (善諧謔白沙寓諷) = 128
10. 활인병조의행침 (活人病趙醫行針) = 131
11. 구부명홍동당고 (救父命洪童撞鼓) = 134
12. 장의사위국연생 (張義士爲國捐生) = 137
13. 이청화수절돈세 (李淸華守節돈世) = 142
14. 진신방피의천명 (進神方皮醫擅名) = 146
15. 강방성문변순국 (降房星文弁殉國) = 149
16. 진충언입사곡사 (進忠言入祠哭辭) = 151
17. 양승선북관봉기우 (楊承宣北關逢奇우) = 155
18. 이상서원소결방연 (李尙書元宵結芳緣) = 161
19. 가야산고운빙손부 (伽倻山孤雲聘孫婦) = 165
20. 대인도상객도잔명 (大人島商客逃殘命) = 169
21. 정북창망기소재액 (鄭北窓望氣消災厄) = 172
22. 김공생취자수공업 (金貢生聚子授工業) = 175
청구야담 권지삼 (靑邱野談 券之三)
1. 과동교백납인부 (過東郊白納認父) = 177
2. 청취우약상득자 (聽驟雨藥商得子) = 181
3. 청가어유의득명 (聽街語柳醫得名) = 185
4. 권두신이생종덕 (勸痘神李生種德) = 191
5. 포광적구명창권술 (捕 賊具名唱權術) = 196
6. 풍인객오물음선해 (諷吝客吳物音善諧) = 203
7. 연초동김생작월노 (憐樵童金生作月노) = 206
8. 식보기허생취동로 (識寶氣許生取銅爐) = 216
9. 김위장휼구주진성 (金衛將恤舊主盡誠) = 223
10. 박동지위통수산재 (朴同知爲統帥散財) = 227
11. 이절부종용취의 (李節婦從容取義) = 230
12. 박남해강개수공 (朴南海慷慨樹功) = 234
13. 탄금대충복수시 (彈琴臺忠僕收屍) = 238
14. 연광정금남응변 (練光亭錦南應變) = 241
15. 피화란현부이식 (避禍亂賢婦異識) = 246
16. 책훈명양처명감 (策勳名良妻明鑑) = 254
청구야담 권지사 (靑邱野談 卷之四)
1. 전통제사미시식재상 (田統制使微時識宰相) = 261
2. 이절도궁도우가인 (李節度窮途遇佳人) = 267
3. 청양처혜리보영명 (聽良妻惠吏保令名) = 282
4. 득현부빈사성가업 (得賢婦貧士成家業) = 285
5. 임장군산중우녹림 (林將軍山中遇綠林) = 288
6. 이조대학현방지사 (李措大學峴訪地師) = 294
7. 권사문피우봉기연 (權斯文避雨逢奇緣) = 298
8. 이동고위겸택가랑 (李東皐爲겸擇佳郞) = 303
9. 시음덕남사연명 (施陰德南士延命) = 311
10. 성가업박노진충 (成家業朴奴盡忠) = 313
11. 추기임노설고사 (秋妓臨老說故事) = 318
12. 절부당난변고의 (節婦當難辨高義) = 321
13. 득미처거사점혈 (得美妻居士占穴) = 323
청구야담 권지오 (靑邱野談 卷之五)
1. 획중보혜부택부 (獲重寶慧婦擇夫) = 333
2. 김승상궁도우의기 (金丞相窮途遇義妓) = 344
3. 조풍원시문방고우 (趙豊原柴門訪故友) = 358
4. 송반궁도우구복 (宋班窮途遇舊僕) = 362
5. 김생호시수후보 (金生好施受後報) = 373
6. 익시신해수상은 (匿屍身海졸償恩) = 378
7. 점명혈지사보덕 (占名穴地師報德) = 386
8. 연궁유신인대궤은 (憐窮儒神人貸櫃銀) = 389
9. 의유읍재상상구은 (擬○邑宰相償舊恩) = 392
청구야담 권지육 (靑邱野談 卷之六)
1. 청축어재상기왕사 (聽祝語宰相記往事) = 397
2. 치분묘제성주현몽 (治墳墓諸星州現夢) = 401
3. 부남성장생표대양 (赴南省張生漂大洋) = 406
4. 수형장조대풍월 (受刑杖措大風月) = 422
5. 창고가양상호걸 (唱高歌梁上豪傑) = 424
6. 거강포규중정열 (拒强暴閨中貞烈) = 426
7. 책형처청사화인맹 (責荊妻淸士化隣氓) = 434
8. 치우상빈승봉명부 (治牛商貧僧逢明府) = 438
9. 겁구주반노수형 (劫舊主叛奴受刑) = 442
10. 봉환상궁유면사 (逢丸商窮儒免死) = 446
