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0107037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07-09-12
책 소개
목차
질문을 던지다
세계화라는 현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경제적 고정관념
세계화는 현대사회 고유의 현상이다
세계화는 야만적인 자유주의의 승리이다
세계화는 고용 감소를 유발한다
국가는 세계화 앞에 무력하다
다국적기업이 세계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다
세계화는 금융시장의 독재이다
세계화는 경제위기와 증시 폭락을 유발한다
정치적 고정관념
세계시만이 탄생하고 있다
세계화는 민주주의나 인권에는 관심이 없다
세계화는 부유한 나라에 유리하다
미국이 세계를 지배한다
세계화는 조직범죄를 부추긴다
사회적 고정관념
우리는 '지구촌'에 살고 있다
세계화는 환경을 파괴한다
세계화로 인해 국가간 이동이 용이해진다
세계화는 빈곤을 심화시킨다
우리는 문명의 충돌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세계화로 문화 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
세계화는 교육을 상품화한다
또 다른 질문
반세계화인가, 대한세계화인가
용어설명
찾아보기
책속에서
1890~90년대에 새로운 점이 있었다면, 그것은 질과 양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우선 양적인 측면에서 보면, 공장 구매와 자회사 설립을 위한 해외직접투자(그 유명한 FDI)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질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능력, 자원, 국가 법률체제 등에 따라 생산뿐만 아니라 계획과 구상까지를 세계적 차원에서 조직하는 '지구적인' 다국적 기업의 출연과 연계되어 다국적화의 새로운 단계가 출현한 것이다.-p51 중에서
세계화는 농촌 사회의 와해를 초래하긴 했지만, 또한 다른 범주의 주민들에게 부를 가져다주기도 했다. 여러 예 중의 하나를 들자면 페루의 마추픽추에서 수입 음료들의 경쟁은 농민들의 파산, 특히 맥아 생산자들의 파산을 가져왔다. 그러나 동시에 페루의 경제 개방은 관광 산업의 비약을 가져왔고 그 결과 도자기나 섬유 수공업 생산에 있어서는 새로운 판로가 열리게 되었다.-p13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