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0403178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11-1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율법의 뜻
제2장 율법의 시작
제3장 율법의 배경
제4장 죄를 드러내는 율법
제5장 율법에서 건져 냄
제6장 율법의 능력
제7장 율법의 제한성
제8장 한 계명
제9장 율법의 의
제10장 율법, 심판자
제11장 율법, 요구하는 남편
제12장 율법, 사형 집행인
제13장 율법, 초등교사
제14장 율법이 못하는 일
제15장 육신으로 인한 연약함
제16장 대제사장과 율법
제17장 아브라함이 받은 복음
제18장 용서를 위한 하나님의 조건
제19장 사랑이 해답이다
제20장 거룩한 선생
제21장 산 제사
제22장 디딤돌인가 걸림돌인가
제23장 심판의 날이 다가온다
제24장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제25장 양심을 위하여
제26장 끝을 맺으면서
책속에서
서문
[전략] 바울 사도는 제1차 전도 여행에서 율법의 행위를 요구하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전파했습니다. 그는 제1차 전도 여행에서 돌아오자 곧 안디옥 교회에서 ‘하나님이 함께 행하신 모든 일과 이방인들에게 믿음의 문을 여신 것’을 고했습니다(행 14:27). 바울은 그 교회에서 보고할 때, 이방인들이 모세의 율법을 지키지 않고 할례를 받거나 유대교로 개종하지도 않고 구원받은 사실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때 안디옥 교회의 성도들은 값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기쁜 소식을 찬양했습니다.
율법을 지키지 않고 은혜로만 구원받은 이방인에 관한 소식이 예루살렘에 전해지자, 그곳에 있는 율법주의적인 유대인의 무리들은 구원받으려면 율법을 지켜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몇몇 율법주의자들은 안디옥에 가서 믿는 자들에게 율법을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중략] 예루살렘에서 온 율법주의자들이, 안디옥에 있는 이방 그리스도인들은 할례를 받고 율법을 지킴으로써 유대인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방인 성도를 율법 아래 있으라고 가르친 그 율법주의자들은 하나님의 은혜에서 벗어난 사람들입니다. 사도와 장로들은 ‘우리는 결코 그런 것을 시키지 않았다.’라고 안디옥 교회에 편지했습니다. 율법주의적 안식일 수호자(sabbatarian)들은 권위가 부여되지 않은 자들이었으므로, ‘우리의 지시도 없이’ 주장된 그들의 요구를 거부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곧 ‘이방 그리스도인이 율법 아래 있지 않다.’라는 의미였습니다. [중략] 그 일은 그렇게 일단락되었으나, 율법 선생들은 바울이 가는 곳마다 따라다니면서 바울이 전파하는 은혜를 파괴하려고 계속 노력했습니다.
[중략] 신약에서 세 권 이상이 주로 율법에 관한 오류를 시정하기 위해 기록되었습니다. 사도 시대로부터 시작되어 온 오류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율법주의, 반(反)율법주의, 갈라디아주의입니다. 첫째로, 율법주의는 사람이 율법을 지킴으로써 구원받는다고 가르치는데, 이 오류에 대한 대답이 바로 바울 사도의 로마서입니다. 둘째 오류는 첫째 것의 정반대로, 모든 것이 은혜이므로 우리가 어떻게 살든 상관할 바가 아니라고 가르칩니다. 이 오류에 대한 답변은 야고보서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셋째 오류인 갈라디아주의는 가장 사특한 것으로서, 우리가 은혜로 구원을 받지만 율법을 완전히 지킴으로써 그 구원을 보존해 나가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즉 우리가 믿음으로 구원을 받기는 하지만 궁극적인 구원은 우리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이 오류를 갈라디아주의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사상이 갈라디아 교회에 창궐했기 때문입니다. 이 오류를 반증하기 위해 바울이 쓴 것이 바로 갈라디아서입니다.
이 세 가지 오류는 현재 우리 가운데도 있습니다. 비록 최초의 교회 회의에서 이 문제가 명확하게 규정되었으며 서신서에도 해설되어 있지만, 이 오류들은 계속 주장되어 왔습니다. 주님이 율법의 두려움과 속박으로부터 귀중한 영혼들을 인도해 내셔서 하나님의 은혜의 자유로 이끌어 들이시는 데에 본서의 각 장을 사용하시고 이를 널리 전파해 주시기를 바라고 기도합니다.
제1장 율법의 뜻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은 율법 아래 있는가? 은혜 아래 있는가? 혹은 양편에 다 속해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이미 2,000년 전에 해결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이 문제를 혼동하고, 율법의 역할과 은혜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 문제에 대해서 조금도 의문을 남기지 않습니다. 율법은 결코 어느 누구를 구원하기 위해서 주어진 것이 아닙니다. 인류 역사상 하나님의 법을 지킴으로써 구원을 얻은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사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주시고 이를 지키라고 명령하시기 전에 이미 그들 중 아무도, 주 예수님 외에는 그 누구도 하나님의 율법을 완전하게 지킬 사람이 없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다. 그리고 어느 누구에게도 이 율법을 완전하게 지킬 것을 기대하지 않으셨습니다. 율법은 죄인 중 단 한 사람도 구원할 수 없으며, 성도 중 단 한 사람도 율법으로 그의 구원을 유지할 수 없다는 성경적인 근거는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게 하려 함이라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 3:19-20).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롬 3:28).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알므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로써가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써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갈 2:16).
[중략] 성경은 분명히 율법으로 사람이 구원받을 수 없고 죄인이 의롭게 될 수 없으며 성도가 성결케 될 수 없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은 율법을 인간에게 주실 때 이 율법을 완전하게 지킬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는 것을 아셨으며 또 기대하지도 않으셨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질문에 직면하게 됩니다. “만일 율법이 인간을 더 선하게도 할 수 없으며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도 없다면 왜 하나님은 이 율법을 인간에게 주셨을까?”하는 것입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