11. 신복설호유탐향 (信卜說湖儒探香) = 452
사람이름 찾기 = 459
땅이름 찾기 = 471
원문 = 479 (1)
2권
머리말 = 1
일러두기 = 5
청구야담 권지칠 (靑邱野談 卷之七)
1. 청기어패자등과 (聽妓語悖子登科) = 13
2. 피실적노진재절간 (被室適露眞齋折簡) = 20
3. 송부금성녀격고 (訟夫錦城女擊鼓) = 29
4. 사구습여웅투강중 (肆舊習與熊鬪江中) = 32
5. 정명혈우와임간 (定名穴牛臥林間) = 37
6. 노학구차태생남 (老學究借胎生男) = 41
7. 향선달체인송명 (鄕先達替人送命) = 48
8. 굴은옹노과성가 (掘銀甕老寡成家) = 52
9. 창의병현모욱자 (倡義兵賢母勖子) = 56
10. 치정성과효배불상 (致精誠課曉拜佛像) = 60
11. 송은택매반칭민야 (誦恩澤每飯稱閔爺) = 64
12. 반동도당고초중 (班童倒撞藁草中) = 67
청구야담 권지팔 (靑邱野談 卷之八)
1. 향변자수통제사 (鄕弁自隨統制使) = 69
2. 축관장지인타협 (逐官長知印打頰) = 76
3. 감재상궁변거흉 (憾宰相窮弁據胸) = 80
4. 착흉승기성백화구 (捉凶僧箕城伯話舊) = 84
5. 설신원완산윤검옥 (雪神寃完山尹檢獄) = 87
6. 최곤륜등제배맹 (崔崑崙登第背盟) = 90
7. 차오산승흥제화병 (車五山乘興題畵屛) = 97
8. 편향유박영성등과 (騙鄕儒朴靈城登科) = 100
9. 무거빙사굴시관 (武擧聘辭屈試官) = 106
10. 함사명이상서쟁춘 (啣使命李尙書爭春) = 109
11. 염의사풍악봉신승 (廉義士楓岳逢神僧) = 115
청구야담 권지구 (靑邱野談 卷之九)
1. 오안사영호봉설생 (吳按使永湖逢薛生) = 127
2. 여묘측효감천호 (廬墓側孝感泉虎) = 131
3. 연부명성동천신 (延父命誠動天神) = 134
4. 득금항양부인상양 (得金缸兩夫人相讓) = 136
5. 채산삼이약상병명 (採山蔘二藥商幷命) = 138
6. 연천금홍상서의기 (捐千金洪象胥義氣) = 141
7. 득이첩권상사복연 (得二妾權上舍福緣) = 144
8. 안빈궁십년독서 (安貧窮十年讀書) = 149
9. 선희학일시우거 (善戱謔一時寓居) = 152
10.문유채출가벽곡 (文有采出家벽穀) = 154
11. 채사자발분역학 (蔡士子發憤力學) = 157
12. 퇴전야정돈령향복 (退田野鄭敦寧享福) = 160
13. 식사기신주촌지음 (識死期申舟村知音) = 163
14. 훼음사사귀걸명 (毁淫祠邪鬼乞命) = 165
15. 폐관정의구보주 (吠官庭義拘報主) = 169
16. 관서백일기치기 (關西伯馹騎馳妓) = 172
17. 청주수권술포도 (淸州졸權術捕盜) = 175
18. 투양제병유연운 (投良劑病有年運) = 178
19. 실가인삭탄박명 (失佳人數歎薄命) = 185
20. 탁종신여협연생 (托終身女俠捐生) = 189
청구야담 권지십 (靑邱野談 卷之十)
1. 택부서혜비식인 (擇夫서慧婢識人) = 195
2. 이후종역행효의 (李後種力行孝義) = 205
3. 덕원령천명기국 (德原令擅名棋局) = 208
4. 택당우승담역기 (澤堂遇僧談易利) = 212
5. 이상사인병오도묘 (李上舍因病悟道妙) = 215
6. 차오산격병호백운 (車五山隔屛呼百韻) = 219
7. 한석봉승흥쇄일장 (韓石峯乘興灑一障) = 222
8. 협맹오독타인축 (峽氓誤讀他人祝) = 224
9. 재상희국매화족 (宰相戱국梅花足) = 228
10. 득첨사아시유약 (得僉使兒時有約) = 230
11. 양장원매과필몽 (養壯元每科必夢) = 233
12. 결방연이팔낭자 (結芳緣二八娘子) = 235
청구야담 권지십일 (靑邱野談 卷之十一)
1. 시신술토정청부인 (試神術土亭聽夫人) = 261
2. 혹요기책실축지인 (惑妖妓冊室逐知印) = 264
3. 긍박동령성주혼 (矜朴童靈城主婚) = 269
4. 택손서신재선상 (擇孫서申宰善相) = 274
