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국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12129095
· 쪽수 : 290쪽
· 출판일 : 1999-08-1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12129095
· 쪽수 : 290쪽
· 출판일 : 1999-08-10
책 소개
주북경 대표부 정치담당 서기관을 역임하고, 1999년 현재 아태민주지도자회의 사무총장으로 있는 저자의 중국학 박사 학위 논문 <중국의 대한국 수교결정 요인 연구>를 기초로 한 학술 저서. 이 책은 중국의 대외정책을 통해 중국 현실을 이해하고, 주변국과의 외교관계를 전망하고 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중간의 수교는 중국의 주요 정책 변화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데, 주요 정책의 변화는 국가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변경, 국내의 정치적 돌발 사태 발발로 인한 정책의 변경, 국가 목표나 국제적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정책의 변경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및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 조치나 베트남과의 전쟁 등이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의 변화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정치적 돌발 사태 발발로 인한 대외정책의 변경은 문화대혁명 직후의 극도의 고립정책과 천안문 사태 직후의 반서방적 성향의 정책 등이 그 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한중수교는 국가 목표의 변경이나 국제적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정책을 변경한 사례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중수교는 세계 전략적 차원이 아니라 지역적 차원의 고려가 우선되었던 정책의 결정 사례라고 할 수 있으며, 경제 발전을 중시하는 국가 목표의 변경과 경제적 이슈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었던 국제적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통상적 정책 변화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