5. 진미감유상청가어 (進米감柳상聽街語) = 281
6. 도대액박엽수신방 (度大厄朴燁授神方) = 285
7. 낙계촌이재봉향유 (樂溪村李宰逢鄕儒) = 290
8. 경포호순상인선연 (鏡浦湖巡相認仙緣) = 293
9. 우병사부방득현녀 (禹兵使赴防得賢女) = 298
10. 면대화무녀새신 (免大禍巫女賽神) = 305
11. 소연로충복명원 (訴輦路忠僕鳴寃) = 308
12. 외엄구한부출시언 (畏嚴舅悍婦出矢言) = 314
청구야담 권지십이 (靑邱野談 卷之十二)
1. 입이적궁유성가업 (入吏籍窮儒成家業) = 325
2. 강양민공립청백사 (江陽民共立淸白祠) = 330
3. 흥원사종유청학동 (興元士從遊靑鶴洞) = 333
4. 솔내행옹천봉뇌우 (率內行甕遷逢雷雨) = 335
5. 구처녀화담시신술 (救處女花潭試神術) = 337
6. 수경사영작지은 (隨京師靈鵲知恩) = 341
7. 정겸재중국천화명 (鄭謙齋中國擅畵名) = 342
8. 맹감사동악문기사 (孟監司東岳聞奇事) = 345
9. 종음덕윤공식보 (種陰德尹公食報) = 350
10. 왕남경정상행화 (往南京鄭商行貨) = 354
11. 문명복중로우구복 (問名卜中路遇舊僕) = 357
12. 환금탁강도화양민 (還金탁强盜化良民) = 360
13. 보희신역마장명 (報喜信역馬長鳴) = 363
14. 문과성몽접가징 (聞科聲夢蝶可徵) = 367
15. 요관문두아승당 (요門痘兒升堂) = 370
16. 천장옥수재대책 (擅場屋秀才對策) = 373
17. 봉기연빈사득이랑 (逢奇緣貧士得二娘) = 375
18. 복원중구처수계 (伏園中舊妻授計) = 381
19. 심고묘목은현몽 (尋古墓牧隱現夢) = 383
20. 홍사문동악유별계 (洪斯文東岳遊別界) = 385
21. 성허백남로우선객 (成虛白南路遇仙客) = 388
청구야담 권지십삼 (靑邱野談 卷之十三)
1. 홍상국조궁만달 (洪相國早窮晩達) = 391
2. 유상사선빈후부 (柳上舍先貧後富) = 395
3. 노옥계선부봉가기 (盧玉溪宣府逢佳妓) = 402
4. 투삼귤공중현영 (投三橘空中現靈) = 408
5. 섬군사정상정남 (殲群蛇亭上정男) = 413
6. 촉석루수의장종 (矗石樓繡衣藏踪) = 415
7. 연광정경교행령 (練光亭京校行令) = 424
8. 연상녀재상촉궁변 (憐孀女宰相囑窮弁) = 429
9. 진제수영리기이반 (進祭需嶺吏欺李班) = 432
10. 초옥각이병사고용 (超屋角李兵使賈勇) = 435
11. 득가기심상국성명 (得佳妓沈相國成名) = 437
12. 췌유장이학사망명 (贅柳匠李學士亡命) = 448
사람이름 찾기 = 445
땅이름 찾기 = 467
원문 = 475(1)
3권
머리말 = 1
일러두기 = 5
청구야담 권지십사 (靑邱野談 卷之十四)
1. 치산업허중자성부 (治産業許仲子成富) = 13
2. 제신주진서승언문 (題神主眞書勝諺文) = 21
3. 부패영부인사명기 (赴浿營婦人赦名妓) = 24
4. 김남곡생사개유이 (金南谷生死皆有異) = 29
5. 게점사이정익식인 (憩店舍李貞翼識人) = 37
6. 대과방이랑적심 (待科榜李郞摘甚) = 43
7. 초신장곽생시술 (招神將郭生施術) = 47
8. 창의사뇌양처성명 (倡義使賴良妻成名) = 52
9. 향유용계만죽천 (鄕儒用計瞞竹泉) = 58
10. 영기양광수곡수 (營妓佯狂隨谷졸) = 62
11. 무거자사봉항우 (武擧子舍逢項羽) = 68
12. 신겸권술편재상 (新겸權術騙宰相) = 72
청구야담 권지십오 (靑邱野談 卷之十五)
1. 상숙은세송의자 (償宿恩歲送衣資) = 77
2. 철음사화소금단 (撤陰祠火燒錦緞) = 81
3. 쇄음낭서백농구우 (鎖陰囊西伯弄舊友) = 85
4. 과증돈중야방신교 (과蒸豚中夜訪神交) = 89
5. 의남임수환유철 (義男臨水喚兪鐵) = 92
6. 노온녀환납소실 (老온廬患納小室) = 101
7. 몽황룡지성발소매 (夢黃龍至誠發宵寐) = 107
8. 송사간웅조동천청 (誦斯干雄朝動天聽) = 109
9. 홍상서수정면인 (洪尙書受挺免刃) = 113
10. 여수의이화접목 (呂繡衣移花接木) = 119
11. 방명복원옥득신 (訪名卜寃獄得伸) = 123
12. 과장부서화만태 (誇丈夫西貨滿태) = 126
13. 점길지어유석함 (占吉地魚遊石函) = 130
청구야담 권지십육 (靑邱野談 卷之十六)
1. 현소몽룡만상폭 (現宵夢龍滿裳幅) = 135
2. 복주수충비탁금호 (復主讐忠婢托錦湖) = 143
3. 험이몽서백식전신 (驗異夢西佰識前身) = 148
4. 요왜구마의명견 (料倭寇麻衣明見) = 151
5. 장삼시호무음덕 (葬三屍湖武陰德) = 154
6. 입묘석공장감효부 (立墓石共匠感孝婦) = 162
7. 정가성지사청치동 (定佳成地師聽癡동) = 165
8. 유의리군도화양민 (諭義理群盜化良民) = 172
9. 어소장투아설부객 (語消長偸兒說富客) = 177
10. 재금성장살김한 (宰錦城杖殺金漢) = 183
11. 궁유궤계득과환 (窮儒詭計得科宦) = 186
12. 여상탁사등대천 (呂相托辭登大闡) = 190
청구야담 권지십칠 (靑邱野談 卷之十七)
1. 대영전의성수점풍 (貸營錢義城졸占風) = 193
2. 득거산제주백양병 (得巨産濟州伯佯病) = 197
3. 교아동해인승위사 (敎衙童海印僧爲師) = 202
4. 사궁유유통제사수보 (赦窮儒柳統制使受報) = 210
5. 귀물매야삭명주 (鬼物每夜索明珠) = 216
6. 적괴중소척장검 (賊魁中宵擲長劍) = 218
7. 홍천읍수의노종 (洪川邑繡衣露踪) = 224
8. 노옹기우범제독 (老翁騎牛犯提督) = 227
9. 신부반호구장부 (新婦반虎救丈夫) = 231
10. 설별과소년고중 (設別科少年高中) = 233
11. 전서봉천리방부친 (傳書封千里訪父親)= 237
12. 점천성심협봉이인 (점天星深峽逢異人) = 240
13. 문이형낙강봉포은 (問異形洛江逢圃隱) = 243
14. 좌초당삼노양성 (坐草堂三老穰星) = 251
15. 회림관사유문상 (會琳官四儒問相) = 255
청구야담 권지십팔 (靑邱野談 卷之十八)
1. 유패영풍류성사 (遊浿營風流盛事) = 263
2. 과금강급난고의 (過錦江急難高義) = 270
3. 설유원부인식주기 (雪幽寃婦人識朱旗) = 275
4. 영산업부부이방 (營産業夫婦異房) = 282
5. 획생금부자동궁 (獲生金父子同宮) = 285
6. 첩행주권원수기공 (捷幸州權元帥奇功) = 291
7. 겁왜승유거사명식 (겁倭僧柳居士明識) = 296
8. 산해관도독오노병 (山海關都督오虜兵) = 299
9. 청석동천장투검객 (靑石洞天將鬪劍客) = 302
10. 보중은운남치미아 (報重恩雲南致美娥) = 305
11. 향산과위성봉모선 (餉山果渭城逢毛仙) = 315
12. 작선사수의계홍승 (作善事衣繫紅繩) = 321
청구야담 권지십구 (靑邱野談 卷之十九)
1. 검암시필부해원 (檢巖屍匹婦解寃) = 327
2. 박천군지인효충 (博川郡知印效忠) = 330
3. 진양성의기사생 (晉陽城義妓捨生) = 334
4. 이절도맥장우신승 (李節度麥場遇神僧) = 337
5. 김승상과전견이인 (金丞相瓜田見異人) = 341
6. 식단구유랑표해 (識丹邱劉郞漂海) = 345
7. 방도원권생심진 (訪桃源權生尋眞) = 353
8. 거북산금남성대공 (據北山錦南成大功) = 359
9. 득지보가호매기병 (得至寶賈胡買奇病) = 362
10. 강대현선아정산실 (降大賢仙娥定産室) = 365
11. 감주은노승점명혈 (感主恩奴僧占名穴) = 369
12. 궤주석양의주공 (饋酒石良醫奏功) = 376
13. 환옥동재상상채 (還玉童宰相償債) = 382
사람이름 찾기 = 387
땅이름 찾기 = 399
원문 = 4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